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적 분석 전략

마지막 업데이트: 2022년 6월 1일 | 0개 댓글
  •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 푸른주전자 | 2017.10.17 16:49 | 조회수 1277 | 추천 4

earticle

This study validates the trading rules based market anomalies and technical analysis in the Korean stock market. For the analysis, 기술적 분석 전략 we built decile portfolios on the basis of corporate characteristics factors that clearly demonstrate specific patterns of stock returns including the firm size, book-to-market equity, and accruals. This portfolio was used to develop a portfolio based on the moving average trading strategy which was used for popular technical analysis tools, and then that was evaluated using the Sharpe ratio. We also created a zero-cost portfolio to identify the profitability and success rate of the moving average trading strategy. We lastly sought to ensure a more robust evaluation by calculating the Sortino ratio of the portfolio based on the moving average trading strategy with various lags. Key findings from this validation are as follows. First, a smaller firm size, a higher book-to-market equity, and lower accruals led to larger average returns. Second, the risk-adjusted performance of the moving average trading strategy was the highest in terms of the firm size, followed by book-to-market equity and accruals. Third, the 기술적 분석 전략 returns of the zero-cost portfolios all had a positive value, with its overall success rate hovering over 68.8%, demonstrating the successfulness of the moving average trading strategy. Fourth, various evaluations revealed the economic usefulness of our trading strategy that used market anomalies and technical analysis.

본 연구는 국내 주식시장을 대상으로 시장이상현상과 기술적 분석을 이용한 거래전략에 대해 검증하였다. 분석을 위하여 주식수익률의 특정경향이 분명하게 나타나는 기업특성 변수인 기업규모, 장부가/시가, 발생액 기준으로 10분위 포트폴리오를 구성하였다. 그리고 이 포트폴리오를 이용하여 이동평균 거래전략 포트폴리오를 형성하고 이에 대해 샤프지수를 사용하여 성과평가를 실시하였다. 또한 무비용 포트폴리오를 만들어 이동평균 거래전략의 수익성과 성공률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다양한 시차의 이동평균 거래전략 포트폴리오에 대한 소르티노지수를 계산하여 성과평가에 대한 강건성을 높이고자 하였다. 주요한 검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업규모가 작을수록, 장부가/시가가 높을수록, 발생액이 낮을수록 평균수익률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이동평균 거래전략의 위험조정 성과는 기업규모, 장부가/시가, 발생액 포트폴리오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셋째, 무비용 포트폴리오의 수익률은 기술적 분석 전략 모두 양의 값을 나타내고 성공률은 전반적으로 68.8%를 상회하여 이동평균 거래전략이 성공적이라는 것을 보여주었다. 넷째, 다양한 성과평가를 실시한 결과, 시장이상현상과 기술적 분석을 이용한 거래전략에는 경제적 유용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Ⅰ. 서론
Ⅱ. 자료 및 분석모형
1. 자료
2. 분석모형
Ⅲ. 실증분석 결과
1. 요약통계량
2. 이동평균 거래전략 검증
3. 무비용 포트폴리오 검증
4. 마켓타이밍 능력 검증
5. 강건성 검정
Ⅳ.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검색유형 검색유형

초록(한국어)

본 연구는 다양한 기술적 분석(technical analysis)기법 가운데 두 개의 단순주가이동평균선(the simple moving averages of stock prices)을 이용한 교차매매전략(double crossover method)의 유용성에 대한 검증 즉, 주가 또는 단기 이동평균선이 장기 주가이동평균선을 상향 돌파할 때 매수하고 주가 또는 단기 주가이동평균선이 장기 주가이동평균선을 하향 돌파할 때 매도하는 기술적 매매기법에 대한 검증을 시도하였다. 검증을 기술적 분석 전략 위한 자료로는 증권거래소에서 제공하는 한국종합주가지수 일별 주가자료를 이용하였고 전체 표본기간은 1987년 1월 5일에서 2001년 12월 28일까지 설정하여 분석하였으며 효과적인 검증을 위하여 주가 상승기와 주가 하락기로 구분하여 검증하였다. 실증분석을 위하여 표본 교차매매전략의 평균수익률과 보유수익률을 주로 t-통계량으로 검증하였다. 실증분석에 이용한 표본 교차매매전략은 (1, 5), (1, 20), (1, 60), (1, 120), (20, 60), (60, 120) 기술적 분석 전략 기술적 분석 전략 등 총 6개 전략 이였다. 실증분석결과 표본 전기간에서는 주가 이동평균선을 이용한 교차매매전략이 유효한 것으로 보인다. 특히 (1, 5)의 교차매매전략은 분석기간 가운데 가장 높은 성과를 보여 주었다. 그러나 주가지수 연중 최고치, 최저치를 적용하여 구한 주가 상승기와 주가 하락기에서의 실증분석 결과는 교차매매전략이 더 이상 유효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즉 주가 상승기와 주가 하락기를 정확히 알 수 있다면 주가 상승기에서는 교차매매전략보다는 단순 매입보유전략이 유효하고 주가 하락기에서도 단순 매도유지전략이 더 유효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정확한 주가 상승기와 주가 하락기를 알려주는 지표를 찾는 것은 또 하나의 과제라고 볼 수 있다.

DBpia

비밀번호를 변경하신 지 90일 이상 지났습니다.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비밀번호를 변경해 주세요.

비밀번호를 변경하신 지 90일 이상 지났습니다.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비밀번호를 변경해 주세요.

간편 교외 인증 이벤트 응모

표지

내서재 담기 논문보기 다운받기

초록·키워드 목차 오류제보하기

정부는 기술혁신을 통한 경제성장을 견인하기 위하여 R&D 투자를 지속적으로 증가시키고 있다. 따라서, 정부 연구개발 집약도는 매우 큰 폭으로 증가되고 있으나 절대규모에 있어서는 선진국에 비해 여전히 적은 재원을 보유하고 있다. 또한, 연구개발 정책방향이 기술추격형에서 기술선도형으로 전환되고 있어, 공공 R&D 재원의 효율적 활용에 대한 관심도 매우 증가하고 있다. 이에, R&D 효율성을 측정하고, 효율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기 위한 다각적인 시도가 행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NTIS(국가과학기술지식정보서비스)의 과학기술 투자 및 성과 데이타를 활용, 자료포락분석(DEA)을 이용하여 논문, 특허 등 과학기술적 성과관점에서 정부 순수R&D사업의 효율성을 측정하였다. 더 나아가서, 효율성에 영향을 미치는 배분특성을 규명해 보고자 통계적 유의성 확보가 어려운 데이터 문제들을 보완할 수 있는 비모수 분석 방법인 Mann-Whitney 검정을 활용하였다. #정부R&D사업 #과학기술적 성과 #효율성 #자료포락분석 #Wilcoxon-Mann-Whitney Test #Governmental R&D investment #Technological outcomes #Efficiency #DEA #Wilcoxon-Mannwitney Test

[투자론] 골든크로스 전략을 중심으로 한 기술적 분석과 기타 전략들의 비교 분석

90년대 경제성장 이후 한국의 주식 시장이 급격하게 성장하면서 주식을 통해 많은 부를 이룬 사람들이 등장하였다. 이런 상황에서 주식 시장은 전문 투자가들뿐만 아니라 일반 대중에게도 주목을 받기 시작하였고 그 거래량이 급속도로 증가하여 세계에서도 손에 꼽히는 금융시장을 이루게 되었다. (KOSPI 200 선물과 같은 경우 세계 제 1의 거래량을 보일 정도로 그 규모가 크다.) 시장에 참여하는 많은 투자자들을 살펴보면 전문 투자가와 일반 투자자들을 일정한 기준에 따라 두 부류로 분류할 수 있다. 그 기준이 되는 것이 바로 투자 의사결정을 위한 정보를 어디에서 얻는가 하는 것이다. 투자자들이 주식에 투자를 할 때에는 각각의 이론적․논리적 근거를 바탕으로 투자를 하게 된다. 이 때 주식 투자의 이론적 토대가 되는 방식을 크게 두 가지를 나누어 볼 수 있다. 기본적 분석(Fundamental Analysis)과 기술적 분석(Technical Analysis)이 그것들이다. 우선 기본적 분석이란 쉽게 말해 기업의 내재가치를 이용해 주식에 투자한다는 것이다. 시장에 존재하는 정보, 예컨대 투자대상이 되는 기업의 경영요인이나 재무요인 등을 분석하여 실제 기업의 가치보다 낮게 기술적 분석 전략 평가된 주식을 매입하고 과대평가된 주식을 매각하는 방식을 통하여 초과 수익을 달성하고자 하는 것이 기본적 분석을 이용한 투자 방법이다. 이러한 기본적 분석은 재무제표 분석과 같이 수치를 이용한 양적 분석 그리고 경제성장률이나 산업 분석을 기초로 하는 질적 분석이 있다. 기본적 분석과 더불어 현재 많은 투자자들이 이용하고 있는 기술적 분석이란, 주식의 가격은 기업의 내재 가치에 의해서 결정되는 것이 아니고 주식 매매 시점의 시장 수요와 공급에 의해 주가가 결정된다는 것을 전제로 하는 분석 방법이다. 기술적 분석에서는 위의 전제를 토대로 "추세선 분석", "이동평균선 분석", “OBV(On Balance Volume) 분석”, “P&F(Point and Figure)도표 분석”, “VR(Volume Ratio) 분석", "삼선전환도 분석", "Chart 분석", "역시계곡선 분석" 등의 분석을 행하고, 이 분석들을 통해 주식시장에서 초과 수익을 달성하고자 하는 것이 기술적 분석의 궁극적인 목표라 할 수 있겠다. 시장의 모든 정보 또는 공시된 대부분의 정보에 대해 투자자들이 동일한 생각을 가지고 있다면 이러한 정보들은 이미 주가에 반영되었다고 볼 수 있다.(즉, 효율적 시장 가설이 성립한다고 하였을 경우) 이런 경우 공개된 정보를 바탕으로 하는 기본적 분석보다 특정 시점의 수요 공급을 기반으로 하는 기술적 분석이 전자에 비해 좀 더 의미가 있는 투자 방안이라고 생각해 볼 수 있다. 그렇다면 과연 기술적 분석은 정말 초과 수익을 달성할 수 있는 길을 제시해주는가. 이를 검증하기 위해서 기술적 분석에 따른 투자 방법을 채택하여 그 실제적 적용을 해 보고 여기서 얻은 결과가 다른 전략(예컨대 단순 보유 전략)을 채택하였을 때보다 더 많은 수익을 투자자에게 제공해 주는지를 살펴보았다.


● 기술적 분석의 검증 방식(골든크로스 전략을 중심으로)

1. 개요
여러 가지 기술적 분석 방법 중 추세분석을 이용하는 투자자들이 공통적으로 많이 사용하는 투자 기술적 분석 전략 전략인 ‘골든크로스 전략’을 이용하여 과거 데이터를 분석하기로 한다. 분석의 기법으로는 특정 회사를 선정하여 골든크로스 전략을 시행한 것과 단순 보유 전략을 시행한 경우의 수익률을 비교하는 방식과 골든크로스 전략이 시장 수익률에 비해 우수한가를 살펴보는 방식을 채택하였다.
2. 데이터의 분석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기술적 분석 전략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이메일 무단수집 거부 본 웹사이트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게시일 2003년 4월 2일]

사업자등록번호 220-87-87785 대표.신현웅 주소.서울시 서초구 방배로10길 18, 402호 대표전화.070-8809-9397 개인정보책임자.박정아 통신판매업신고번호 제2017-서울서초-1765호 이메일 [email protected] copyright (c) 2009 happynlife. steel All reserved.

기술적 분석 전략

| 푸른주전자 | 2017.10.17 16:49 | 조회수 1277 | 추천 4

저희 인텔리퀀트 스튜디오는 일자별 주가 데이터를 저장하므로 기본적 분석뿐만 아니라, 기술적 분석도 가능한 큰 장점이 있습니다.

그래서, 이번에는 간단하게 기본적 본석에 기술적 분석을 추가하여 전략을 만들어 보겠습니다.

모두 잘 아실 것으로 생각하지만, 먼저 증권 분석은 크게 기본적 분석과 기술적 분석으로 나누어 집니다.

- 기본적 분석(fundamental analysis)이란 시장에서 증권에 대한 수요와 공급에 의해서 결정되는 시장가격이 그 증권의 내재가치(intrinsic value)와 동일하지 않을 기술적 분석 전략 수 있다는 전제하에 증권의 내재가치를 중점적으로 분석하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내재가치가 추정되면 이를 시장가격과 비교함으로써 과소 또는 과대평가된 증권을 발견하고, 이에 따라 매입 또는 매도 투자결정을 하여 초과 수익을 추구합니다. 기본적 분석은 경제분석, 산업분석, 기업분석으로 이어지는 환경적 분석과 재무제표를 중심으로 기업의 재무상태와 경영성과를 평가하는 재무적 분석이 포함됩니다.

- 기술적 분석(technical analysis)은 과거의 증권가격 및 거래량의 추세와 변동패턴에 관한 역사적 정보를 이용하여 미래 증권가격의 움직임을 예측하는 분석기법입니다. 즉, 증권시장의 시황이 약세시장이나 강세시장으로 전환하는 시점과 시장동향을 미리 포착하여 초과 수익을 얻는 데 분석의 초점을 두고 있습니다. 기술적 분석은 과거 증권가격 움직임의 양상이 미래에도 반복된다고 가정하고 있고, 증권가격의 패턴을 결정짓는 증권의 수요와 공급이 이성적 요인뿐 아니라 비이성적 요인이나 심리적 요인에 의해서도 결정된다는 것을 전제하고 있습니다. 기술적 분석은 주로 과거 주가흐름을 보여주는 주가 차트(chart)를 분석하여 단기적인 매매 타이밍을 잡는 방법으로 주로 이용됩니다.

[네이버 지식백과] 기본적 분석과 기술적 분석 (대학생을 위한 실용 금융, 금융감독원)

위의 네이버 지식백과에서 잘 설명하였습니다.

저PER, 저PBR 같은 전략은 주식의 가격이 떨어지면 떨어질 수록 저평가된 주식이라고 인지하고 더 강한 매수를 외치게 되어있습니다. 하지만, 재무분석에서 나오지 않는 외부충격 등으로 인해 이런 종목 중에는 떨어지는 칼날 같은 종목도 포함되어 있지요. 따라서, 우리는 기본적 분석으로 종목을 선정하고, 모두가 잘 아는 기술적 분석 중 가장 기본적인 단순 이동 평균선을 이용하여 매매 타이밍을 잡도록 하겠습니다.

주가가 지속적으로 상승하면 이동 평균선도 올라가고, 주가가 지속적을 하락하면 이동 평균선도 하락합니다. 이런 이동 평균선보다 주가가 높다면 상승반전 혹은 지속적인 상승일 가능성이 커, 진입 기술적 분석 전략 타이밍을 잡기 위해 주가가 이동 평균선보다 높으면 진입하는 아주 단순한 기술적 분석을 추가하여 테스트를 해보겠습니다.

20010715부터 20170414까지, 시가총액 700억 이상, 20일 일평균 거래대금 5억 이상,포트폴리오는 20종목으로 구성하겠습니다..

- 기본 전략을 PER+PBR+ROA으로 20종목,

- 기본 전략으로 30종목 선정 후, 60일 이동평균 위의 종목 20종목까지 포트구성 (60이평),

- 기본 전략으로 20종목 선정 후, 60일 이동평균 위에 있는 종목이 25% 이하이면 주식 비중 0% (60All/Not),

- 기본 전략으로 30종목 선정 후, 120일 이동평균 위의 종목 20종목까지 포트구성 (120이평),

- 기본 전략으로 20종목 선정 후, 120일 이동평균 위에 있는 종목이 25% 기술적 분석 전략 이하이면 주식 비중 0% (120All/Not),

기본 전략에 비해 60이평, 120이평 두 전략이 MDD, 표준편차는 낮아지지만, 샤프레이쇼는 개선 기술적 분석 전략 되지 않는 모습입니다. 반면, All/Not, 120All/Not 두 전략은 MDD, 표준편차, 샤프레이쇼가 모두 개선 되지만, MDD의 하락 폭이 31.65%, 44.31%로 좀 높은 편입니다.

특히, 2008년 금융위기시에는 잘 방어가 되지만, 2003년 닷컴버블 꺼질때는 거의 시장의 손실만큼 손실이 나며, 2016년 중후반 대형주/소형주의 스프레드가 커지는 시점에서 오히려 시장보다 더 큰 손실이 남을 알 수 있습니다.


0 개 댓글

답장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