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제 투자 예시

마지막 업데이트: 2022년 2월 21일 | 0개 댓글
  •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이미지 출처: Pinterst

[투자론] 모의주식투자보고서 예시A(2006년11월)

하고 싶은 말 [투자론] 모의주식투자보고서 예시A(2006년11월)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I.서론
A.투자목적/2p
B.종목선정/2p
C.매매원칙/2p
D.투자기간/2p
E.작성기준 /2p~3P
II.본론
A. 시황/3p
B. 시세/3p~4P
C.종목별 선정사유및 매매내역/5P~19P
(금호타이어,삼성전기,현대산업,현대증권,현대제철)
D.월간매매내역/20p
E.일자별총자산평가액과 수익율/21~22p
III.결론
A.투자결과 분석/23p~29p
B.투자소감등/29p 본문내용 A.투자목적
이론으로 배운지식을 실제 적용하는체험과 그리고 향후 사회인으로 살아가게되면 필수적으로 각종 부동산,예금,주식등에 대한 경제투자활동을 하게되는데 이러한 투자활동중에서도 주식투자의 간접경험은 재태크능력 함양과 금융시장의 이해에 도움이 될것같아서 모의주식투자를 하게되었으며,주식하면 손해본다는 말도 많이 들었는데 원칙투자를 하게되면 위험방지도 되고 안정적으로 할수있을것같아서 매매원칙을 세우기로 하였으며 여러가지 기술적지표를 참고할수도 있겠지만 전문가가 아니라 오히려 판단의 오류를 가져올수있을것같아서 원칙매매를 해보기로 하였습니다.그리고 코스닥이나 중소형주는 변동성이 심하여 학생이나 직장인은 매매하기가 적당하지않다고 하므로 그래도 안정적이라 할 수 있는 코스피200종목내에서 선별하여 하기로 하였습니다.이번기회에 지수대비 환율챠트및 지수대비 투자한종목의 업종지수등락챠트 그리고 매매원칙의 타당성평가 및 매매승율도 산출해보기로 하였습니다.
B.종목선정(금호타이어,실제 투자 예시 삼성전기,현대산업,현대증권,현대제철)
재무제표관점:예측할 수 없는 기업위험를 줄이기위하여 상대적 우량주에 속하는 코스피200종목이내에서 최근결산기 이익인 업체로 그리고 거래량안되는 위험을 피하기 위하여 최근 평균거래량10만주이상인 주식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저평가종목이나 이익증대가 예상되는종목으로 부채비율이 과다하지않은 업체로 가급적 호황업종의 종목군등 참고하여 선정하였습니다.
기술적지표관점:가급적 이동평균선을 이용하여 선정하며,향후기술적분석상 상승이 예상되는 종목으로 선정하였습니다..
C.매매방법
“소문에사서 뉴스에 팔아라”는 속담처럼 뉴스에의한 매수보다는 기술적분석에의한 매매를 중시하는방향으로 정하였으며 전문가가 아니므로 여러지표보다는 한두가지의 원칙에 의한 매매를 준수하기로 하였으며 분산투자의 관점에서 5종목선정한후 종목별로는 최초투자금의 25%이내만 투자키로 하였습니다.
참고문헌 대신 U-CYBOS
http://www.daishin.co.kr/
http://www.krx.co.kr/
http://www.nso.go.kr/

    아직 평가한 내용이 없습니다.

저작권 관련 사항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레포트샵은 보증하지 아니하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됩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본 웹사이트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실제 투자 예시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게시일 2003년 4월 2일]

【핵심 성과 지표】 직무별 KPI 예시 및 주의점

KPI(핵심 성과 지표)를 활용하면 회사가 목표 달성을 위해 하고 있는 일들의 진행 상태를 구체적으로 수치화해서 측정할 수 있습니다. 수치화된 정보를 바탕으로 잘 되고 있는 것과 그렇지 않은 것을 구분해서 추가하거나 줄여서 조정을 할 수 있기 때문에 경영에 큰 도움이 됩니다.

사업 성과를 제대로 확인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KPI를 선택하기 위한 조사와 분석이 필요합니다. 여기서는 직무별로 자주 쓰이는 KPI를 소개하고 KPI 사용 시 주의해야 할 점을 짚어봅니다.

재무, 판매 관련 KPI(핵심 성과 지표)

마케팅 관련 KPI(핵심 성과 지표)

인사, 고용, HR 관련 KPI(핵심 성과 지표)

고객 서비스 관련 KPI(핵심 성과 지표)

영업 관련 KPI(핵심 성과 지표)

R&D(연구 개발) 관련 KPI(핵심 성과 지표)

직무별-KPI

직급이나 직책은 회사에서의 경력이나 지위를 의미하지만 직무의 경우 회사에서 어떤 일을 하는지를 가리키는 말입니다.

예를 들면 재무, 마케팅, 영업, 기획, R&D, HR 등이 있습니다.

재무, 판매 관련 KPI(핵심 성과 지표)

세전 이익에서 세금이나 경비 등을 뺀 이익을 의미합니다.

EBITDA

이자 지불 전, 세금 전, 감가상각 전 이익을 의미합니다.

매출총이익

매출액에서 상품의 제조 원가를 뺀 이익을 의미합니다.

제품을 생산하거나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들어간 비용을 의미합니다. 비용을 삭감하기 위해서는 꼭 파악이 필요합니다.

예상 수익과 실제 수익 비교

목표한 수익과 실제 수익의 차이를 비교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플러스이든 마이너스이든 예측에 오차가 있었다는 의미가 되기 때문에 오차가 발생한 원인을 확인하기 위해서 파악이 필요한 KPI입니다.

지출과 예산 비교

실제로 지출한 금액과 예산 금액이 얼마나 차이가 나는지 확인할 수 있는 KPI입니다. 플러스이든 마이너스이든 예측에 오차가 있는 경우 오차의 원인을 실제 투자 예시 확인하기 위해서 파악이 필요합니다.

부채 비율

자본에 비해서 부채의 비율이 얼마나 되는지 파악합니다. 경영 안정성을 위해서는 부채에 지나치게 의존하는 상태는 피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DSO(판매금 회전 일수)

판매 후 지불을 받을 때까지 걸리는 평균 일수를 의미합니다. DSO가 지나치게 길 경우 안정적인 현금흐름을 확보하기 어려울 수 있기 때문에 관리가 필요합니다.

지역별 또는 국가별 판매

지역별 또는 국가별 판매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KPI입니다. 판매 상태에 따라서 다른 전략이 필요할 수 있기 때문에 파악이 필요합니다.

신규 고객 판매

새로운 고객에 의한 판매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KPI입니다. 새롭게 확보한 고객의 성향과 구매력 등을 파악하는 것은 전략을 수립하는데 큰 도움이 됩니다.

기존 고객에 의한 판매

기존 고객에 의한 판매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KPI입니다. 기존 고객의 성향과 구매력 등을 지속적으로 파악하는 것은 전략 수립에 큰 도움이 됩니다.

제안서 발행과 실제 발주

제안서를 발행수와 실제 발주수를 비교해서 실제 발주로 이어지는 비율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거래 성약

거래가 성립한 수를 파악할 수 있는 KPI입니다.

일정 기간 동안 잠재 고객과 면담한 횟수

판매를 위해서 얼마나 많은 수의 면담을 시도했는지 확인할 수 있는 지표입니다.

반품된 상품 수

판매 후 반품된 상품의 수를 파악할 수 있는 KPI입니다. 반품의 원인을 파악해서 반품의 수를 줄일 수 있습니다.

온라인 매장과 오프라인 매장의 판매 수 비교

온라인 매장과 오프라인 매장의 실적을 비교해서 더 효율적인 판매 경로를 확인해서 전략을 개선할 수 있습니다.

재고 회전율

재고 상품이 판매될 때까지 걸리는 기간을 확인할 수 있는 KPI입니다. 재고 회전율이 너무 낮은 경우는 재고 보관 비용이 증가하고 안정적인 현금흐름을 만들기 어려울 수 있기 때문에 관리가 필요합니다.

평균 매출 규모

평균적인 매출을 확인할 수 있는 지표입니다.

판매 직원 유지비

판매 직원을 유지하는데 들어가는 비용을 파악할 수 있는 지표입니다. 이 지표가 지나치게 높을 경우 수익을 내기 어렵기 때문에 적절히 관리할 필요가 있습니다.

LTV(고객 평생 가치)와 CAC(고객 획득 비용) 비율

한 명의 고객이 평생 사업에 제공할 수 있는 가치와 고객 한 명을 획득하는데 들어가는 비용을 비교할 수 있습니다. CAC(고객 획득 비용)은 항상 LTV(고객 평생 가치) 보다 낮아야만 비즈니스가 성립될 수 있습니다.

【회계・재무팀】 KPI 예시 및 주의점

회계・재무와 관련된 KPI는 회계・재무팀이 전반적인 장기 성과를 측정하기 위해 사용합니다. KPI의 장점은 수량화가 가능하기 때문에 목표 설정을 명확하게 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KPI는 회계・

마케팅 관련 KPI(핵심 성과 지표)

마케팅 직무에서 자주 활용되는 KPI는 아래와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

일정 기간 동안 마케팅 활동에 들어간 비용

마케팅의 효율을 측정하기 위해서 꼭 확인할 필요가 있는 KPI입니다.

웹사이트 접속자수

기업의 홈페이지 등에 방문한 방문자 수를 확인할 수 있는 지표입니다.

자연 검색량

구글, 네이버 등의 검색엔진을 통해 기업 웹사이트 등을 방문한 방문자 수를 확인할 수 있는 지표입니다.

모바일 기기 접속자 수

여러 기기들 중 모바일을 통해 접속한 방문자의 수를 확인할 수 있는 지표입니다. 많이 활용되는 기기의 종류에 따라서 마케팅 전략을 수정할 수 있습니다.

클릭률(CTR)

특정 광고가 노출되었을 때 클릭한 유저의 수를 의미합니다. 광고 콘텐츠의 효율성을 파악하는데 도움이 되는 지표입니다.

특정 콘텐츠의 방문자 수

개별 콘텐츠에 방문한 방문자 수를 측정한 지표입니다. 어떤 형식의 콘텐츠가 더 효율이 높은지 파악하는데 도움이 되는 KPI입니다.

SEO 순위

특정 키워드로 검색했을 때 검색엔진 결과에 나타나는 콘텐츠의 순위를 측정한 지표입니다.

SNS 방문자 수 증가율

SNS 방문자 수가 얼마나 증가했는지 확인할 수 있는 지표입니다.

온라인 마케팅 캠페인에서 얻은 매출

온라인 마케팅 캠페인을 통해 얻은 매출을 확인함으로써 캠페인의 효과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마케팅에서 식별된 잠재 고객(리드)

마케팅을 통해서 잠재적으로 구매할 가능성이 있는 고객의 수를 확인할 수 있는 지표입니다.

※ 리드는 일반적으로 회원 가입을 하거나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는 등의 행동을 한 고객을 의미합니다.

영업을 통해 확인한 잠재 고객

영업, 상담 등을 통해서 충분히 조사한 결과 회사의 제품을 구입할 확률이 높다고 판단된 고객의 수를 확인할 수 있는 지표입니다.

마케팅 가치가 있는 리드(MQL)

잠재 고객으로서 마케팅을 할 가치가 있는 고객의 수를 확인할 수 있는 지표입니다.

영업 가치가 있는 리드(SQL)

잠재 고객으로서 영업 활동을 할 가치가 있는 고객의 수를 확인할 수 있는 지표입니다.

잠재 고객(리드) 당 비용

잠재 고객 1명을 확보하는데 들어간 비용을 의미합니다.

신규 고객

확보된 신규 고객 수를 확인할 수 있는 KPI입니다.

CAC(고객 획득 비용)

1명의 지불한 고객을 확보하는데 들어간 비용을 실제 투자 예시 확인할 수 있는 지표입니다.

업 셀링, 크로스 셀링 비율

업 셀링은 이미 구매한 고객이 더 업그레이드된 상품을 구매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크로스 셀링은 한 제품을 구매한 고객이 다른 제품을 추가로 구매한 것을 의미합니다.

잠재 고객에서 상품이나 서비스를 위해 지불한 고객으로 전환되는 비율을 의미합니다.

SNS 플랫폼 별 ROI(투자 수익률)

SNS 플랫폼 별로 투자 대비 수익 비율을 확인할 수 있는 지표입니다. 자연스럽게 효율이 높은 SNS 등의 비중을 높이도록 전략을 수정할 수 있습니다.

광고 투자 수익률(ROAS)

광고 비용에 비해서 수익의 비율을 확인할 수 있는 지표입니다. 광고 효율을 측정하는데 활용됩니다.

평균 주문당 가치

하나의 주문이 평균적으로 가져다주는 가치를 확인할 수 있는 지표입니다. 이 지표가 너무 낮은 경우는 판매 효율이 떨어진다는 의미이므로 관리가 필요합니다.

총수익을 파악해서 비용 등과 비교해서 마케팅 효율 등을 판단하는데 활용됩니다.

제품 또는 서비스로 인한 수익

특정 제품이나 서비스를 통해 발생한 수익을 확인할 수 있는 지표입니다. 자연스럽게 많은 수익을 발생시키는 제품이나 서비스의 비중을 높이도록 전략을 수정하는 것을 고려해볼 수 있습니다.

LTV(고객 생애 가치)

한 명의 고객이 평생 동안 사업에 가져다줄 수 있는 가치를 확인할 수 있는 지표입니다. LTV를 구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이 있지만 어느 하나가 정확하다는 보장은 없습니다. 따라서 여러 LTV의 평균을 활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평균 LTV = 상품/서비스의 총 생애 수익÷총 유저 수

LTV = ARPU(사용자당 월평균 반복 수익) × 고객 수명

LTV = ARPU(사용자당 월평균 반복 수익) ÷ 사용자 이탈

NPS(순수 고객 추천 지수)

NPS(Net Promoter Score)는 고객이 제품과 서비스를 다른 사람에게 추천하고자 하는 의지가 있는지를 측정하는 지표입니다.

고객의 충성도는 설문 조사를 통해서 확인합니다. 0~10의 수치로 회답을 해주도록 유도하고 답변을 '권유(9,10)', '중립(7,8)', '비판(0~6)' 등으로 분류합니다. 전체 추천자의 비율에서 비판자의 비율을 뺀 수치가 고객 추천도입니다.

인사, 고용, HR 관련 KPI(핵심 성과 지표)

인사나 고용 관련 직무에서는 아래와 같은 KPI가 자주 활용됩니다.

신규 채용자 수

신규로 채용한 직원 수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교육 ROI(투자 수익률)

교육을 통해서 얻은 수익률을 확인할 수 있는 지표입니다.

채용 단가

1명의 신규 채용에 들어간 비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승진 횟수

직원들이 승진한 횟수를 파악할 수 있는 지표입니다.

직원의 이직률

특정 기간 동안 이직한 직원의 비율을 확인할 수 있는 KPI입니다.

직원 만족도

설문 조사 등을 통해 직원들의 만족도를 확인합니다.

은퇴 비율

일정 기간 동안 은퇴한 직원의 비율을 확인할 수 있는 KPI입니다.

결근 비율

일정 기간 동안 직원이 병이나 휴가 등에 의해서 출근하지 않은 비율을 확인할 수 있는 지표입니다. 직원들이 출근하지 않음으로 생산성이 저하되는 정도를 판단하는데 활용됩니다.

연수 후 성장 비율

연수 후 시험 성적이나 성과 지표가 얼마나 성장했는지 확인할 수 있는 지표입니다.

급여 경쟁력 비율

회사의 평균 급여와 동일 업종의 다른 기업이나 업계 전체의 평균 급여와 비교를 통해 확인합니다.

고객 서비스 관련 KPI(핵심 성과 지표)

고객 서비스 관련 직무에서는 아래와 같은 KPI들이 자주 활용됩니다.

NPS(순수 천고객 지수)

NPS(Net Promoter Score)는 고객이 제품과 서비스를 다른 사람에게 추천하고자 하는 의지가 있는지를 측정하는 지표입니다.

모니터링 점수

모니터링 점수는 운영자의 응답 품질 점수의 평균입니다.

고객 불만 발생률

고객 불만 발생률은 기업의 상품 및 서비스에 대해 불만족도를 확인할 수 있는 지표입니다. 고객의 의견을 직접 듣는 콜센터에서는 문제 해결 여부와 통화를 통해 고객이 만족할 수 있었는지를 확인합니다.

Thanks Call 발생 건수

Thanks Call 콜 발생 건수는 고객으로부터 감사의 전화/메일/편지 등을 받은 건수를 의미합니다.

응답률이란 걸려온 전화에 상담원이 대응한 비율입니다. 응답률이 낮다면 상담 요청수에 비해서 상담원의 수가 부족한 상태라는 것을 의미합니다.

차단된 통화 비율

차단된 통화 비율이란 상담원이 대응을 하기 전에 끊긴 전화의 비율을 의미합니다.

통화 중 비율

통화 중 비율은 고객이 전화를 걸었지만 연결되지 않고 통화 중이라고 안내가 되어 버리는 비율을 의미합니다. 주로 전화가 일시적으로 집중되어 대응 가능량을 넘어선 경우 통화 중 안내가 나가게 됩니다.

CS(고객만족)

CS는 Customer Satisfaction의 약자로 '고객 만족'실제 투자 예시 을 나타냅니다. CS는 고객에게 설문 조사를 한 후 설문지의 답변을 수치화해서 계산합니다.

【콜센터 KPI 지표 완벽 해설】 콜센터에 필요한 핵심 성과 지표 17개

콜센터 업무에서 최종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어떤 수치를 지표로 활용해야 할까요? 여기서는 콜센터에서 중요하게 활용되고 있는 KPI를 주요 항목을 분류해서 소개합니다. 콜센터 업무를 개

영업 관련 KPI(핵심 성과 지표)

매출 금액을 확인할 수 있는 지표입니다.

상품 판매수

판매된 상품의 수를 확인할 수 있는 KPI입니다.

대금회수율

판매 후 대금이 회수된 비율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고객 단가

한 명의 고객 당 평균적으로 발생하는 매출을 확인할 수 있는 KPI입니다.

해약된 수를 확인할 수 있는 지표입니다. 일정 수준 이상의 해약 건수가 발견될 경우 원인을 확인해 조정이 필요합니다.

고객 불만 수

고객이 불만을 제기한 수를 확인할 수 있는 KPI입니다. 원인을 확인해 개선하는 것으로 이탈하는 고객을 줄일 수 있습니다.

평균 이익률

하나의 제품이나 서비스를 판매할 때 평균적으로 발생하는 이익의 비율을 확인할 수 있는 지표입니다.

매출원가(COGS)

판매된 제품의 원가를 의미합니다.

LTV(고객 평생 가치)

한 명의 고객이 평생 사업에 제공할 수 있는 가치를 의미합니다.

잠재적 고객과 상담한 횟수를 의미합니다.

고객과 계약을 한 수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투자 수익률 ROI

영업 비용에 비해서 수익을 낸 비율을 확인할 수 있는 지표입니다.

CAC(고객 획득 비용)

한 명의 고객을 획득하는데 들어간 비용을 의미합니다.

R&D(연구 개발) 관련 KPI(핵심 성과 지표)

매출액 대비 R&D(연구 개발) 비율

이 KPI는 매출액에 대비해서 어느 정도 비율로 새 제품을 개발하는데 투자를 하고 있는지 나타냅니다. 기존 제품을 투자한 금액 역시 포함됩니다.

매출 대비 R&D 비율 = (R&D 지출 x 100) ÷ 회사 총매출

R&D 인원수

이 KPI는 회사에서 신제품 R&D(연구 개발)에 종사하는 인원수를 나타냅니다.

신규 특허 취득

신규 특허 취득은 회사의 특허 취득의 진행 상황을 추적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신제품 출시

이 R&D KPI는 기업이 얼마나 많은 신제품을 출시하고 있는지 알려줍니다. 회사가 계획 단계에서 출시를 계획한 수를 측정하고 개발 중인 제품수를 측정합니다.

제품 평균 ROI

이 R&D(연구 개발) KPI는 신제품을 생산했을 때 얻을 수 있는 평균 투자수익률(ROI)을 나타냅니다.

제품 평균 ROI = <(신제품으로 얻은 순이익) x 100>÷ 신제품 생산 비용

KSLOC(코드 1000줄 당 오류)

이 R&D KPI는 소프트웨어 개발 팀이 제품 품질을 측정하는데 도움을 줍니다. 소스 코드 100줄 단위로 에러 수를 측정합니다.

고객만족도(CSAT)

개발된 신제품에 대한 설문조사를 하는 것으로 R&D의 성과를 측정해볼 수 있습니다.

고객 유지율

고객 유지율을 확인하는 것으로 R&D(연구개발)의 성과를 확인해볼 수 있습니다. 만약 기존 라인의 신제품이 개발된 후 고객 유지율이 오히려 떨어진다면 원인 파악이 필요합니다.

고객 이탈률

고객 이탈률은 얼마나 고객을 잃었는지를 파악할 수 있는 KPI입니다.

이 지표는 소프트웨어, 웹사이트, 비즈니스 용 애플리케이션, 비디오 게임 또는 새롭게 개발된 제품이나 서비스 판매를 시작하는 경우 자주 사용됩니다.

무료 평가판을 제공하거나 웹사이트 등으로 고객을 유치해 수익을 내는 경우 활용할 수 있는 KPI입니다.

전환율 = (유료 고객이 된 사용자 수 x 100) ÷ 총 사용자 수

【핵심 성과 지표】 R&D(연구 개발) 부서 KPI 예시 및 주의점

R&D(연구 개발) 부서에서는 어떤 KPI를 사용하면 좋을까요? 여기서는 R&D(연구 개발) 부서와 관련된 KPI를 소개합니다. 목차 R&D(연구 개발) 부서에서 KPI를 사용하는 이유는? R&D(연구 개발) 부서에서

KPI 활용 시 주의점

KPI의 설정 목적을 분명히 한다

KPI는 목적으로 가는 과정(프로세스)이 잘 진행되고 있는지 확인하기 위한 지표입니다. 따라서 팀 혹은 조직의 목표와 연결되어 있어야 의미를 가집니다.

따라서 KPI를 설정할 때는 KPI 목표를 달성했을 때 목표 달성에 어떤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 명확히 정의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KPI의 수를 최소화한다

KPI는 목표 달성의 과정을 잘 보여주고 핵심적인 영향력을 가지는 지표만 선정해서 그 수를 최소화해야 합니다. KPI의 수가 너무 많을 경우 오히려 KPI의 관리에 직원들의 업무 부담만 늘어날 수 있습니다.

책임 소재를 명확히 한다

누가 어떤 KPI를 추적할지를 명확히 합니다. 형식적인 지표가 되지 않도록 어떤 KPI를 누가 담당하고 있는지를 명확하게 하는 것이 KPI를 효율적으로 운영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SMART를 의식해서 KPI 작성한다

KPI를 설정할 때 아래의 SMART를 의식하면 도움이 됩니다.

S pecific(명확성)
M easurable(측정 가능)
A chievable(달성 가능)
R elated(관련성)
T ime-bounded(기한 설정)

예를 들면 "월 매출 10% 증가" 또는 "향후 5년간 순 추천 고객 점수 100% 증가" 등처럼 명확하고 측청 가능하고 관련성이 높고 기한이 있는 지표가 좋습니다.

KPI의 목표는 달성할 가능성이 있을 때 직원들의 의욕을 높일 수 있습니다.

KPI는 팀에서 공유한다

KPI는 목표를 달성하는데 중요한 과정을 세분화한 지표입니다. 자신의 KPI가 전체 목표와 어떻게 이어져 있는지를 파악한 후 자신의 역할을 명확하게 인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정기적으로 KPI를 관리 개선한다

KPI는 지속적으로 점검하고 개선되어야 합니다. 진행 상태를 확인하면서 더 효과가 있는 작업과 그렇지 않은 작업을 분류하고 추가할 부분과 줄일 부분을 선택합니다. 필요하다면 새로운 KPI를 설정하거나 기존 KPI를 폐기할 수도 있습니다.

현장을 반영한 KPI를 사용한다

KPI는 기획팀에서 상황을 파악하고 관리하는데 큰 도움을 줍니다. 하지만 현장의 목소리를 반영하는 과정을 건너뛰게 되면 현장의 상황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한 형식적인 수치가 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KPI를 현장 수준에서 관리하고 활용해야 실제로 팀원들이 실행에 옮기기도 쉽습니다. KPI를 관리・개선하는 과정에서도 토론과 공유를 통해 구성원들의 의견을 반영하고 이해도를 높이는 것은 KPI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 꼭 필요한 과정입니다.

같이 읽으면 좋은 글

【핵심 성과 지표】 부서별, 업종별 KPI 설정 예시와 주의점

특정 부서의 성과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목표를 설정하는 것 뿐만 아니라 그 부서에 맞는 적절한 KPI를 선정하는 것 역시 매우 중요한 일입니다. 여기서는 부서별로 참고할 수 있는 KPI의

【총무·인사·경영 지원】 KPI(핵심 성과 지표) 예시 및 주의 사항

【경영・전략】기획팀 KPI(핵심 성과 지표) 예시 및 주의점 기획팀 혹은 기획부서에서는 기업의 현재를 분석하고 미래를 계획하는 중요한 업무를 담당하고 있습니다. 시장, 소비자, 경쟁사의 정

【디자인・디자이너】 KPI(핵심 성과 지표) 예시 및 주의 사항

디자인이라는 것은 매우 창의적인 작업이고 일반적인 표준을 적용하기 어려운 측면이 있습니다. 이런 특성 때문에 디자인에 관한 KPI를 생각하면 우선은 '디자인・디자이너의 핵심성과지표(KPI)

【KPI】 안전 관련 핵심 성과 지표 예시 및 주의점

안전 관련 KPI는 회사 구성원들의 건강과 안전을 위해서 회사가 어떻게 노력하고 있는지를 보여주는 지표입니다. 건강 및 안전과 관련된 KPI를 관리하면 직원들의 작업 환경의 안정성과 회사가

【경영・전략】기획팀 KPI(핵심 성과 지표) 예시 및 주의점

기획팀 혹은 기획부서에서는 기업의 현재를 분석하고 미래를 계획하는 중요한 업무를 담당하고 있습니다. 시장, 소비자, 경쟁사의 정보를 수집하고 그 정보를 바탕으로 '어떻게 대응해 나갈까',

【프로그래머・개발자・IT】 KPI(핵심 성과 지표) 예시

개발자 그룹의 성과를 정량적으로 측정하는 것은 쉽지 않지만 고객과의 약속인 '제품 품질'과 '납기 기한'을 지키는 것은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적절한 KPI를 활용하면 프로젝트의 진행 사항을

【KPI 작성 방법 완벽 해설】 핵심 성과 지표 작성 예시

KPI(핵심 성과 지표)는 목표를 달성하는데 필요한 과정(프로세스)들을 지표로 수치화해서 진행 상황을 확인할 수 있게 해주는 역할을 합니다. 얼마나 세밀하게 KPI를 설정하느냐에 따라서 사업의

【완벽해설】 KPI와 OKR의 차이 | 핵심 성과 지표 vs 목표와 핵심 결과

KPI(핵심 성과 지표)와 함께 OKR(목표와 핵심 결과)라는 지표가 함께 활용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언뜻 이름만 봐서는 두 지표의 차이점을 알기 어렵습니다. 여기서는 KPI와 OKR의 차이점과 실제 예시

【핵심 성과 지표】 제조업 KPI 예시 및 주의점

업종이나 직종에 따라 효과적인 실제 투자 예시 KPI는 다릅니다. 제조업에서 업무의 효율을 높이고 목표 달성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어떤 지표가 적절할까요? 여기서는 제조업에서 KPI가 어떤 의미를 가지고 어떤

재무 측정항목(Finance Metrics)란? | KPI(핵심성과지표)

재무 측정항목(Finance Metrics)은 뭐하는 거야? 재무 측정항목을 사용하면 회사의 재무 목표에 대비해서 성과를 측정할 수 있습니다. 비용과 비교해서 매출이 어떤지, 판매 목표에 비교해서 판매 추

성장 측정항목(Growth Metrics)란? | KPI | 데이터 분석

목차 참여 측정항목(Engagement Metrics)이 뭐야? 고착도(stickiness)가 뭐야? 가입 해지율(Churn Rate) 참여 측정항목(Engagement Metrics)이 뭐야? 참여 측정항목(Engagement Metrics)은 기업의 성과를 측정하기..

비즈니스 문제 해결을 위해 데이터에 질문하는 방법 | KPI(핵심성과지표)실제 투자 예시

목차 비즈니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필요한 것은? 데이터에 적절한 질문을 하고 공유하는 과정은? 비즈니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필요한 것은? 비즈니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핵심

핵심 성과 지표(KPI)란? | 업종별 KPI참고 사이트 추천

목차 핵심 성과 지표(KPI)의 의미는? 핵심 성과 지표(KPI)는 왜 중요한 거야? 어떤 핵심 성과 지표(KPI)가 적절한지는 어떻게 판단하는 거야? 이 사이트는 어떻게 참고하는 거야? 핵심 성과 지표(KPI)

레버리지 뜻과 투자

지렛대의 원리를 비유하여 실제 가격변동률보다 몇 배나 더 많은 투자수익률이 발생하는 현상을 레버리지 효과라고 한다. 다시 말해 차입자본을 끌어와서 자산을 매입하는 투자전략을 의미한다. 레버리지 투자란 부동산 투자에서 많이 활용되는데 은행 대출이나 세입자의 전세금이 이에 속한다. 보통은 자신이 거주하면서 수익을 얻고, 보증금이 낮은 전월세를 끼고 투자를 할때 효과적인 수익을 얻는 방법이다.

공통조건은 매매가 1억짜리 집을 구매예정이며, 현재 수중에 현금 3천만 원이 있는 상황

대출을 받지 않고 집을 구매할 때,

현금 3천만원 + (매달 100만 원씩 적금 X 70개월) = 1억

대출을 받을 경우( 레버리지 이용 ),

현금 3천만원 + (7천만 원 모두 대출) 매달 대출 이자 지불

=> 당장 내 집 마련 / 시세차익 가능

대출을 받지 않고 집을 구매할 경우 에는 현재 수중에 3천만원밖에 없기 때문에 한 달에 최대 100만 원씩 저금을 한다고 해도 약 6년 후에나 집을 구매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이마저도 불확실하다. 왜냐하면, 6년 후에 내가 매매하려던 집의 매매가가 오를 수도 있고, 6년 동안 건강이 안 좋아지거나 목돈이 들어갈 일이 생긴다면 6년 안에도 집을 매매할 수 없게 될 수 있다.

하지만, 대출을 받고 집을 구매할 경우 상황 은 완전히 달라진다. 7천만 원 대출을 받는다면 매달 대출 이자를 내야 하지만 당장 내 집 마련을 할 수 있다. 또한 시세차익을 볼 가능성도 있다. 7천만 원 대출을 받아 집을 구매한 후, 한 달 만에 집 값이 오른다면 오른 만큼의 이득을 볼 수 있는 것이다.

불확실한 시장 헤쳐 나가기

장기적으로 투자 포트폴리오를 관리한다는 것은 투자자의 의지력을 시험할 수 있는 계기가 됩니다. 아무리 장기 투자 목표를 세운다 해도, 투자자의 감정과 본능은 단기 뉴스 및 시장 움직임에 반응합니다.

불확실성을 극복하는 데는 규율이 필수적이지만, 이는 말만큼 쉽지 않습니다. 단순한 규칙을 따르고 원칙을 고수함으로써, 어떠한 상황에 직면하더라도 대비하도록 스스로 훈련을 할 수 있습니다. 현재 변동성 환경은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이 지속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2018년 투자자들의 의지를 시험할 수 있는 시장 및 거시 경제적 충격이 찾아올 수 있습니다. 충격을 이겨내고 불확실한 시장을 견뎌내기 위해서 투자자들은 장기 전략과 아래의 원칙을 고수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본능이 아니라 신중한 사고(思考)에 기반하여 투자

시장이 반드시 합리적인 방식으로 이벤트에 대응하는 것만은 아닙니다. 자산 거품의 형성 및 붕괴와 더불어 호황 및 불황 사이클은 시장이 존재하는 한 투자의 특성이었습니다.

그 이유는 분명합니다. 투자자들도 사람이기 때문에, 그들의 의사결정은 신중한 사고보다는 감정적인 편향에 좌우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대부분의 투자자가 "저점에서 사서 고점에서 판다"는 이론은 알고 있지만, 이를 실천에 옮기지는 않으며, 잠재적 이익을 놓치는 것보다 손실을 더 두려워합니다.

이러한 우려는 하락장의 바닥에서 추가적인 손실 가능성을 피하고자 오히려 투자를 포기하게 만듭니다. 그러나 이때 투자자는 저점에서 매도함으로써 최고의 상승 기회를 놓칠 리스크를 부담하게 됩니다.

MSCI Asia ex-Japan Index 에 $100,000 달러 투자 성장세, 1988년 – 2017년

MSCI Asia ex-Japan Index 에 $100,000 달러 투자 성장세, 1988년 – 2017년

오직 설명을 목적으로만 사용됩니다. 차트는 일반적인 요약 정보로서 포괄적인 내용이 아니므로 투자 조언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됩니다. 설명된 전략은 개념 및 이론상으로 묘사했습니다.

미래를 예측할 수는 없지만 미래에 대비하여 계획을 세우는 것이 중요

아무리 많은 정보를 보유하고 있더라도 시장의 상승•하락을 장기간 예측하기란 어렵습니다. 특히 며칠에 불과한 상승일들이 시장의 장기 토털리턴에서 상당 부분을 차지한다는 점을 고려한다면 더욱 타이밍을 보고 투자 기회를 찾는 것이 그만큼 어렵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따라서 불확실한 미래를 계획하는 최고의 방법은 장기 전략을 고수하고 지속해서 투자하는 것입니다. 상승 기간을 며칠만 놓쳐도 포트폴리오 수익에 미치는 영향은 막대합니다.

MSCI Asia ex-Japan Index에 $100,000달러 가상 투자 (1988년 1월 1일 – 2017년 9월 8일)

MSCI Asia ex-Japan Index에 $100,000달러 가상 투자 (1988년 1월 1일 – 2017년 9월 8일)

오직 설명을 목적으로만 사용됩니다. 차트는 일반적인 요약 정보로서 포괄적인 내용이 아니므로 투자 조언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됩니다. 설명된 전략은 개념 및 이론상으로 묘사했습니다.

분산투자를 통하여 리스크를 관리

“모든 달걀을 한 바구니에 담지 말라”는 위험 관리에 관한 훌륭한 조언입니다. 투자 자산의 가치가 동시에 상승하거나 하락하지 않기 때문에, 다양한 자산에 투자함으로써 장기적으로 고른 수익률을 달성할 수 있습니다.

자산은 시장이 스트레스받을 때 가격이 함께 움직이는 경향이 있는데 이는 부분적으로 더 큰 손실을 피하고자 투자자들이 팔고자 하는 본능적 충동 때문입니다. 따라서 시장 충격을 이겨내려면 원자재, 부동산, 비전통적 투자 펀드와 같은 대체자산을 포함한 자산의 조합에 포지션을 구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자산별 연간 실적 (미국 달러 기준)

자산별 연간 실적 (미국 달러 기준)

2016년 12월 31일 기준. 출처: Bloomberg, Morningstar. U.S. stocks represented by the S&P 500 Index, developed stocks ex-U.S. by the MSCI EAFE Index, emerging market stocks by the MSCI Emerging Markets Index, U.S. bonds by the BofA/ML Current 10-Year U.S. Treasury Index, non-U.S. bonds by the Citigroup Non-USD World Government Bond Index, emerging market bonds by the JP Morgan Emerging Market Bond Index, commodities by the S&P Goldman Sachs Commodity Index. Returns in USD and include reinvestment of dividends 실제 투자 예시 and capital gains. 과거의 실적이 향후 미래의 실적을 보장하지 않으며 향후 전망에 대한 정확성을 보장하지 않습니다. 지수 성과는 오직 예시목적으로 표시했으며, 지수에 직접 투자할 수는 없습니다. 해당 전략(가설)은 매년 1월 1일에 전년도 최고/최저의 실적에 100% 투자를 가정합니다. 사용된 특정 자산은 예시 및 설명의 목적으로 사용되었으며, 투자자문의 의도로서 작성된 것이 아니며 또한 특정 증권에 대한 매수, 매도의 권고, 제공, 판매 권유 또는 특정한 투자전략을 채택하려는 목적으로 작성된 것이 아닙니다.

현금에 대한 기회 비용 고려

불확실성의 시기에는 투자자산을 현금화하고자 하는 본능이 강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현금을 보유하는 기간이 길어질수록, 인플레이션을 고려할 때 그 현금으로 실제 구매할 수 있는 대상은 감소합니다.

예컨대 2007년 10만 홍콩 달러를 보유하기로 했다면, 2016년 말 같은 돈으로 살 수 있는 상품 및 서비스는 2007년에 비해 73%에 불과합니다.

2007년 기준 특정 통화 $100,000의 내재 구매력(Implied purchasing power), 2007년-2016년

2007년 기준 특정 통화 $100,000의 내재 구매력(Implied purchasing power), 2007년-2016년

출처: 각 정부통계당국의 CPI 지표.
참고: 수치는 연말 값 입니다. 현지 통화 단위 100,000에 전년동기대비 CPI 변동률을 적용하여 연 복리로 계산한 숫자(해당연도 x = (x-1 값)/(x의 경우 1+CPI))

원칙 있게 투자

본인의 감정을 통제하고 투자를 하거나 시장에서 투자를 종료하고자 하는 유혹을 뿌리칠 수 있는 한 가지 방법은, 예를 들어 매월 간격을 두고 일정한 돈을 따로 분리하여 정기적인 투자를 하는 것입니다. 첫째 효과적으로 예산을 수립할 수가 있고, 둘째 어떠한 상황이 발생하더라도 본인이 투자하기로 한 금액에는 변동이 없으므로 투자 계획이 단기적 시장 뉴스에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마지막으로, 가격이 낮을 때는 주식 또는 펀드 좌수를 더 많이, 가격이 높을 때는 더 적게 매수할 수 있으므로 가격 변동의 영향이 실질적으로 고르게 됩니다. 수시로 시장에 진입 혹은 청산하거나 불규칙하게 뭉칫돈을 투자하는 경우와 비교할 때 더 높은 수익률을 기록할 가능성이 커집니다.

이러한 "매입 단가 평준화" 기법의 이점은 다음과 같은 가설적 사례에서 알 수 있습니다. 매월 소액을 정기적으로 투자한 투자자의 경우 주가가 하락했을 때 주당 평균 비용이 하락하는 효과가 있습니다.

예시 전략 1: 주가와 관계없이 매달 $1,000달러를 적립식으로 꾸준히 투자

예시 전략 1: 주가와 관계없이 매달

예시 전략 2: 연초에 $12,000달러를 일시금으로 투자

예시 전략 2: 연초에 $12,000달러를 일시금으로 투자

제공된 실제 투자 예시 정보는 예시 및 설명의 목적으로 사용되었으며, 투자자문의 의도로서 작성된 것이 아니며 또한 특정 증권에 대한 매수, 매도의 권고, 제공, 판매 권유 또는 특정한 투자전략을 채택하려는 목적으로 작성된 것이 아닙니다. 적립식 투자는 지속적인 투자를 포함하므로 투자자는 모든 시장 환경에서 정기적으로 투자를 계속할 수 있는지를 고려해야 합니다. 투자는 운용결과에 따라 투자원금의 손실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차트 및 자료는 미국달러 기준입니다.

영어 비즈니스 이메일 작성 꿀팁&실제 예시

여러분은 직장 생활, 또는 학교 생활을 하면서 얼마나 자주 이메일을 작성하나요? 아마 대부분의 직장인 분들은 업무 시간 동안 거의 매일 수많은 이메일을 작성하고, 또 받을 것입니다. 학생분들의 경우에도 교수님께 문의 메일을 보내거나 과제를 제출하는 등 여러가지 상황속에서 이메일을 작성할 일이 자주 있기 마련입니다.

영어 이메일, 회사에서 이메일 작성하기, 비즈니스 이메일

이미지 출처: Canva

그런데 혹시 영어로 이메일을 작성할 일이 있지는 않으셨나요? 요즘은 글로벌 시대에 걸맞게 반드시 외국계 회사가 아니더라도 영어로 비즈니스 이메일을 작성해야 하는 상황들이 종종 맞닥뜨리게 됩니다. 해외취업 또는 외국계 기업 구직을 준비하시는 분들도 인사담당자에게 영어로 비즈니스 이메일을 작성해야 할 경우가 생길 수 있죠.

이처럼 우리는 언제 어디서 영어로 비즈니스 이메일을 작성해야 하는 상황이 올지 모르는 세상에 살아가고 있습니다. 영어로 이메일을 작성하는 것이라면, 그냥 한국어 이메일을 그대로 번역하여 사용하면 되는 것 아니냐구요? 영어 이메일, 그 중에서도 영어 비즈니스 이메일은 한국어 비즈니스 이메일이 그러하듯 특정한 톤앤매너, 포맷을 가지고 있습니다. 한국어 이메일과는 차이점이 있기 때문에 한국어를 번역하여 작성할 경우 굉장히 어색해질 수 있답니다.

자, 그렇다면 오늘은 영어 비즈니스 이메일이 한국어 이메일과 어떻게 다른지 차이점을 짚어본 다음. 실제 이메일 예시를 통해 작성 꿀팁을 소개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

짚고 넘어갈 한국어 vs 영어 비즈니스 이메일 차이점

한국어 비즈니스 이메일 포맷

한국어 비즈니스 이메일은 보통 위와 같은 형식으로 이루어집니다. 위의 이미지에서도 볼 실제 투자 예시 수 있듯이 제목은 언제나 이메일 본문의 내용을 한 번에 요약할 수 있는 내용이어야 합니다. ‘[자료요청]’처럼 요청하고자 하는 주요 내용을 ‘[ ]’를 통해 먼저 제시하고, 자세한 내용을 제목에 덧붙이는 것도 팁이 될 수 있어요.

한국어 비즈니스 이메일에서는 대부분 인사말을 작성하지 않는 편입니다. ‘안녕하세요 센터장님,’ 과 같이 짧은 인사 후 바로 본론을 실제 투자 예시 작성하면 됩니다. 본론을 작성할 때는 가독성을 높이기 위해 단락을 나누어 작성하는 것이 보편적인데요. 위 이미지처럼 요청할 사항을 번호로 1. 2. 3. 과 같이 번호로 매겨주는 것도 방법입니다.

한국어 비즈니스 이메일에서는 끝인사도 보편화 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보통 ‘감사합니다.’ 와 같은 짧은 감사인사를 끝으로 메일을 마무리 합니다.

영어 비즈니스 이메일 포맷

영어 이메일, 영어 이메일 작성하기, 비즈니스 이메일

이미지 출처: Pinterst

영어 비즈니스 이메일은 보통 위와 같은 형식으로 이루어집니다. 제목이나 본문을 작성하는 것에 있어서는 한국어 비즈니스 이메일과 큰 차이점이 존재하지 않습니다.

다만, 영어 비즈니스 이메일에서는 첫인사나 서론이 비교적 간결화 되어 있으며 본론을 여러 문단으로 나누어 작성하는 것이 보편적입니다. 본문의 마지막 부분에서는 한국어 비즈니스 이메일과 같이 요청 사항 또는 중요한 사항을 한번 더 요약하여 기재함으로써 강조하기도 합니다. 필요에 따라서는 요청한 사항을 ‘언제까지’전달해야 하는지 기한이나, ‘Looking forward to talking to you soon’과 같이 의례적인 끝인사를 덧붙이기도 합니다.

한국어 vs 영어 비즈니스 이메일 차이점

1)제목만 봐도 중요도를 알 수 있도록

한국어 비즈니스 이메일과 영어 비즈니스 이메일 모두 제목의 핵심은 한눈에 본문의 내용을 파악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바쁜 업무 상황 속에서 필요한 정보만 쏙쏙 요약한 제목은 상대방에게도 비즈니스 매너가 될 수 있겠죠.

영어 이메일, 영어 한국어 차이, 비즈니스 이메일, 한국어 영어 비즈니스 이메일 차이

이미지 출처: Pinterest

한국어 비즈니스 이메일에서 제목은 보통 “2022년 1월 A브랜드 매출 현황 자료 요청” 또는 “2022년 1월 A브랜드 매출 현황 자료 요청 드립니다.”와 같이 작성합니다. 영어 이메일에서는 어떨까요? 영어 이메일 역시 한눈에 내용을 파악할 수 있도록 작성합니다. “*Meeting Rescheduled for Tuesday”*와 같이 말이죠. 예시에서 알 수 있듯이 제목만 보아도 회의 스케줄에 변동이 있으며, 화요일로 변동 되었음을 알리는 메일이라는 사실을 금방 알아챌 수 있습니다.

여기서 한 가지 팁이 있는데요. 영어 이메일에서는 제목 앞에 ‘[ ]’ 표시를 사용하여, 해당 안건의 내용의 긴급성과 중요도를 표시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중요 메시지일 경우 제목 앞에 ‘[Important]’, 긴급한 사안이므로 바로 처리가 필요할 경우 ‘[Urgent]’, 수신자가 반드시 실행을 해야 하는 경우 ‘[Action Required]’, 반드시 읽어야만 하는 메일일 경우 ‘[Must Read]’와 같이 작성할 수 있습니다. 정말 사소한 차이지만, 제목 에서부터 비즈니스 이메일을 한층 돋보일 수 있는 팁이랍니다!

2)호칭의 차이

대부분의 한국어 비즈니스 이메일은 ‘~님께’ 라는 수신인을 별도로 문두에 표시하기 보다는, 바로 ‘안녕하세요, ~님’ 으로 작성을 시작합니다. 영어 비즈니스 이메일은 수신자에 대한 호칭을 표시하는 것에 약간의 차이가 있는데요. 본격적으로 메일 작성에 들어가기 전에, 수신인에 대한 호칭을 ‘Dear+이름/직급’ 으로 표시합니다. 예를 들어, 인사 담당자 에게 메일을 발신하는 경우, ‘Dear HR Manager’ 로 작성하면 되겠죠.

직급이 아닌 이름으로 수신인을 호칭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영어 비즈니스 이메일에서는 ‘Mr./Mrs.+이름’ 으로 수신인을 호칭하면 됩니다. 만약, 회사의 부서 또는 그룹 전체에 발신하여 수신인의 이름이 명확하지 않거나 모르는 경우는 어떻게 표시해야 할까요? ‘To whom it may concern’ 이라는 표현을 사용하여 수신인을 칭하면 간단히 해결할 수 있답니다.

영어 이메일, 영어 이메일 작성하기, 비즈니스 이메일

이미지 출처: Canva

여기서 한가지 팁! 영어로 해외에 비즈니스 이메일을 작성할 경우, 한글 이름을 영문으로 작성해야 하는 상황이 발생하는데요. 이름이 홍길동이라면, *‘Kil Dong Hong’*또는 *‘Hong Kil dong’*과 같이 작성하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외국의 경우, 한국어 이름에 익숙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상대방이 다음 이메일 발신 시, 어떻게 호칭해야 할지 혼란스러울 수 있습니다. *‘Kil-Dong, Hong’*과 같이 성과 이름을 잘 구별하여 작성해주면 좀 더 배려 있는 이메일이 될 수 있겠죠?

3)끝인사의 차이

한국어 비즈니스 이메일은 영어 이메일과 달리 메일의 끝인사 부분을 반드시 작성하는 것은 아닙니다. 비즈니스 이메일의 끝부분은 대부분 메일의 전체 내용을 요약할 수 있는 한 문장, 또는 주요 요청사항에 대한 덧붙임 문장으로 구성됩니다. 대부분 끝인사로는 ‘감사합니다’, 또는 ‘답장 기다리고 있겠습니다.’ , ‘연락 바랍니다.’ 와 같은 내용을 작성합니다.

반면 영어 비즈니스 이메일에서는 대부분 상용구 이기는 하지만 끝인사를 꼭 작성하는 편입니다. 보통 수신인의 이름 앞에 간단히 한 문장을 덧붙여 끝인사를 하는데요. ‘Looking forward to talking to you soon.’ 과 같은 마무리 문장 뒤에 ‘Best regards’, ‘Sincerely’, ‘Regards’ 와 같은 문구를 사용하여 메일을 끝맺음합니다.

예시로 배우는 영어 이메일 작성법

여기까지 영어 비즈니스 이메일과 한국어 비즈니스 이메일 각각의 포맷과 차이점에 대해 살펴보았습니다. 비슷한 듯 하면서도 다른 점이 존재하는 영어 비즈니스 이메일, 이해가 잘 되셨나요?

여러분의 더 쉬운 이해를 돕기 위해 실제 비즈니스 이메일 샘플을 가져왔습니다. 제목부터 끝인사까지 실제 투자 예시 대부분의 상황에서 사용되는 문장을 모두 포함한 비즈니스 이메일 예시이니, 집중해주세요!

예시로 살펴볼 이메일은 채용 담당자가 지원자에게 포지션을 “제안(Suggestion)”하는 이메일입니다.

영어 이메일, 영어 이메일 작성하기, 비즈니스 이메일

이미지 출처: Canva

제목: 마케팅 인턴 포지션 제안드립니다.

저는 ABC 회사의 인사팀 채용 담당자 XX 입니다.

이렇게 갑자기 연락드리게 되어 사과의 말씀 전달드립니다.

다름이 아니라, 링크드인에서 XX님의 프로필을 검토해본 결과, ABC회사의 마케팅 인턴 포지션과 부합한다고 생각하여 연락드렸습니다.

해당 포지션에 관심이 있으시다면, 연락주시면 더 자세한 정보 전달드리겠습니다.

인사팀 채용담당자 XX 드림

Subject: Career Opportunity from XX (Company Name)-Marketing Intern

Dear XX, (Recipient)

A pleasure to speaking with you, my name is XX, hiring manger of XX company.

I sincerely apologize for my sudden contact today while you are very busy.

We are currently hiring Marketing Intern in our XX (Company Name) and thought your profile would highly match to ours.

If you are interested, I will be more than happy to exchange more information. May I kindly ask your thoughts?

Thank you very much again for your time and will look forward to your response again

Hiring manger at XX*(Company Name)*

위의 예시에서도 알 수 있듯이 한국어 비즈니스 이메일과 영어 비즈니스 이메일은 몇 가지 차이점이 있으니, 작성에 꼭 주의해야 합니다. 어떤 언어로 비즈니스 이메일을 작성하든 항상 기본은 비즈니스 매너를 지키는 것이겠죠?

비즈니스 매너란 결국 상대방을 배려하는 마음에서 출발하는 것이니, 가독성 있는 이메일을 작성하여 읽는 시간을 줄여줘야 한다는 것, 꼭 기억하세요! 앞에서 소개한 포맷과 예시를 참고하면 충분히 자연스러운 영어 비즈니스 이메일을 작성하실 수 있을 거에요.

위의 예시에서는 채용 매니저의 예시를 들었지만, 만약 현재 직장에서 담당하고 있는 부서와 관련된 이메일을 작성한다면 내용은 크게 달라지겠죠.


0 개 댓글

답장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