소셜마케팅코리아 블로그
전략이라는 단어는 군사 용어입니다 . 그런데 유독 마케팅 시장에서 ' 기본적인 전략 분석 전략 ' 이라는 단어가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 구글에만 ' 마케팅 전략 ' 이라고 검색을 해봐도 관련된 수많은 글이 나옵니다 . 아마도 마케팅 시장이 전쟁 못지않게 치열하다는 의미로 보입니다 .
그런 까닭인지 일부 마케팅 전문가라고 말하는 사람들이 특히 ' 마케팅 전략 ' 이라는 말을 통해 강의나 마케팅 컨설팅을 많이 하기도 하는데요 . 과연 그들이 말하는 마케팅 전략이 실제로 유효한 전략일까요 ?
1. 결과론적인 마케팅 전략을 믿지마라!
' 마케팅 전략 ' 과 관련된 글 중 대다수가 결과론적인 내용입니다 . 예를 들면 "00 기업에서는 ' 체험 마케팅 ' 으로 소비자를 사로잡습니다 . 앞으로 체험 마케팅 전략을 주목하세요 !" 등의 내용입니다 .
위와 같이 일부 마케팅 성공사례를 열거하며 마케팅 전략을 설명하는 내용은 ' 마케팅 전략 ' 과는 거리가 먼 내용입니다 . 솔직히 그냥 마케팅 사례일 뿐입니다 . 제대로 된 마케팅 전략 강사라면 ' 체험 마케팅 ' 의 결과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라 , ' 기본적인 전략 분석 체험 마케팅 ' 을 도출하는 과정을 알려줘야 합니다 .
그렇다면 마케팅 전략은 어떻게 도출해야 할까요 ?
2. 마케팅 전략을 세우는 기본 키워드 '목적과 예산'
마케팅 전략을 도출하기 위해서는 가장 먼저 ' 마케팅 ' 의 목적을 정립해야 합니다 . 기업이라면 ' 제품의 브랜드 인지도 제고 ' , ' 제품의 판매량 증가 ' 등이 있을 것이고 , 소상공인이라면 ' 제품의 판매 ' 가 가장 큰 목적이겠죠 .
그리고 두번째는 ' 예산 ' 입니다 . 마케팅 전략 수립을 요청하는 일부 기업 ( 개인 ) 중에는 예산은 자유로우니 일단 마케팅 전략부터 세워달라고 하시는 분들도 많습니다 . 하지만 그런 식으로는 제대로 된 ' 마케팅 전략 ' 이 나올 수 없습니다 . ' 지피지기면 백전불태 ' 라는 말처럼 정확하게 자신의 자원을 파악을 해야 정밀한 마케팅 전략 수립이 가능합니다 .
3. 마케팅 전략 수립의 기본은 분석!
마케팅 전략 프로세스 수립을 위해서는 분석 능력이 필요합니다 . 스타트업 , 소상공인 분들에게 도움이 될만한 ' 온라인에서 물건을 판매 ' 하는 프로세스를 예시로 들어보겠습니다 .
우선 사람들이 온라인에서 물건을 사는 방식을 고민해야 합니다 . 철저하게 고객의 시점에서 고민을 해야합니다 . 고객들은 제품을 구매할 때 무엇을 중시하고 구매 절차는 어떻게 될까요 ?
온라인으로 물건을 구매할 때는 보통 위와 같은 프로세스를 거칩니다 . 해당 내용은 100% 정확한 내용이 아닌 예시를 위한 기본 도식이며 , 실제 업종이나 구매 타겟에 따라 변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따라서 구매 방식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이커머스와 관련된 여러 가지 리포트나 실제 기본적인 전략 분석 고객을 만나서 인터뷰를 진행하는 등 분석에 대한 노력이 필요합니다 .
4. 성공적인 마케팅 전략을 위한 마케팅 전술은?
마케팅 전략을 수립했다면 마케팅 전략을 가장 효과적으로 실행할 수 있는 마케팅 전술이 필요합니다 . 앞서 보여드린 도식에서 각 구간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최선의 마케팅 전술은 무엇이 있을까요 ? 해당 내용은 다음 글에서 더 자세하게 다뤄보도록 하겠습니다 .
전략이라는 단어는 군사적 의미에서 ' 전쟁 목적을 달성하는 전체 국면에 관계되는 기본 방침 ' 이라는 뜻입니다 . 따라서 목적에 따라 전략은 언제든지 수정될 수 있어야 합니다 . 그러나 마케팅의 목적에 대한 고민 없이 결과론적인 성공 사례를 마케팅 절대적인 성공 전략인 것처럼 설명하는 경우가 참 많아 기본적인 전략 분석 보입니다 .
이번 글은 마케팅 전략의 결과가 아닌 마케팅 전략을 도출하고 실행하는 기본적인 방법과 프로세스를 알려드리고자 작성되었습니다 . 그리고 실제 마케팅 전략을 실행하는 마케팅의 전술적 요소도 설명해 드릴 예정입니다 . 이번 포스팅이 아직 마케팅이 낯선 많은 분에게 작은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
마케팅데이터분석을 위한 3가지추적법
당신이 비즈니스의 개별 영역을 측정하지 못한다면, 당신은 이를 관리할 수도, 성장시킬 수도 없다는 의미이다.
마케팅 노력도 측정하고 모니터링하지 않으면 비용이 낭비 될 수 있다. 개선이나 성장과의 연결도 되지 않는다. 마케팅의 개별 태스크를 추적하고 측정하는 것은 전략의 창의적인 브레인스토밍만큼 흥미진진하지는 않지만 매우 중요하다.
추적을 통해서 효과가 있는 부분과 그렇지 않은 부분, 그리고 효과를 높이기 위해 기본적인 전략 분석 무엇에 집중해야 하는지 알 수 있다. 추적을 통해 작동하는 것과 작동하지 않는 것을 정확하게 볼 수 있다. 추적을 하면 예산을 낭비하지 않고 전략을 다시 계획하고 예산을 최적화하여 분배하는 방법을 알 수 있다.
마케팅 데이터 트래킹- '추적' 을 통하면, 마케팅은 점점 실제로 작동하는 것에 대해서만 투자하게 됨으로서, 계속해서 강화된 디지털 전략을 제공 할 뿐 아니라 투자 수익을 극대화 할 수 있다.
단, 이 모든 것은 개별 혹은 통합된 디지털 마케팅 캠페인을 처음부터 추적하는 경우에만 가능하다.
그런데, 마케팅 데이터 추적은 이제 가장 간단한 프로세스가 되었다. 페이스북, 트위터, 유투브 같은 소셜 미디어나 네이버, 구글과 같은 검색포털에는 이미 기본적인 분석 도구가 내재되어 있다.
데이터분석을 위한 효과적인 추적은 다음의 3가지가 포함된다.
웹사이트 추적
마케팅 캠페인을 추적하는 가장 기본적인 방법이다.
웹 로그 분석을 통해 웹 사이트 방문자의 위치, 방문한 페이지 및 각 페이지의 체류 시간을 확인할 수 있다. 가장 많은 클릭을 발생시키는 마케팅 전술과 고객으로 어떻게 전환되는지 파악할 수 있다.
많은 분석 도구가 있지만 가장 일반적인 도구는 구글애널리틱스(Google Analytics)이다.
GA는 대부분의 웹 사이트 소유자가 사용하는 것이므로 초보자도 사용하고 설정하기가 매우 쉽다. GA를 사용하면 모든 마케팅 데이터를 보다 쉽게 추적 할 수 있다. 웹사이트 방문자가 어디에서 왔으며 얼마나 많은 방문자가 전환되고, 구매하고, 마케터가 원하는 액션을 수행하는지 추적할 수 있다. 특히, GA프로그램 자체로서 서치콘솔(Search Console), 유투브(YouTube) 및 구글애드워즈(AdWords, 광고도구) 와 같은 다른 마케팅 프로그램과 매우 효과적으로 작동하기 때문이다.
광고 네트워크 전환 추적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트위터, 구글Ads 등과 같은 모든 주요 광고 네트워크나 채널은 전환 추적 도구를 제공한다.
이 도구는 유료 광고 캠페인이 실제로 작동하는지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매우 중요하다.
새로운 판매, 가입, 앱 다운로드 등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광고전환추적 작업은 매우 빠르고 쉽게 할 수 있으며, 추적함으로써 확보할 수 있는 것은 초기에 들이는 시간과 노력 대비 엄청나게 훌륭한 인사이트이다.
CRM 추적
CRM(고객 관계 기본적인 전략 분석 기본적인 전략 분석 관리) 플랫폼은 잠재 고객 활동 또는 영업 프로세스를 관리하는 데 주로 사용되는 보다 강력한 도구이다. CRM을 통해 잠재 고객과 고객을 위해 개인화된 프로파일을 작성할 수 있다. 고객별 이름, 주소, 전화 번호, 추천 소스 등의 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고객에 맞는 자사의 비즈니스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된다.
현재 클라우드(SaaS) 기반의 CRM은 이미 고객의 인구통계학적인 정보를 관리하는 것 이외에도, 고객의 반응, 특히 디지털 채널, 웹사이트, 블로그 및 소셜미디어, 챗봇 등에서 관여되는 데이터들을 측정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따라서, 마케팅 캠페인을 추적하는 방법에 있어서 매우 강력하다.
허브스팟(HubSpot)이나 세일즈포스(Salesforce)와 같이 고객의 웹사이트, 소셜미디어 및 개인화 채널 - 이메일이나 채팅 등의 실시간 고객 반응로그를 지원하는 CRM의 경우, 캠페인 ID이나 리드소스 혹은 추천프로그램을 기준으로 잠재고객을 필터링하거나 정렬하여 마케팅 활동의 성과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마케팅데이터분석을 위한 3가지의 추적, '웹사이트추적, 광고네트워크전환추적, CRM추적' 을 하나의 플랫폼에서 운영할 수 있는 가장 효과적인 방식이 바로 여기에 있습니다.
Richard Jo
CEO & Founder at Performars “If you think you can you can. and if you think you can't you're right” Hands-on experience from strategy shaping to business operations in a cross-cultural market environment. Senior trainer at Richardson. Cross-cultural competence Coach. Worked at IBM, Deloitte, Gartner, GfK, Fuji Xerox.
기본적인 전략 분석
마케팅에 대한 이야기를 하나부터 열까지!
차근차근 풀어보는 문모닝의 마케팅공부!
오늘은 SWOT분석에 이어서
마케팅의 꽃이라고 할 수 있는
시장세분화(Segmentation) 에 대해서
제가 감히 STP분석을 마케팅의 꽃이라고 표현하는 이유는
아무리 훌륭한 마케팅 믹스와
효과적이고 참신한 방법을 설계하더라도
우리가 제공하는 고유의 가치를 제대로 인식할 수 없다면
모두 말짱 꽝이기 때문인데요.
STP전략이 무엇인지 먼저 정리를 한 다음
그 중 첫번째인 시장세분화(Segmentation) 에 대해서
소비자들의 욕구와 행동패턴 등은 당연히 상이하고
이러한 모든 소비자들에 대한 통제와 관리는 매우 어렵기때문에
모든 소비자를 충족시킬 수 있는 제품(서비스)의 제공이란
쉽지 않을 일이라는 인식에서 출발합니다.
기업이 가지고 있는 자원은 한정적이기 때문이죠.
따라서 경영의 기본인 산출/투입의 효과를 극대화하고
가장 큰 만족을 얻을 수 있는 표적시장의 선정,
그들의 니즈(욕구)를 잘 충족시킬 수 있다는 인식을 심어주는
과정이 STP전략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시장 세분화 란?
소비자의 니즈와 그들이 상품을 구입함으로써 얻고자하는 편익,
인구통계학적 기준 등을 기초로
욕구가 유사한 동질적 집단으로 분류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제품에 대한 구매 욕구와 행동 패턴 등이 유사한 집단에 따라
몇 개의 소비자 집단으로 군집화함에 따라
각 시장에 대한 차별성 기본적인 전략 분석 있는 마케팅 전략이 사용 가능해지겠죠.
이러한 시장 세분화를 위해서는
기본적인 전제 조건이 있어야 하는데요.
크게 측정가능성(measurability), 규모(substantiality), 이질성(heterogeneity), 접근가능성(accessibility)을
사실 전략이란 말은 마케팅뿐만 아니라, 어느 곳에서도 흔히들 붙여 사용하고 있지만, 그 어떤 전략보다도 마케팅전략이야 말로 마치 하나의 단어처럼 연결돼 있다고 본다.
여기서는 방대한 분야의 전략 부분을 다루기보다 제약 산업 부분에 있어 마케팅전략을 다뤄 보기로 한다.
특히 마케팅 전략과 MSL의 임상전략 수립이 어떤 관계가 있는지를 중점적으로 기본적인 전략 분석 살펴보았다.
>> 전략의 정의와 종류
전략이라는 단어의 사전적 의미는 “특정한 목표를 수행하기 위한 행동 계획”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이렇게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을 하고 대부분의 제약사 마케터들은 전략을 목표 달성을 위한 행동 계획으로 이해하고 있으며, 전략을 수립해 오라고 하면 심포지움 몇 번, 디테일 캠페인 실시 등의 행동 기본적인 전략 분석 계획을 수립해 상급자에게 제출 하는 모습을 많이 보아 왔다.
무엇이 마케터들로 하여금 전략수립을 행동계획수립이라고 해석을 하게 되었는지 우선 전략의 종류에 대해 알아 봐야 한다.
전략의 종류에는 그 범위에 따라 산업전략, 기업경영전략, 기능전략으로 나뉘게 되는데 마케팅은 기능전략에 해당한다.
기능전략은 STP 전략이 기능전력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즉, Segmentation, Targeting, Positioning을 말한다.
많이 들어본 용어로 대부분 알고 있고 한 번쯤은 전략 수립에 있어 시도해봤을 내용들이다.
그러나 대부분 STP 전략이 실제와 다르고 이론은 이론일 뿐이라고 많이 불만을 갖고 있는데 이는 잘못된 것도, 맞는 것도 아니다.
단지 운영함에 있어 어디서부터 시작해야 하는 지에 대한 구제적인 훈련이 되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보여 진다.
이 글에서는 4P나 3C등은 다루지 않고 마케팅의 기능전략인 STP, 그리고 STP 전략 수립이 MSL의 임상전략 수립에 얼마나 중요한 부분인지에 대해 중점적으로 이야기 기본적인 전략 분석 해보고자 한다.
위에 언급한 것처럼 제약 산업 부분에서 마케팅은 기능전략을 수행하는 부서이고 기능전략의 대부분은 STP라고 언급했다. 그럼 이제 기능전략이란 무엇이고 STP는 무엇인지 살펴보자.
>> 전략수립의 전제 조건
전략을 수립하기 위한 기본적인 전제조건은 미션, 비전, 목표, 목적을 수립해야 한다. 미션이란 존재이유를 의미하며, 비젼은 미션의 전체적인 청사진을 말한다.
목표란 비전을 달성하기 위한 행동지침 정도로 이해하면 되는데 목적은 목표를 이루기 위해 설정한 숫자를 의미한다.
가끔 우리는 이런 문장을 자주 접한다. “Vision 2020 1조 달성”. 이 문장이 비전인가?
알기 쉽게 우리 회사가 달성하고자 하는 목적을 나타내기 위해 2020년 1조 원의 매출을 올리는 거야라는 의미라면 쉽게 접근이 가능하다. 그러나 이 문장은 누가 봐도 목적이지 비전이라고 보기에는 무리가 있다.
같은 이유로 마케터에게 올해 목표가 뭐지? 라고 물으면 대부분 “전년도 대비 10% 성장한 얼마입니다.”라고 대답할 것이다. 그러나 목표는 숫자가 아니라 행동지침 혹은 방향성에 대한 답변을 주어야 한다.
그런데 질문을 바꿔서 담당 PM에게 “당신이 담당하고 있는 제품의 기본적인 전략 분석 미션과 비젼은 무엇입니까?” 혹은 “올해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행동지침이나 방향성이 있습니까?” 라고 물으면 대부분 아무말도 못하거나 국내 회사의 경우 제네릭인데 무슨 비젼이 있어요? 또는 경쟁제품을 우리 회사 제품으로 switching하는 겁니다. 라는 대답을 하게 될 가능성이 높다.
앞에서 목적을 언급했지만 목표는 비전을 달성하기 위한 행동지침 혹은 방향성 정도로 이해하면 이해가 쉽다.
일례로 A라는 회사에서 TZD라는 당뇨치료제를 개발했고 PM은 이 제품에 대한 전략을 수립 하라는 지시가 있었다. PM은 어떤 모습으로 전략을 수립해야 할까.
첫째, 우선 제품의 존재이유와 가치를 정의해야 할 것이다.
둘째, 존재이유와 가치를 고객들에게 보여줄 전체적인 청사진이 필요하고 셋째, 청사진대로 행할 행동지침 혹은 방향성이 있어야 기본적인 전략 분석 하고 넷째, 달성하기 위한 숫자를 설정하고 그 설정한 숫자를 달성하기 위한 행동 계획을 수립해야 한다.
여기서 지금까지 흔히 마케터들이 해온 계획이 어디에 해당하는가?
바로 넷째, 숫자를 설정하고 설정한 숫자를 달성하기 위한 행동계획 수립에 집중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럼 이러한 계획이 MSL과 관련이 있는가라는 의문이 들게 된다. 가장 관련성이 깊은 것은 바로 목표, 방향성에 관한 부분이다.
마케팅은 전략의 방향성을 지정하고 행동계획을 세우는데 만약 그 행동계획을 실행할 데이터가 하나도 없거나, MSL의 임상계획은 그 방향성과는 아무 관련 없는 수많은 의미없는 데이터를 가지고 있다면, 또는 반대로 MSL은 임상전략에 맞춰 임상을 진행하고 데이터를 모으는데 마케팅은 전략없이 switching하기 위해 프로모션으로 임상을 진행한다면 어떠한 일이 벌어질지 생각해 보면 마케팅과 임상 전략수립이 동일선상에 있어야 하는 이유를 알게 된다.
>> STP는 무엇인가?
STP 즉, Segmentation, Targeting, Positioning을 말하는데 이 셋이 나란히 있다 보니 S→T→P로 진행 된다고 오해하는 경향이 있다. 이 셋은 순서대로 진행되는 것이 아니라 우선순위에 따라 순서가 결정된다.
처음부터 물건을 만들 때 Target Group을 설정한 경우 T 이후 S나 P의 분석이 이루어지고 이에 따라 전략이 수립될 것이고, S를 먼저 한다면 P나 T가 후에 분석되는 형태로 전략이 수립된다.
>> Segmentation
Segmentation을 한다고 하면 고객에 대한 Segmentation을 진행하는 경우가 대부분인데, 실제 컨설팅 업체에 SFE 업무를 위탁하기 위해 설명을 듣는 시간이 있었다.
대다수의 컨설팅 업체들은 설명과정에서 고객 Segmentation에 대해 이야기를 하며 상당부분을 여기에 할애 한다.
그러나 무엇보다 Market에 대한 Segmentation이 우선 돼야 한다.
왜 market segmentation이 중요하고 무엇인가를 살펴보면 첫째, segmentation은 우선적으로 시장을 세분화해야 한다.
MSL도 전략을 수립하기 위해 담당하는 제품에 대한 시장을 기본적으로 이해하고 있어야 한다.
둘째, 시장 segmentation을 한 후 category화 하는 과정을 거쳐야 하는데 이 과정이 전략을 수립하는 기본적인 기반이 될 수 있다.기본적인 전략 분석
셋째, 이러한 category화 후 고객에 대해 다시 segmentation하고 category화 하는 과정을 거쳐야 한다.
MSL은 이 과정을 직접 경험하지 않아도 좋지만 시장의 분류, 고객의 기본적인 전략 분석 분류에 대한 이유는 알아야 한다.
Market Segmentation이 되지 않은 상태에서 고객에 대한 segmentation과 potential 분석은 아무 의미가 없다.
Market segmentation이 종료된 후 지역별로 특징을 보기 위해 남녀, 연령별 자료 등을 추가로 분석하면 좀 더 세분화 되고 category화 시킬 수 있는 segmentation 작업이 가능 하며 각 category에 맞는 전략을 구상할 수 있을 것이다.
>> Positioning
Positioning의 의미는 확고한 자신만의 자리를 찾아 진입장벽을 만드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Positioning은 크게 3개 Level로 나뉘며 낮은 수준의 positioning, 중간 수준의 positioning, 높은 수준의 positioning 등이다.
낮은 수준의 positioning은 이미지 구축을 의미하고, 중간 수준의 positioning은 틈을 파고드는 positioning을 의미하고 높은 수준의 positioning이 우리가 아는 진입장벽을 만들어 확고한 자리를 자치하는 positioning을 의미한다.
위에 언급한 3개의 Positioning level은 어디로 올라가고 내려가는 것이라기보다는 마케터가 설정하는 것이다.
국내 제약사 마케터들 중 상당수에게 제네릭 제품에 대해 Positioning 전략이 무엇인지 물어 보면 명확한 대답을 하지 않고 당연한 걸 물어 본다는 태도를 보이는 경우가 생각보다 많다.
MSL의 임상전략에 있어 중요한 점은 바로 Positioning 전략의 흐름에 따라야 한다는 점에서 MSL의 임상전략의 수립에 positioning 전략은 상당히 중요한 역할을 기본적인 전략 분석 한다.
>> Targeting
위에 언급한 Segmentation에서 언급한 고객 Segmentation이 targeting을 하는 최종 단계로 보면 이해가 빠를 것이다.
Market Segmentation 후 각 지역별 분석이 종료된 후 category화 된 전략을 통해 어느 지역에 어떤 고객들이 포진해 있고 특징이 어떠한지 2차 Segmentation을 통해 Targeting하는 과정은 상당히 쉬운 일이 될 수 있다.
>> 결론
위에 언급한 바와 같이 STP 전략에 있어서 Positioning은 MSL의 임상전략 수립에 있어 상당히 중요한 부분이며, 또한 마케팅 전략이 왜 잘 수립돼야 하는지, 왜 중요한지에 대해 이해했다면 큰 수확이라고 본다.
최근 국내 제약들의 신약개발 소식이 과거에 비해 자주 들려오는 편이고, 리베이트 방지관련 각종 규정과 법률에 의해 영업과 마케팅의 활동이 위축되는 시점에 기업의 전략적 접근이 필요하다. 국내 제약사들의 마케팅 전략 수립과 MSL의 임상전략 수립을 어느 회사가 우선하고 전략에 따른 데이터 수집을 하느냐에 따라 향후 기업의 미래가 좌우될 수 있는 중요한 기능이라고 생각된다.
기본적인 전략 분석
요새 점점 갈수록 시장에서 마케팅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는데 마케팅이라고 했을 때 가장 많이 이용하는 것 중의 하나가 SWOT분석 입니다. 대학교에서도 많이 배우는것 중의 하나인데 실제로 들어보기는 했어도 잘 활용을 못하시는 분들이 많은것 같아 이야기 해보려고 합니다.
기본적으로 SWOT분석의 구성은 아래와 같습니다.
일반적으로 설명을 하면 위에 있는 장점과 약점은 내부환경, 아래에 있는 기회와 위협은 외부환경이라는 표현을 사용합니다.
쉽게 설명 하면 내부환경은 내 의지로 바꿀 수 있는 부분이고, 외부환경이라는 것은 내가 어떻게 할 수 없는 환경적인 상황에 대한 것이라고 보면 됩니다. 구체적인 사례를 한번 들어보면
위에 내부환경은 내가 가지고 있는 것들이나 나의 의지로 바꿀 수 있는 것들 입니다. 외부환경은 내가 아니라 다이어트를 하기 위한 환경적인 요소에 해당하는 것입니다. 보통 SWOT분석을 하게될 때 그냥 하는게 아니라 SWOT분석을 한 뒤에 SO를 통해서 전략을 도출하는 것까지를 많이 하게 됩니다.
마케팅을 처음 공부하시는 분들이나 마케팅을 하고 있으신데 위와 같은 기본적인 분석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신 분들은 SWOT분석부터 차근차근 하나씩 공부해 나가시기를 추천 드립니다.
0 개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