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S가 TOEFL ® 점수를 조사하는 이유와 방법
아래 설명하는 절차와 옵션은 점수 유효 사례에만 적용되며, 시험의 불규칙함 1 , 응시자 신원의 불일치, 또는 응시자의 부정 행위에는 적용되지 않습니다.
ETS는 응시자, 교육 기관, 정부 기관, 전문 단체, 또는 ETS가 응시자에 대한 중요한 결정을 내리는데 TOEFL ® 점수를 활용하는 허가된 사용자로 인정하는 모든 독립체에 대한 공정성을 위하여 유효하지 않을 수 있는 시험 점수를 검토합니다. 본 페이지에서는 문제가 발생했을 때 ETS가 시험 점수의 타당성을 검증하는 방법과 이유를 설명합니다.
대부분의 시험 점수는 타당성에 대한 이의 없이 ETS에 의해 보고됩니다. ETS가 판단하기에 특정 시험 점수가 유효하지 않을 가능성이 있는 경우, ETS는 응시자가 해당 우려 사항을 다루는 정보를 제출하도록 요청합니다. ETS는 또한 해결을 옵션 유형 및 만료 기간 위해 3가지 옵션을 제공하며, 이는 아래 “해결에 이르는 옵션” 항목 아래 자세히 설명되어 있습니다.
응시자에게는 다음 옵션(선택 사항)이 주어집니다:
- ETS에게 문제가 된 점수 취소를 허가하고 무료로 새 시험에 응시함
- ETS에게 문제가 된 점수 취소를 허가하고 비용을 환불 받음
- 문제를 중재 위원회에 넘김 (시험 당시 미국 내 시험 응시자에 한함)
응시자에게는 옵션 유형 및 만료 기간 법적 조치를 취할 권리가 있습니다. 그러나 소송을 제기한다고 해서 항상 ETS가 잘못되었다고 판단한 점수의 취소가 지연되는 것은 아닙니다.
1 “시험 내 불규칙성”은 시험 응시 관리 방법의 문제를 뜻합니다. 이러한 문제가 일어나는 경우, 이는 응시자 개인이나 단체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이에 해당되는 문제는 응시 관리 오류 (예: 부적절한 타이밍, 부적절한 자리 배치, 부적절한 시험 감독 방식, 기술적 어려움, 자료 오류, 장비 결함 또는 시험 관리 직원의 시험 응시 정책이나 절차 준수 실패) 및 시험 관리 방해를 포함하나 여기에 국한되지는 않습니다.
ETS가 시험 점수에 대한 문제를 제기하는 이유
ETS 시험은 전반적으로 측정을 위해 고안된 능력을 정확하게 평가한다고 여겨지고 있습니다. 그 결과 매 년 ETS 시험에 응시하는 수백만 명의 사람들과 시험 점수를 제공받는 수천 명의 사람들은 ETS가 보고하는 시험 점수의 타당성에 의존합니다. 이것이 바로 ETS가 특정 시험 점수가 유효하지 않을 수 있다고 판단했을 때 그에 대한 문제를 제기하는 이유입니다.
ETS 정책의 수용
ETS는 응시자들에게 자신의 능력을 보여줄 수 있는 동일한 기회를 제공하는 시험을 안전한 표준 조건 아래에서 시행하기 위해 노력합니다. 시험 센터 도착 후 시험 세션 시작 전에 응시자들은 등록 절차 중 ETS 정책과 절차를 수용하는 동의서에 서명하도록 요구됩니다. 응시자들은 이 동의서의 일부로 ETS에게 타당성이 의심되는 점수를 검토하고, 점수가 유효하지 않다는 충분한 증거가 있을 때 해당 점수를 취소할 수 있는 권리가 있음을 인정하게 됩니다.
ETS는 응시자들을 공정하게 대하는 것의 중요성을 이해하며 공정성을 고려한 절차로 고안되었습니다. 아래 제공된 정보를 포함하여, 의심이 가는 점수 사례에 대한 소통은 응시자들이 ETS의 점수 검토 절차를 이해하고 점수 타당성에 대한 문제가 최대한 쉽고 공평하게 해결될 수 있게 고안되었습니다.
ETS가 보유한 응시자의 점수 기록과 작성이 완료된 서류는 ETS가 점수의 허가된 수신자로 인정하는 모든 기관에 공개될 수 있으며, 이는 제한 없이 (1) ETS가 응시자의 요청에 따라 점수를 보고하는 모든 단체, (2) 미국 범죄 및/또는 이민법 행정 또는 시행을 책임지는 기관을 포함한 모든 정부 단체, 그리고 (3) 미국 또는 외국 소환자에 따른 제공이나 적용 법에 따른 제공을 포함합니다.
ETS는 해당 점수의 취소 여부와 점수 취소의 이유에 관계 없이 점수 수신자나 제3자에게 점수에 문제가 제기된 응시자들의 이름을 공개해야 할 수 있습니다. 이때 공개 가능한 정보는 신원 정보, 모든 세부 시험 보안 수사 정보, 그리고 시험이 응시된 시험 센터 관련 세부 정보를 포함하나 여기에 국한되지는 않습니다. 일반적으로 응시자의 정보 공개가 요구되는 이유는 점수 확인, 시험 보안 수사, 그리고 불법 행위 가능성에 대한 시험 점수 수신자의 수사를 포함합니다.
ETS 점수 검토 절차
ETS는 장기간에 걸쳐 시험 점수의 타당성을 검토하기 위한 절차를 마련하였습니다. ETS가 특정 시험 점수가 유효하지 않다는 충분한 증거를 찾지 않는 이상 해당 점수는 예정대로 보고됩니다. ETS가 시험 점수의 타당성이 의심스러운 경우, 해당 응시자는 그에 대해 답변하고 문제 해결을 위한 옵션을 선택할 수 있는 기회가 주어집니다. 문제가 해결될 수 없으면 ETS는 문제가 된 점수를 취소합니다.
ETS는 문제가 된 점수를 검토하기 전, 검토하는 중, 또는 검토한 후에 시험과 관련한 부정 행위가 발생하였음을 발견하는 경우 해당 문제를 내부 부정 행위 절차에 따라 처리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 점수 무효성에 관련해 제공되는 옵션은 해당 옵션이 이전에 제공되었다고 해도 더이상 제공될 수 없게 됩니다.
문제가 제기되는 방법
시험 점수의 타당성에 대한 문제는 다음과 같은 상황에 따라 제기될 수 있습니다:
- 특정 점수의 타당성에 대한 점수 수신자의 문의(해당 문의는 주로 응시자의 능력에 대한 측정 기록 간의 불일치에서 발생함)
- 시험 센터 관리자 또는 다른 응시자들과의 소통
- 기타 내부 및 외부 정보원
ETS는 이러한 출처가 제공한 정보를 고려하기는 하나, 문제가된 점수가 유효하지 않다는 충분한 증거가 있음을 판단하지 않는 한 점수를 취소하지 않습니다.
점수 검토 중 ETS가 고려하는 일부 정보 유형
다음을 포함하나, 이에 국한되지는 않는 정보:
- 응시자가 혼자서 독립적으로 문제를 풀지 않았다는 정보
- 시험 점수가 이전 시험 점수나 기타 응시자의 능력 측정치와 일관되지 않는다는 정보
- 시험 응시 전 또는 도중에 응시자에게 시험 내용이나 답변이 제공되었을 수 있다는 정보
- 외부 출처가 ETS에 해당 정보를 제공함
다음에 대한 비교를 포함하나 여기에 국한되지는 않음:
- 한 응시자의 답변을 다른 응시자들의 답변과 비교한 것
- 특정 응시자의 점수를 이전 점수, 또는 시험 내 다른 섹션의 점수와 비교한 것
- 시험 당일에 작성한 서류의 글씨를 다른 서류의 글씨와 비교한 것
- 시험 당일날 응시자가 제시한 신원 확인 자료와 다른 기록을 비교한 것
- 시험 당일의 정보를 다른 기록과 비교한 것
- 다른 응시자의 답변과 똑같이 답변을 바꾼 것을 비교한 것
- 생체 정보
검토 중 취해진 조치가 없음
점수가 보고되기 전에 해당 점수에 대한 문제가 제기되는 경우, ETS는 해당 점수의 타당성에 대한 우려 사항이 해결되기 전까지는 점수를 점수 수신자에게 보고하지 않습니다. 반면에 이미 보고된 점수에 대한 문제가 제기된 경우, ETS는 검토 및 해결 절차 완료 후 점수 취소를 옵션 유형 및 만료 기간 결정하지 않는 한 (그리고 이러한 결정이 내려질 때까지), 또는 응시자가 정보 제출이나 옵션 선택에 대한 마감일 준수에 실패하지 않는 한 (그리고 이러한 상황이 발생하기 전까지) 취소를 점수 수신자들에게 통보하지 않습니다.
2단계 검토 절차
ETS는 시험 점수가 유효하지 않다는 충분한 증거 없이는 시험 점수를 취소하지 않습니다. 검토 절차에는 공정성을 유지하기 위한 두 가지 단계²가 포함되며, 옵션 유형 및 만료 기간 서로 다른 담당자가 각 단계를 책임집니다.
초기 검토
ETS Office of Testing Integrity (OTI) 는 점수 초기 검토를 책임집니다. OTI 직원들은 ETS에게 제공된 정보에 기반하여 점수 무효성에 대한 충분한 증거가 있는지 고려합니다. 이 경우 OTI는 점수 검토 요약본이라고 불리는 파일을 준비하게 되며, 이는 우려 사항에 관련된 정보와 서류를 포함합니다.
OTI가 무효성에 대한 충분한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하는 경우, OTI는 검토를 종료하고 이미 보고되지 않은 점수를 응시자와 지정된 점수 수신자에게 보냅니다. 그 후 ETS는 점수에 대해 문제를 제기한 모든 점수 수신자에게 점수를 취소할 만한 점수 타당성 문제가 발견되지 않았음을 알려줍니다.
OTI 직원이 점수가 유효하지 않을 수 있다는 충분한 증거를 발견하는 경우, 직원은 응시자에게 이를 통보하고 추가 정보를 제출함으로써 ETS의 우려 사항에 답할 수 있는 단 한 번의 기회를 제공합니다. OTI는 이러한 정보를 받은 뒤 점수 검토 요약본과 응시자가 제출한 추가 정보 모두를 ETS 검토 위원회의 고려 및 결정/추천을 위해 위원회에 전달합니다. 응시자가 ETS의 편지에 표시된 만료 기간까지 답변을 하지 않기로 선택하는 경우, 해당 응시자의 점수는 추가 통보 없이 취소됩니다. 이러한 경우 위원회는 검토를 진행하지 않습니다.
응시자에게는 또한 점수를 취소하고 무료로 다음 시험을 응시하거나, 점수를 취소하고 비용을 환불받을 수 있는 옵션이 주어집니다.
2 Writing 영역에서 표절이 의심되는 경우, 시험 관리 절차에 의해 점수는 자동으로 취소됩니다.
추가 정보 제출하기
OTI는 문제가 제기된 점수가 검토 위원회에게 제출되기 전에 응시자에게 ETS의 우려 사항을 다루는 정보를 제출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응시자들은 자신의 시험 경험에 관련된 정보를 모두 제출할 수 있습니다. 그 예는 다음과 같습니다:
- 문제가 된 시험 응시 전에 작성된, 허가받은 문서 원본은 글씨체 차이에 대한 질문을 해결해 줄 수 있습니다.
- 신체 장애나 기타 장애의 경우, 응시자는 의사의 허가증이나 기타 관련 정보를 제출할 수 있습니다.
검토 위원회는 이러한 정보를 모두 고려하며, 어떤 경우에는 해당 정보가 ETS의 우려 사항을 해결해 주기도 합니다.
반면 검토 위원회는 점수 타당성에 대한 ETS의 의심을 구체적으로 다루지 않는 정보에 거의 중점을 두지 않습니다. 예를 들어, 추천서나 소개장은 2명 이상의 응시자 답변 간의 특이한 일치나 글씨 차이를 설명할 수 없습니다.
검토 두 번째 단계
검토 위원회는 ETS 전문 직원의 공정한 한 일부입니다. 검토 위원회의 일원들은 본인이 관리 또는 행정 책임을 지고 있는 시험 프로그램의 점수를 검토하지 않습니다. 위원회는 순서대로 돌아가면서 패널을 구성해 사례를 검토합니다. 패널 중 단 한 명이라도 무효에 대한 충분한 증거가 마련되지 않았다고 판단하는 경우, 해당 검토는 종료되며 점수는 예정되로 보고됩니다.
검토 위원회는 점수 검토 요악본의 내용(글씨체 차이가 발생한 사례의 경우, ETS가 보유한 외부 서류 검토인의 보고서를 포함함)과 응시자가 제출한 모든 정보를 고려합니다. 검토 위원회가 무효성에 대한 충분한 증거가 있다고 판단하는 경우, OTI는 이를 응시자에게 통보합니다. 이 단계에서 ETS는 해당 응시자의 점수를 취소하기 전에 “해결 방법”으로 설명되는 옵션을 제공합니다. 위에서 설명한 대로 점수 취소는 이 경우에도 여전히 옵션으로 제공됩니다.
해결에 이르는 옵션
첫 번째 옵션 - 응시자가 점수를 취소하고 무료로 새 시험에 응시함
응시자는 ETS에게 문제가 된 점수 취소를 허가하고 무료로 새 시험에 응시할 수 있습니다. ETS는 그에 따라 응시자의 기록에서 기존 점수를 삭제합니다. 점수가 이미 보고된 경우, ETS는 점수 수신자나 기타 제3자에게 응시자의 점수가 취소되었음을 통보합니다.
두 번째 옵션 - 응시자가 점수를 취소하고 응시료를 환불받음
응시자는 ETS에게 문제가 된 옵션 유형 및 만료 기간 점수의 취소를 허가하고 시험 비용을 환불받을 수 있습니다. ETS는 그에 따라 응시자의 기록에서 기존 점수를 삭제하고 응시자가 지불한 모든 적용 가능한 시험 비용을 환불합니다. 점수가 기존에 이미 보고된 경우, ETS는 점수 수신자나 기타 제3자에게 응시자의 점수가 취소되었음을 통보합니다.
세 번째 옵션 - 중재³
응시자는 미국 중재 협회가 지정한 제3의 중재자를 통해 ETS에게 문제가 된 시험 점수의 취소를 뒷받침할 수 있는 충분한 증거가 있는지 확인을 요청할 수 있습니다.
3 중재 옵션은 시험 당시 미국 내 시험 응시자에게만 해당됩니다.
요구 사항
이 옵션을 선택하는 응시자는 중재 과정에 적용되는 절차를 설명하는 표준 ETS 중재 동의서에 서명해야 합니다. 중재는 오직 점수 취소를 뒷받침할 만한 충분한 증거가 있다는 ETS의 결정에 대한 독립적인 검토로 사용되기 위해서만 진행됩니다. 이 검토는 서류만을 기반으로 이루어집니다. 그 결과 중재자는 ETS 검토 위원회가 점수를 취소하기로 결정한 때에 위원회에 제출된 정보만을 검토하게 됩니다. 따라서 응시자들은 중재 과정 중 검토 위원회에게 제공 기간 안에 제출하지 않았던 다른 정보를 제출할 수 없습니다.
중재 비용은 ETS가 부담하게 됩니다.
옵션에 대한 질문
옵션에 대한 질문이 있는 응시자는 OTI에 연락하시기 바랍니다(아래 “연락 정보” 참조 바람).
취소 절차
ETS가 시험 점수를 취소하면 해당 점수는 더 이상 보고할 수 없게 됩니다. 응시자가 지불한 모든 적용 가능한 시험 비용이 환불되거나, 응시자는 다음 시험을 무료로 응시할 수 있게 됩니다. 다른 점수 수신자에게 점수가 이미 보고되지 않은 경우, ETS는 더이상 추가 조치를 취하지 않습니다. 점수가 이미 보고된 경우, ETS는 점수 수신자나 이미 점수를 보고받은 기타 제3자에게 해당 점수가 취소되었음을 통보합니다.
외부 자문
응시자들은 본인이 신뢰하는 인물에게 ETS의 시험 점수 검토 절차에 대한 자문을 구할 수 있습니다. OTI 직원들은 응시자나 응시자의 요청에 따라 해당 질문 해결에 도움을 주기로 한 인물 모두와 함께 ETS 점수 검토 절차를 의논할 수 있습니다. 응시자들은 ETS가 특정 인물과 이야기할 옵션 유형 및 만료 기간 수 있도록 서면 동의를 제공해야 합니다.
연락처 정보
문제가 제기된 시험 점수에 관해 질문이 있는 경우 Office of Testing Integrity(OTI)에 문의하십시오.
이메일: [email protected] 전화: 1-800-750-6991(수신자 부담 전화. 미국, 미국령 버진 아일랜드, 푸에르토리코 및 캐나다)
+1-609-406-5430 (그 외 모든 지역) 우편: Office of Testing Integrity
ETS
Princeton, NJ 08541-6054
옵션 유형 및 옵션 유형 및 만료 기간 만료 기간
전환사채평가 및 회계: 두번째 오류유형-상환권 비분리시 유효이자율계산
-
본문 폰트 크기 조정 본문 폰트 크기 작게 보기 본문 폰트 크기 크게 보기 가
공인회계사 강진홍 [email protected], TEL 02-563-8354, FAX 02-563-8455,
(現)이정회계법인, 「공정가치평가」, 「기업가치평가실무」 저자
전환사채나 상환전환우선주와 같은 전환형 복합상품의 평가 및 회계인식의 두번째 오류유형입니다. 설명 내용 중 일부는 K-IFRS에 대한 해석에 따라 이 글의 내용과 다른 견해를 가질 수 있음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또한, 첨부자료는 본 블로그 내용을 정리한 것으로 누구나 자유롭게 배포할 수 있으나 그 내용에 대해 글쓴이가 회계적 확신을 제공하거나 관련된 책임을 부담하는 것은 아님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아마추어 사진작가 님이 제공해 주신 사진입니다
두번째 오류유형: 상환권을 분리하지 아니한 복합상품의 최초측정에서 현금흐름을 기준으로 주계약의 유효이자율을 계산하여 이자비용을 인식하는 오류
회사는 2018년 1월 1일, 5년 만기 전환사채를 액면발행하였으며 발행조건은 다음과 같다.
- 액면금액: 10,000. 00 원, 액면이자율: 연단리 0.0%
- 만기보장수익률: 연복리 5.0%, 유사채무상품 시장이자율: 10.0%
발행일 전환권의 공정가치는 2,000. 00 원이며, 회사는 전환권을 파생상품부채로 분리인식한다.
또, 발행일로부터 2년이 되는 날(2019.12.31)부터 만기까지 연복리 5.0%를 더한 금액으로 상환해 줄 것을 요청할 수 있는 투자자 상환권(put-option)이 부여되어 있으며, 회사는 상환권을 분리인식하지 아니한다.
회사는 발행가액(10,000. 00 원)에서 분리인식할 전환권가치(2,000. 00 원)를 차감한 금액(8,000. 00 원)을 주계약(상환권 비분리)으로 인식하고 발행금액과 만기까지의 계약상 현금흐름을 일치시키는 유효이자율(9.79%)을 다음과 같이 계산하였다.
위 표에서 만기현금흐름은 계약만기(5년)와 만기보장수익률(연복리 5.0%)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 만기현금흐름: 10,000. 00 원 x (1+5.0%) 5 = 12,762. 82 원
회사는 주계약의 최초측정 유효이자율(9.79%)에 의한 상각표를 다음과 같이 작성하였다.
회사는 상기의 내용에 따라 다음과 같이 회계처리하였다.
내재파생상품을 주계약에서 분리할 지 여부를 정한 기준서(K-IFRS 1109호 문단 4.3.3, B4.3.1)의 3가지 기준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은 「 내재파생상품의 경제적 특성 및 위험이 주계약의 경제적 특성 및 위험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는 지의 여부 」이다.
회사는 상환권을 분리하지 아니하므로 주계약과 상환권의 경제적 특성 및 위험이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고 판단한 것이다. 기준서는 주계약에 내재된 콜, 풋, 중도상환옵션은 주계약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보지만, 「 옵션의 행사가격이 옵션행사일 현재 주계약의 상각후원가와 거의 같은 경우에는 예외 」로 하고 있다(K-IFRS 1109호 B4.3.5).
그러나, 회사의 회계처리를 살펴보면, 상환옵션의 최초행사가능일(2019.12.31) 현재 옵션행사가격(11,025. 00 원=10,000. 00 원 x (1+5%) 2 )과 같은 날 주계약의 상각후원가(9,643. 45 원)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있다. 이는 상환권을 분리하지 아니한 논리적 모순이 있음을 보여준다.
즉, 상환권을 분리하지 않는 회계정책을 견지하기 위해서는 상환옵션의 최초행사가능일(2년 후, 2019.12.31) 현재 옵션행사가격(11,025. 00 원)이 주계약의 상각후원가와 일치하도록 하는 유효이자율을 계산하고 그러한 유효이자율에 따라 이자비용을 계상해야 하나, 계약만기(5년 후, 2022.12.31) 현금흐름 기준으로 유효이자율을 계산하는 회계처리 오류로 인해 발행일 이후 후속측정에서 이자비용과 금융부채를 과소계상하는 오류가 발생하였다.
상업용 부동산 리스 옵션 연장을 올바로 행사하는 방법
만일 리스 기간을 연장할 수있는 옵션이 계약서에 포함되어 있고, 리스 연장을 원한다면, 옵션 행사에 대한 서면 통지서를 적시에 그리고 적법한 방법으로 임대인에게 보내야 한다. 옵션 행사 통지가 하루라도 늦어진다면, 임대인은 리스 연장 요청을 거부할 수 있다. 그러한 경우 임대인은 임차인을 강제로 퇴거시킬 수 있고 연장 조건으로 시장가격보다 높은 금액으로 리스를 인상하거나 추가 조항, 또는 추가 지불을 요구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를 막기 위해서는 옵션 행사를 위한 통지서가 시의적절하게 보내져야 한다.
양식으로 작성된 리스가 아닌이상 그 어떤 리스 계약서도 동일하지않다. 따라서 리스 계약서 및 옵션조항을 자세히 검토하여 필요한 의무 조항을 이해하고 모두 충족시켜야 한다. 대부분의 리스 계약서는 계약 만료 이전 특정 기간 안에 옵션 행사 통지서를 보내야 한다는 요구사항이 있다는 것을 유념해야 한다. 다음은 샘플 조항이다:
임차인은 먼저 임대인에게 계약 만료 최소 6개월 전에 옵션 행사 의사를 서면으로 통지함으로써 옵션을 행사할 수 있으며 12 개월을 넘어서는 안된다.
만일 2017 년 12 월 31 일에 만료되는 리스에 이 옵션 조항을 적용해 본다면, 임차인은 2017년 1월 1일에서 2017년 6월 30일 사이에 옵션 행사에 대한 통지서를 임대인에게 보내야 한다. 어떤 리스 계약은 이 보다 짧은 3 개월을 통보 기간으로 정하기도 한다. 이러한 마감 기한을 정한 이유는 임차인이 옵션 행사의 의사가 없을 경우 임대인이 다른 임차인을 찾을수있는 충분한 시간을 위해서다. 마감 기한을 놓치지 않으려면 Outlook 캘 린더나 다른 방법으로 표시하여 마감일을 넘기지 않도록 해야 한다.
옵션 행사에 대한 통지서는 적법한 방법으로 보내져야 한다. 거의 모든 리스 계약서에 있는 “통지” 조항은 계약서 뒷부분에 있으며 통지서의 전달방법을 다루고 있다. 특정 통지 조항 및 의무사항 여부가 있는지를 검토해야 하며, 이 통지는 대부분 등기우편 (수령 확인이 요구되는), 속달 우편, 또는 기타 우편으로 발송되어야 한다. 이 조항에는 통지서를 보내야 할 임대인의 주소가 있다. 만일 법적 고지를 보내야 하는 주소를 정확히 알지 못 한다면, 임대인 혹은 리스 건물 관리인에게 주소를 확인하고 이를 서면으로 받아야 한다. 통지에 대한 모든 요구사항을 준수해야 나중에 옵션 유형 및 만료 기간 옵션 통지서가 적절한 방법으로 발송되지 않았다는 클레임을 피할 수 있다.
옵션 통보 기한을 놓치거나 적절한 통보를 하지 않음으로 발생하는 옵션 권리 종료 외에도 임차인의 옵션 권리를 종료시키는 조항이 계약서에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대부분의 리스 계약서에는 리스 기간 중 3회 또는 그 이상의 채무 불이행 통지서가 임차인에게 발송되면 채무 이행 여부와는 별도로 임차인은 옵션 권리를 상실한다고 명시되어 있다. 즉, 5년의 리스 기간 중 우편으로 보낸 렌트비가 3번 또는 그 이상 분실되어 제대로 임대인에게 전달되지 않아 채무 불이행 통지서를 받게 되었다면 임차인의 옵션 권리는 상실된다는 뜻이다. 만일 리스 계약서에 이러한 조항이 있고, 임대인으로부터 부당한 채무 불이행 통지를 받았다고 생각된다면 왜 채무 불이행 통지서가 부당한지를 설명하는 반대 서면을 임대인에게 통보해야 한다. 그러한 이의제기의 기록을 남겨두는 것이 나중에 임대인이 임의로 임차인의 옵션 권리를 종결하려는 시도를 막는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거의 대부분의 리스 계약은 옵션 권리가 일단 행사되면 임차인은 차후 책정된 렌트비가 공정시장 렌트비 보다 높게 책정된것임을 알게 된다해도 임차인은 옵션 행사를 철회할 수 없다. 그러므로 연장 옵션을 행사하기 전, 적절한 조사 및 연구가 완료되어야 한다. 옵션이 행사되고, 리스계약서에 공정시장 렌트비 설정 절차가 명시되어 있으면, 임차인은 해당 절차 및 마감일등을 검토해야 한다. 대부분의 리스에는 임대인이 공정 시장 렌트비를 제안하고 이에 대하여 임차인이 정해진 마감일 내에 이의를 서면으로 제기하지 않으면 임대인의 결정이 최종 확정된다.
옵션 권리를 적시에 적절하게 행사하는 것은 비지니스 가치의 유지를 위해 매우 중요하다. 리스 계약서에 있는 옵션 조항의 의무사항의 이해와 옵션 통지서 처리에 도움이 필요하거나 리스 계약과 관련된 다른 문의사항이 있다면 당사에 연락하기 바란다.
옵션 유형 및 만료 기간
보고항목의 구성
거래정보유형 개념 거래정보유형은 개별 보고항목을 그 성격 또는 수집목적별로 구분하여 그룹화한 것으로서 KRX-TR은 수집해야 할 거래정보를 매매정보, 가치평가정보, 담보정보, 기타정보 4가지 유형으로 구분합니다. 매매정보 장외파생상품 거래에 따른 중요 정보로서 기본계약정보와 상품구조정보로 구성됩니다. 기본계약정보는 거래기록정보, 거래당사자정보, 상품분류정보, 거래체결'확인'청산정보로 다시 세분화됩니다.
1. 거래기록정보 : 고유거래식별기호(UTI), 신규/변경/정정 등 입력유형, 거래축약 여부 등의 항목
2. 거래당사자정보 : 보고의무자, 거래상대방, 신탁거래의 수익자, 중개회사, 계산대리인 등의 식별을 위한 항목
3. 상품분류정보 : 상품군(Asset Class), 상품유형(Instrumenet Type), 옵션스타일, 옵션유형, 손익구조결정방식, 결제방식, 결제통화, 기초자산분류 등에 관한 항목
4. 거래체결'확인'청산정보 : 거래일, 거래확인 여부 및 방법, CCP 청산여부 등에 관한 항목 상품구조정보는 세부 계약명세에 해당하는 정보로서 명목금액, 명목통화, 계약의 유효기간, 지급'결제일, 기초자산에 관한 세부정보, 가격 정보 및 기타 손익구조를 확인할 수 있는 항목들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가치평가정보 보고대상거래의 현재가치에 관한 정보로서 가치평가방법, 가치평가통화, 평가가치, 가치평가일 등으로 구성됩니다. 담보정보 거래당사자간 주고 받는 담보에 관한 정보로서 개시증거금(Initial Margin)의 예탁'수취금액, 변동증거금(Variation Margin)의 예탁'수취금액, 담보평가일 등으로 구성됩니다. 기타정보 현행 금융감독원 파생상품업무보고서와 한국은행의 외환전산망 보고서 작성을 위해 필요한 정보로 거래상대방 세부정보, 거래목적, 상품분류 등에 관한 정보로 구성됩니다.
옵션 유형 및 만료 기간
선택한 해석종류에 따라 해석을 위한 기본옵션, 자동화설정 및 각종 고급해석옵션을 확인하고 변경할 수 있습니다. 시공단계 해석의 경우 시공단계 정의시 각 단계별로 별도 설정할 수 있습니다. 해석결과의 경우 요소타입별로 출력되는 결과리스트를 설정함으로써 결과파일의 용량 및 출력시간을 효율적으로 조절할 수 있습니다. 시간이력에 따른 해석, 즉 비정상류 침투, 압밀, 시간이력해석의 경우 결과확인 및 출력을 위한 시간스텝을 별도로 설정합니다.
위 그림은 대표적인 비선형 해석에 대한 해석제어와 결과제어 설정창 입니다. 위와 같이 각 해석종류별로 추가 설정하는 제어옵션 구분되어 있으며 자세한 사항은 아래 테이블과 같습니다.
선형 / 비선형
정적해석
* 압밀해석 ,
* 응력침투완전연계
침투
( 정상류 /* 비정상류 )
( * : 시간스텝을 설정하는 해석종류)
고유치해석 ,
응답스펙트럼
* 선형시간이력
( 모달 / 옵션 유형 및 만료 기간 직접 )
* 비선형시간이력 ,
* 비선형시간이력 +SRM
(* : 시간스텝을 설정하는 해석종류)
모델의 모든 자유면(free surface/edge)에 수압을 외력으로 고려하는 옵션입니다. 수압은 지정된 해당 자유면에서의 간극수압을 기준으로 계산 됩니다.
수위를 지정 한 경우 수위 기준으로 정수압 상태로 가정
이전 침투해석을 수행한 경우 각 절점에서 계산된 간극수압 분포(크기)를 사용
간극수압이 음(-)의 값을 갖는 경우 수압이 자동으로 고려되지 않음.
(주의) 모델 내부 간극수압에 상응하는 외부 수압이 존재하지 않는 상태를 모델링 하는 경우에는 이 옵션을 해제해야 합니다. 수위선을 지정하여 응력해석을 수행하는 경우 자유절점과 해당절점에서 수위높이에 따라 간극수압이 계산되기 때문에, 보다 정확한 지하수위 영향성 검토를 위해선 침투-응력 연계해석을 권장합니다.
단일해석 지반의 응력 상태를 초기화 하기 위한 옵션입니다. 계산된 초기 응력은 자중과 평형 상태를 이루며, 원지반 상태해석에서 단일해석에 정의된 것과 같은 경계조건이 해석에 사용됩니다. 시간이력해석에서 자중을 고려하는 경우 초기 In-situ 응력을 계산해야 합니다. 그렇지 않은 경우, 자중 부가에 의한 원하지 않는 진동이 발생할 수 있으며, 특히 비선형 시간이력해석에서는 자중을 반드시 포함해야 합니다.
방법은 인 상수 값을 이용하여 수직응력으로부터 수평응력을 계산하여 초기응력으로 설정하는 방식입니다.
이 방식을 사용하면 먼저 자중해석에 의해 수직응력 를 구하고, 그 값으로부터 에 의해 수평응력을 구합니다. 이때 전단응력은 해석 후 도출된 결과값을 그대로 유지합니다.
지면이 수평인 경우에는 이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아무 문제가 없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이상과 같이 구한 응력상태는 자중과 평형을 이루지 못합니다.
평형상태를 유지하지 않는 상태로 응력이 조정된 경우에는 이어지는 응력해석에서 외력의 변화가 없는 경우에도 외력과 평형을 맞추는 방향으로 응력이 변화하게 되며, 이에 대한 변형이 발생합니다. 따라서 Ko방법은 이러한 추가적인 응력의 변화가 상대적으로 작은 경우에 대해 적용이 가능한 방법입니다. 일반적으로 Ko방법에 의한 응력 수정을 사용할 수 있는 조건은 다음과 같습니다.
수평방향에 대한 지반 형상의 변화가 미미할 때
간극수압 분포가 수평방향에 대한 변화가 없을 때
수평방향 자유선/면에 대한 경계조건에 의해 수평방향 응력이 발생할 수 있을 때
횡등방성(transversely isotropic) 재료를 사용하는 경우 재료축이 수직 또는 수평 축과 일치할 때
Ko 조건을 고려하지 않을경우 자중에 의한 해석을 통해 얻어지는 응력상태를 초기응력 상태로 설정합니다. 지면이 수평일 때, 이 방식은 인 방법과 동일합니다.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수평방향의 변형률이 존재하므로, 방법과는 다른 결과를 도출하고, 전단응력도 발생하게 됩니다.
일반적으로 지반이 사면인 경우에는 이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다만, 이 방법은 1보다 큰 값을 설정하는 것이 불가능하므로, 1보다 큰 값을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불가피하게 방법을 사용한 후 추가 외부 조건에 변동 없이 재 해석을 통해 평형상태를 계산하는 단계 (null stage)를 추가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단, 이 경우 최종 평형상태 응력은 조건을 만족하지 않게 됩니다. 또한 수정된 응력이 평형점과 차이가 많은 경우 비선형성에 의해 수렴해를 계산하는데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해석 도중에 변위를 초기화하는 조건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예를들어, 원지반 해석 단계에서 자중에 의해 발생한 변위 및 변형율은 고려하고 싶지 않을 경우, 초기화 옵션을 통해서 원지반 상태의 변위와 변형율을 ‘0(zero)’으로 초기화 할 수 있습니다.
또한, 시공단계 해석중 임의의 단계에서 변위 초기화가 가능하므로 몇 번의 중간 단계 해석을 수행한 상태를 기준(reference) 상태로 고려할 수 있습니다. 변위 및 변형율의 초기화는 해당 시공단계 해석이 끝난 시점에서 적용됩니다.
주의) 기하 비선형을 고려한 비선형 해석을 수행하는 경우 총 변형을 임의로 수정하는 것은 단계 사이의 연속성을 보장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기하 비선형 해석을 이용한 시공단계 해석시에는 변위 초기화 기능을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단일해석에 반영된 모델의 초기온도를 설정하는 옵션입니다. 체크하지 않은 경우에는 '해석설정' 에서 정의한 초기온도 값이 고려됩니다. 온도하중에 의한 영향을 검토할 때 적용되며, 입력한 온도하중과의 차이만큼 해석에 고려됩니다.
지하수위 높이를 직접 입력하거나, 미리 수위를 지정한 지정된 수위함수를 선택하여 수위를 설정합니다. 설정된 수위는 모델전체에 적용됩니다. 수위함수를 사용할 경우에 입력하는 값은 함수값과 곱해져서 적용됩니다.
지하수위를 요소망 세트별로 정의할 수 있습니다.
예를들어, 암반 또는 점토질 불투수 층으로 둘러 싸인 지하수층(피압대수층)인 경우, 지층에 따른 지하수위의 유무를 각각 설정하여 해석할 수 있습니다.
전체 지하수위가 입력되어 있고, 요소망 세트 지하수위를 정의한 경우에는 요소망 세트 지하수위가 우선순위로 반영되고 요소망 세트 지하수위가 정의되지 않은 요소망 세트에만 전체 지하수위가 반영됩니다.
부분 포화도 효과는 포화도(saturation)가 불포화 상태(Se=0)에서 포화상태(Se=1) 사이의 값을 갖는 상태에 대한 정확한 해석을 하기 위한 옵션입니다. 부분 포화도는 다음 두 가지에 대해서 적용합니다.
유효응력과 전응력 관계를 계산하는데 부분 포화도를 적용(Bishop의 유효응력 관계식 사용)
재료의 단위 중량 계산에 부분 포화 상태를 고려하여, 부분 포화 상태일 경우 단위 중량은 포화 상태 단위중량과 불포화 상태 단위중량 사이 값을 갖게 됨.
부분 포화도 효과를 고려하지 않는 경우에는 Terzaghi의 유효응력 관계식이 사용되며, 단위중량은 간극수압의 분포에 따라 포화 단위중량 또는 불포화 단위중량이 사용됩니다(사이 값은 사용되지 않음.). 포화도는 간극수압의 함수로 정의 되며, 부분 포화도 효과를 고려 하려면 해당 재료의 불포화 함수(unsaturated property)를 정의하여 간극수압에 대한 포화도의 함수를 정의해야 합니다.
최대 부간극수압을 입력된 수치로 제한하는 옵션입니다. 부분 포화 효과를 고려하지 않는 경우, Terzaghi의 유효응력 관계식이 사용되므로 불포화 상태 지반에 대한 간극응력(pore stress)이 과도하게 계산에 반영 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부분포화 효과를 고려하지 않는 경우 부간극수압을 특정 값으로 제한할 필요가 있습니다. 반대로 부분 포화 효과를 고려하는 경우, Bishop의 유효응력 관계식을 사용하므로 이러한 위험성은 없습니다. 즉, 불포화 상태에서 부분 포화 함수(unsaturated property)를 통해 간극응력의 크기가 제한되며 특별히 부간극수압을 제한할 필요가 없습니다.
시공단계중 원지반조건으로 고려할 단계를 설정하고 Ko고려 여부를 체크합니다. Ko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선행해석' 옵션을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초기단계로 지정된 시공단계는 자동으로 변위및 변형률이 초기화 됩니다.
기본설정은 최종단계까지 계산이지만, 임의단계에서 해석을 멈추고 해당단계 결과를 중간검토 할 경우 최종계산단계를 별도로 설정할 수 있습니다.
시공단계 정의시 각 단계별 해석제어에서 '재시작 단계 저장' 옵션을 체크할 수 있습니다. 이 옵션에 체크된 단계는 별도의 결과파일을 자동으로 저장하며, 한번 해석을 수행한 이후 동일한 모델에 대해 재해석을 수행할때 결과파일을 저장한 다음 단계부터 재해석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많은 시공단계가 정의된 경우 재시작 옵션과 함께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습니다.
비선형 해석에서는 수렴기준을 만족하지 못한 경우, 신뢰성 문제가 야기될 수 있기 때문에 시공단계 해석에서도 각 단계마다 수렴기준 만족 여부가 중요합니다. 특히, 시공단계 해석은 단일 해석에 비해 많은 시간이 소요될 수 있기 때문에 수렴기준을 만족하지 못한 단계가 발생했을 때, 이전 단계까지 결과 파일을 저장하여 모델의 특이사항을 검토/수정하여 재시작 할 수 있도록 '수렴되지 않은 경우, 이전 단계까지 저장' 옵션을 배치하였습니다. 또한 사용자가 중간단계까지의 해석결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해석을 강제 종료했을 경우나, 컴퓨터 시스템의 불안정으로 인하여 해석이 강제종료 될 때를 대비하여 각 단계 별로 결과 파일을 모두 저장할 수 있도록 '모든 단계 저장' 옵션을 배치하였습니다. 단, 시공단계 별로 해석 결과를 모두 저장하는 만큼 결과 파일 용량이 크므로 컴퓨터의 저장 공간 확보가 필수적입니다.
비선형 정적해석에서는 정적하중(static load)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정의된 하중의 총량을 한꺼번에 부가하거나 여러단계를 통해 증분형태로 나누어서 누적량을 부가할 수 있습니다. 하중 증분량이 너무 큰 경우 반복계산을 통하여 수렴해를 계산하는데 어려움을 겪을 수 있고, 반대로 하중 증분량이 과도하게 작은 경우 불필하게 많은 계산 시간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비선형해석은 반복법을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수렴조건을 이용하여 해의 수렴여부를 판단합니다. 수렴 조건에 대한 만족여부는 이전 반복계산에 대한 변위, 하중 또는 에너지의 변화량을 각각의 기준값과 비교하여 이루어집니다. 이러한 세가지 조건 중 선택된 조건이 모두 만족되었을 때 반복계산이 수렴되었다고 판정됩니다.
midas GTS NX에서는 비선형 해석의 해를 계산하기 위하여 반복적으로 오차를 줄이는 방향으로 증분해를 계산하는 방식인 뉴튼랩슨(Newton-Raphson)법을 기초로 한 반복 계산 법을 사용합니다. 기본적으로 반복 계산마다 강성행렬을 갱신하는 Full Newton-Raphson 법을 사용하며, 강성행렬의 갱신시점에 따라 수정뉴튼랩슨 법 또는 초기강성법 등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또한 수렴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선탐색법, 불안정 평형상태를 계산하기 위한 호장법 등 다양한 옵션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석매뉴얼 Ch.5-5 참조). 반복계산 법은 수렴 조건을 만족하는 증분해를 얻을 때까지 반복됩니다. 정확한 수치적 근거가 없다면, 초기 설정된 값 사용을 권장합니다.
초기 호길이 대비 현 증분 호 길이의 변화율의 최소값을 입력 합니다. 호길이가 무한정 작아지는 현상을 방지 합니다.
초기 호 길이 대비 현 증분 호 길이의 변화율의 최대값을 입력 합니다. 호길이가 무한정 커지는 현상을 방지 합니다.
최대 증분 수를 입력 합니다. 호장법을 이용한 비선형 해석은 하중 팩터가 1보다 크거나, 최대 증분 수에 도달 할때 까지 수행 됩니다. 호장법의경우 문제에 따라 주어진 하중까지 해석이 안되는 경우가 있으므로, 이를 대비하여 최대 허용하중 증분수를 입력 합니다.
기본적으로 설정되어 있는 비선형 해법의 파라미터를 이용하는 것으로 대부분 문제에서 '기본 설정 사용' 옵션을 선택합니다. 각 세부 설정은 아래와 같습니다.
반복계산시 마다 매번 강성행렬을 재구성하는 뉴튼-랩슨법과 초기 강성행렬을 유지하는 방법으로 비선형성이 매우 약한 경우에 적합한 초기강성법이 있습니다. 이외, 뉴튼-랩슨의 재료성질에 따른 수렴성 및 효율성을 증대시키기 위한 수정뉴튼 혹은 할선법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자세한 알고리즘은 해석메뉴얼 Ch.5를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사용자 지정의 경우 원하는 방식으로 강성행렬을 재구성 하는 것으로, 반복법, 반자동, 자동중 선택할 수 있습니다.
수렴 실패시 해석 종료 - 수렴 실패시 해석을 종료 합니다. 옵션이 선택이 안된 경우, 수렴이 안된 경우에도 해석을 진행 합니다.
하중 증분당 최대 반복계산 횟수 - 단일 증분에서 최대 반복계산 수를 지정 합니다.
최대 하중분할 레벨 - 최대 양분화 단계를 지정 합니다.
선 탐색 활성화 - 선 탐색 기능을 사용 합니다. 하중에 따라 강성이 증가하는 유연한 구조물 또는 비선형 해석의 해가 진동하면서 수렴하는 특성을 갖는 문제에서 도움이 됩니다. 효력이 없는 문제에서는 해석 시간만 증가할 수 있습니다.
반복계산당 최대 선 탐색 횟수 - 반복계산 당 최대 선탐색 수를 입력 합니다.
선 탐색 허용오차 - 선 탐색 허용오차를 입력 합니다.
발산 허용 횟수 - 수렴하지 않을경우 허용할 발산 횟수를 임의 지정할 수 있습니다. 수정 뉴튼 랩슨 방법은 매 하중증분초기에 강성행렬 재구성 합니다.
접촉요소는 절점공유가 되지 않은 요소사이에 자동생성할 수 있으며, 인접요소를 자동으로 탐색하여 절점공유와 같은 일체거동을 모사하기 위한 요소입니다. 절점공유 실패로 인한 해석상의 오류를 방지할 수 있는 경제적인 모델링 방법 입니다. 따라서, 생성한 접촉요소는 해석에 사용여부를 설정할 때 시공단계상에서 단계별로 임의설정할 수 없습니다. 즉 시공단계 전 단계에 걸쳐 해석에 반영할지 제외할지 여부만 결정할 수 있으며, 단계별로 활성화, 비활성화 처리해선 안되기 때문에, 시공단계 해석제어 에서는 이와 같은 접촉요소의 사용여부를 결정하는 탭이 별도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비정상류 침투해석 수행시 지반내 초기 옵션 유형 및 만료 기간 간극수압 분포를 정의하는 옵션입니다. 시간에 따른 수위변화를 고려하는 비정상류 해석은 반드시 초기조건이 설정되어 있어야 하며 다음과 같이 비정상류 시간 스텝에서 시간이 '0(zero)' 일 때 값을 초기조건으로 선택하거나 임의 지정된 수위높이, 또는 수위함수를 이용하여 초기조건으로 선택할 수 있습니다.
해석 초기 안전율과 각 반복계산 스텝별 안전율 증가분을 입력합니다. 이외 안전율 정확도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안전율 정확도 - SRM을 이용한 사면해석은 강도 감소법(strength reduction method)를 이용하며, 안전율의 정확도(Resolution of safety factor) 값을 입력하여 안전율 계산의 정확도를 지정할 수 있습니다. 안전율의 정확도는 안정성 해석에서 수렴기준으로 사용됩니다. 그러나 안전율 해상도를 과도하게 낮게 입력하면, 해석 시간이 크게 증가하게 되므로 다음과 같은 가이드라인을 활용해 적절한 값을 입력할 필요가 있습니다.
계산하고자 하는 고유진동수의 개수(모드개수)를 입력하고, 구하고자 하는 고유진동수의 범위를 지정합니다. 누락된 고유치가 있는지 확인하는 옵션을 적용할 수 있습니다.
분포(일관) 질량 계산 - 절점 간의 연계항을 고려한 질량 행렬을 사용합니다. 체크 시 분포질량(consistent mass) 행렬이 사용되며, 해제 시 집중질량(lumped mass) 행렬이 사용됩니다. 정확도 측면에서 어느 쪽이 더 높다라는 통념은 없지만, 옵션 유형 및 만료 기간 일반적으로 고유치해석에서 집중질량 행렬을 사용한 경우 분포질량을 사용한 경우 보다 좀 더 유연한(flexible)한 거동을 보이는 경향이 있습니다.
실제 물리량의 최대값이 각 모드별 최대 물리량(변위, 응력, 부재력, 반력 등의 각 성분별 최대값)의 합이라고 가정한다면 각 모드의 최대값을 더하면 되겠지만, 각 모드의 최대값이 동일한 시간스텝에 발생한다는 보장이 없기 때문에 단순 선형중첩만으로는 모드별 최대값에서 실제물리량의 최대값을 표현하기에는 무리가 있습니다.
따라서, 근사적으로 최대값을 평가할 수 있는 모드조합 방법의 도입이 필요합니다. 모드 간의 간섭 특성이나 감쇠의 영향 등을 고려한 여러가지 모드조합 방법이 제안되었지만 모든 경우에 대해서 적절한 근사값을 주는 방법은 없기 때문에 제안된 여러가지 모드조합 방법들의 특성을 잘 파악할 필요가 있습니다. 모달 조합종류는 아래와 같으며, 자세한 알고리즘은 해석메뉴얼 Ch.5를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ABS(summation of the ABSolute value)
이 방법은 모든 모드별 응답이 동일한 위상을 가진다는 가정으로 모드별 절대 최대값이 모두 동일한 시간에 발생한다고 판단하므로 가장 보수적인 결과를 제공합니다.
SRSS(Square Root of the Summation of the Squares)
이 방법은 각 모드가 충분히 분리되어있는 경우에 적절한 결과를 제공합니다.
NRL(Naval Research Laboratory method)
이 방법은 SRSS방법에서 절대 최대값을 가지는 모드( ) 하나만 분리한 형태이며, SRSS방법과 마찬가지로, 각 모드가 충분히 분리되어있는 경우에 적절한 결과를 제공합니다.
TENP(TEN Percent method)
이 방법은 SRSS방법에 인접한 주파수의 모드들에 대한 영향을 포함시킨 방법입니다. 즉, 두 모드의 주파수가 다음을 만족하면 두 모드가 주파수 10% 이하로 인접해있다고 판단합니다.
CQC(Complete Quadratic Combination method)
모드간 상관계수(cross-correlation coefficient) 가 1일경우 SRSS 법의 결과와 동일하게 됩니다.
각 모드별로 사용자가 직접 감쇠비를 정의하고 정의된 모드별 감쇠비에 따라서 모드별 응답을 계산합니다. 직접모달은 응답스펙트럼 / 시간이력(모달)해석법 에서만 활성화됩니다.
사용자에 의하여 직접 입력된 모드별 감쇠비를 제외한 전체모드에 대하여 기본적으로 적용되는 감쇠비입니다. 아래 모드별 감쇠비 우선순위 입력란에서 지정한 특정모드의 감쇠비를 제외한 나머지 모드에 모두 적용됩니다. 입력된 감쇠비가 응답스펙트럼 함수에서 사용자에 의하여 입력된 감쇠비와 다른 경우에는 여기서 입력된 감쇠비를 기준으로 스펙트럼 데이터가 조정되어 해석에 사용됩니다.
사용자가 직접 모드별 감쇠비를 별도로 입력하는데 사용되며 모드번호와 모드별 감쇠비를 별도로 입력한 후 추가합니다.
질량비례형 감쇠와 강성비례형 감쇠의 감쇠정수를 산정합니다. 감쇠종류에서 체크된 항목에 대해 비례계수를 직접입력하거나 모드감쇠에서 비례계수를 자동으로 계산되도록 선택할 수 있습니다.
비례계수의 계산을 위해 모드의 주파수 또는 주기를 입려하고 감쇠비를 지정하면 비례계수가 자동계산 됩니다.
여기서, 모달댐핑에서 부터 질량&강성 계수를 계산할 때 재질 별 감쇠를 해석에 반영시킬 수 있습니다. '재료별 감쇠 계수 보이기' 기능에서 입력된 재료의 감쇠비와 이로부터 계산된 감쇠행렬의 감쇠계수(alpha,beta)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응답스펙트럼 하중 데이터의 보간방법을 선택합니다. 스펙트럼데이터는 주기에 대한 선형보간 또는 로그보간이 가능하며 기본설정은 로그보간법 입니다. 스펙트럼 데이터가 감쇠비에 따라 여러 개인 경우 감쇠비에 대한 보간도 이 옵션을 따릅니다. 감쇠비 하나에 대한 스펙트럼데이터만 있는 경우는 보간이 안되므로, 다음 계산식으로 보정합니다. (1.5/(40x감쇠+1) + 0.5)
20. 시간정의(비선형 시간이력 + SRM)
비선형시간이력 해석 중 SRM 해석 결과를 보고자 하는 시간을 정의합니다. 여러 시간스텝을 정의할 수 있습니다. 정의된 시간의 비선형시간이력 응력결과로부터 SRM 안정성 평가를 진행합니다.
21. 유효전단변형률 (2D 등가선형해석)
입력 지진동 또는 진동하중의 크기에 의해 지반의 전단변형률은 시간에 따라 지속적으로 변합니다. 이를 등가선형해석에 적용하기 위해 유효전단변형률 개념을 도입하고 등가선형치를 가지는 물성으로 단순화 하여 계산하게 됩니다.
주파수영역 해석에서는 모든 주파수에 대하여 일정한 전단탄성계수와 감쇠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므로, 재료의 비선형성을 고려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2D등가선형해석은 이전 단계에서 계산된 전단변형도에 따라 지반의 강성과 감쇠비를 변경하는 선형해석을 반복 수행하여 지반의 비선형거동을 고려합니다. 이때 전단탄성계수와 감쇠값을 정하기 위하여 이전 단계에서 계산된 최대전단변형률에 1 보다 작은 일정한 값(50~70%)을 곱한 유효전단변형률을 사용하는데, 이 같이 유효전단변형률을 사용하는 이유는 아래 그림과 같이 최대전단변형률은 실제 거동에 비해 큰 변형 에너지를 유발하기 때문입니다. 일반적으로 유효전단변형률 계수로 0.65(65%) 또는 지진규모 을 이용한 의 값을 이용합니다. 그리고, 주파수영역에서 RMS(root mean square)로 계산한 최대전단변형률 보다 정확한 전단변형률을 계산하기 위한 기능으로 시간영역에서의 최대전단변형률 계산방식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최대전단변형률 계산방식에는 시간영역과 주파수영역이 있습니다. 시간영역방법은 시간에 따라서 하중(가속도,힘등)의 변화를 정의하고 구조물의 상태를 미분 방정식의 형태로 구성합니다. 따라서, 구조물의 응답은 각 시간간격마다 미분방정식에 대하여 적분을 수행함으로써 변위, 속도, 가속도 응답을 계산할 수 있습니다. 주파수영역 방법은 지진하중과 같이 불규칙한 파형을 가지는 경우 하중에 어떤 주파수 성분이 어떤 비율로 반영되는지 파악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시간영역의 파형을 주파수 영역으로 변화시켜, 하중과 응답의 주파수 특성과 관계 및 비율을 파악할 때 용이합니다.
주파수 영역 해석을 위한 주파수 구간을 입력합니다. 효율적인 주파수 영역해석을 위해 보간법을 사용하는데 보간은 다음 4가지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모든 주파수에서 계산'을 선택하면 해당 주파수 영역에서 모든 주파수에 대한 해석을 수행하며, 간격을 설정할 경우 해당 주파수 영역에서 해석 주파수의 간격이 설정한 간격이 됩니다.
0 개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