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 용어모음 총정리

마지막 업데이트: 2022년 6월 1일 | 0개 댓글
  •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주린이-용어-모음-썸네일

주식 용어모음 총정리

주식 용어 영어에 대해 궁금해하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아무래도 국내주식도 국내주식이지만 요즘들어 해외주식에 관심을 가지는 사람이 급증하다보니, 주식 용어 영어를 배우려고 하시는분들이 많습니다. 해외주식을 투자하려면 그래도 기초적인 주식 용어 영어를 알아야하기에 제 글을 찾으러오신 분들이 계실텐데 오늘은 주식 용어 영어를 기초부터 시작해서 심화까지 총정리 해보았습니다.

주식용어영어

본인이 주식투자를 어디에다가 투자해야할 지 잘 모르겠다면 요즘에는 휴대폰번호로 매일 추천종목을 조회할 수 있는 서비스가 있습니다.

제가 알기론 전화번호를 입력하면 급등 예상주를 확인할 수 있는 서비스이기에 관심있는 분들은 잘 찾아보시길 바랍니다.

주식 영어 용어 정리

기초단어

5.stock market : 주식시장

7.close price : 종가

9.close price : 종가

10.open : 금일 장초 시작가

11.Previous Close : 전일 종가 (전일 장마감 기준가격)

12.Volume : 거래량 (높으면 높을수록 거래가 활발)

15. 52 Week Range : 52주 변동치

16.Markt Cap : 시가총액

17.Day's Range : 하루 변동치

18.PE Ratio : 주당 시가를 주당 이익으로 나눈 수치

주가를 지난 12개월동안 1주당 순이익으로 나뉘어 계산하는 것으로 시가총액을 기업이 만들어 낸 순이익으로 나눠 계산할 수 있습니다.

19.1y Target Est : 1년 목표주가/ 전망치

20.Ex-Dividend Date : 배당락일/ 배당기준일이 지나서 배당금을 받을 권리가 사라지는 날입니다.

21.Earnings Date : 실적발표일

미국시장에서는 상장되어 있는 기업들은 대부분 3개월에 한번씩은 실적보고를 하게되어있습니다. 이 실적보고를 Earnings Date라고 불립니다.

22.Foward Dividend 또는 Tield : 배당금 및 배당수익률

23.Beta : 증권시장 변동에 대해 수익률의 민감도

위 23가지가 가장 기초적인 모르고 해외주식에 입문하시는 일은 없길 바라겠습니다. 용어 자체하고 영어단어가 굉장히 간단하고 외우기 쉽기에 꼭 기초단어는 알아주시길 바랍니다.

본인이 해외주식을 처음 입문하신다거나, 완전히 초보라면 이에 맞는 서비스들도 있으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해외주식에 뛰어드는 사람들이 많다보니 이에 맞게 다양한 해외주식 이벤트들도 있습니다.

중급단어

1.Ang bolume : 평균 거래량

2.Fair volume : 주가의 적정성 여부

4.Total return : 전체수익

5.ordinary share : 보통주

6.preferred share : 우선주

7.Trade value : 거래대금

8.dividend return : 배당수익

9.price return : 주가수익

중급단어는 위 9가지라고 보시면 됩니다. 아무래도 중급단어이다 보니 조금 생소한 단어들이나, 처음 보는 주식용어도 있을거라고 생각합니다.

그렇다면 심화 주식용어 영어는 무엇이 있을까요?

심화단어

EPS는 1주당 순이익이라고 보시면되는데, 매출에서 임대료, 판매관리비 등등의 모든 비용들을 제외하고 남은 순이익을 주가 수로 나눈것을 EPS라고 불립니다.

예를들어 매출 10만원, 비용 5만원 ,주식 10주라는 가정하에 순이익은 5만원이며 EPS는 5천원이 되는것이죠. 즉, EPS가 줄어들게 되면 돈을 못 벌고 있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자산(asset)을 굴렸을 때 얻어지는 수익(return)이라고 보시면됩니다.

ROE와 비슷한 맥락이지만 부채를 포함한 자산이라는 점이 큰 차이점이죠. 무차이기업이 아니고선 ROA가 적으며, 반대로 거의 부채로 운영하는 기업이라면 ROA는 높다지만 ROE는 거의 증가하지 않을것으로 보여집니다.

Equity가 주식용어론 자기자본입니다. 쉽게 설명하자면 부채를 제외한 회사 순수자본이라고 보시면되는데, 자기자본이익률이라고 불리기도 합니다.

이해가 잘 안가시는 분들은 더 쉽게 말씀드리자면 자기자본을 굴렸을 때 얻어지는 수익의 개념이라고 생각하면 이해하기 쉽습니다.

영업활동으로 얻어진 얻어진 돈을 CFPS라고 불립니다. 그렇다면 CFPS가 적다면 당연히 마이너스 적자라는 뜻이겠죠.

CFPS하고 EPS와 비교할 수 있는데 EPS가 플러스인 과자회사가 있는데, CFPS가 마이너스라면 과자는 못팔았는데 투자나 임대업을 잘했다는 뜻으로 볼 수 있습니다.

5. Debt to Asset

자산대비부채비율이며 총 자산의 부채는 얼마인지를 의미하고 있습니다. 만약 무차입 기업이라고 한다면 이 비율은 0으로 뜨겠죠.

주당자본준비금으로 Reserve가 예약하다 말고 유보하다의 의미가 있습니다. 1주 당 자본금으로 만약 이 수치가 높으면 높을수록 회사가 가진 돈이 많다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주식 잘하는방법이 있을까?

개인투자자가 어려워하는 부분이 시간입니다. 주식을 하면서 조급해하지 말아야지만 한층 더 성장할 수 있습니다.

주식을 하다보면 많은분들이 굉장히 조급해하고 촉박함을 가지게되는데, 종목을 조금이라도 떨어지면 바로 팔고싶어지고, 올라가는 종목이 있으면 바로 사고싶어 합니다.

하지만, 좋다는 종목을 매수했지만 계속 떨어지게 되자 하루종일 주식만 쳐다보게 되고 일상생활에 지장이 생기게되죠.

이런 주린이분들을 위해 다양한 서비스들이 있는데 잘 찾아보면 실시간으로 주식정보를 무료로 보는곳도 있으니 찾아보시길 바랍니다.

항상 실시간으로 올라오는 정보들다 보니 확인하고 매수할지 매도할지 정하는 것도 주식 잘하는 방법 중 하나라고 볼 수 있겠죠.

마무리

지금까지 주식 용어 영어 기초부터 심화까지 알아보았습니다. 해외주식을 입문하시는 분들은 용어들을 잘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투자는 오로지 본인선택이기에 책임은 본인에게 있으니 정말 신중하게 주식을 투자하시는 것을 권장드립니다.

미래에셋 IRP 계좌 개설 방법, 2개 가능할까?

미래에셋으로 IRP계쫘를 개설하는 방법에 대해서 궁금하신분들은 재테크에 관심이 있는사람입니다. 현재 대한민국 노인 빈곤율은 무려 절반에 육박합니다. 즉, 노인 전체인구 중 무려 50%가 빈곤

삼성생명 IRP 계좌 장점은 뭘까? 실제후기 포함

삼성생명 IRP계좌 IRP 계좌 장점 최근들어 사람들이 재테크에 관심을 가지면서 퇴직금 IRP 계좌가 뜨고있는 추세입니다. IRP 계좌를 개설할 수 있는 금융사는 많은데 오늘은 삼성생명 IRP 계좌에 대

20살 주린이 맞춤, 주식 기본 용어와 은어 정리 모음.

블로그 이미지

작은 돈이라도 공부하여 사업을 시작할 수 있는 방법이 있죠? 정말 멋진 일입니다. 다른 사업체의 성과를 판단해서 직접 결정하여 투자하는 방법입니다. 미래를 먼저 예견해보고 가치 있는 기업에 투자하는 방법입니다. 이 글은 주식을 처음 접하는 사람들이 자주 보게 되는 기본 용어를 정리하여 공유하는 글입니다.

주린이-용어-모음-썸네일

주린이-용어-모음-썸네일

1. 기초 용어 정리

한국증권거래소에서 엄격한 심사 끝에 인정해주는 기업. 대기업은 코스피(KOSPI)로, 중소기업 및 벤처기업은 코스닥(KOSDAQ)에 이름을 올려 거래를 할 수 있게 됩니다. 시장에서 주식 용어모음 총정리 실제로 거래되는 주식은 '삼성전자' '국민은행' 등 종목별의 이름인데요. 이 종목별로 전반적인 시세의 흐름은 파악하기 어렵기에 이와 같은 주가 지수를 만들어 사용합니다.

해당 주식의 현재 규모가 얼마나 되는지 판단할 수 있는 지표로써, 상장된 주식 수와 당일 종가를 곱하여 산출합니다.

잠잠한 주식에 거래량이 폭발하면 주가가 급등하거나 급락할 수 밖에 없습니다. 그렇기에 굉장히 중요한 지표로 사용됩니다.

판매를 위해 제안하는 가격, 구매를 위해 제안하는 가격을 말합니다.

주식 정규시장은 아침 9시에 주식 용어모음 총정리 장을 열고 오후 3시 30분에 마감합니다.

주가가 일정범위 이상 거래되어 시장 혼란을 야기할 수 없도록 정해둔 제한폭이며, 각각 30%로 정해져 있습니다.

주가가 상승한 이후의 보합은 '강보합'이라 불리며 매수세가 뒷받침되면 상승할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합니다. '약보합'은 그 반대입니다.

매수금액과 매도금액이 같으면 즉시 체결은 되나 거래가 완전히 완료되는 시점은 주말을 제외한 거래일(D)+2일입니다.

주식을 매수한 가격보다 높은 가격에 전량 매도하여 이익을 실현시킬 경우와 더 큰 손해를 방지하기 위해 전량 매도할 경우를 말합니다.

주식을 매수하기 위해 증권계좌에 입금되어 있는 현금을 말합니다. 예수금은 출금 가능 금액이랑은 조금 다른데, 증권사에서는 출금가능 금액을 거래가 완전히 완료되는 거래일(D)+2일 이후로 산정하기 때문입니다.

주식을 원하는 가격에 구매하기 위해 먼저 차입하는 계약금의 일부입니다. 종목마다 다르며 재무적으로 위험요소가 있다고 판단되면 증거금률이 높게 책정되며 반대의 경우 낮게 됩니다.

보유한 100% 현금으로 주식을 살 경우를 '현금 주문'이라 하며, 주식 용어모음 총정리 주식 용어모음 총정리 증거금률에 따른 증거금만 내고 주식을 살 경우를 '미수 주문'이라 합니다. 이때 증거금을 초과하는 금액을 미수금이라 하는데요. 결제일인 거래일(D)+2일 이내로 계좌에 부족한 금액을 채워놓아야 합니다. 미수 주문은 주문창에서 쉽게 보이며 사용하기 편리하게 마련돼있지만, 초보자의 경우엔 미수금에 관한 내용을 정확하게 인지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미수금을 확인하지 못하고 방관하게 될 경우엔 손해를 보는 증권사는 '반대매매'를 강제로 진행하게 됩니다.

증권사의 손실을 막기 위해 다음 날 하한가로 주식을 판매하는 행위로써 미수금이나 상환 융자금을 납부하지 못하는 경우 진행됩니다.

기업은 경영권을 보호하고 의결권을 제한하기 위해서 주식을 이처럼 나눠서 발행할 수 있는데요. 매매하는 우리의 입장에서 보면 나름의 장단점이 있습니다. 우선주는 비교적 배당금이 많고 의결권이 없는 반면에, 보통주는 배당금이 적고 의결권이 있습니다.

주식은 지정된 가격에 판매하는 사람이 있어야 구매가 성사됩니다. 결국 시장에 의해서 주가가 형성되는데, 주문이 접수되는 시점에서 가장 유리한 가격으로 기다리지 않고도 체결되는 것을 '시장가 매매'라고 합니다.

주식을 미리 빌려서 높은 가격에 매도하고, 주가가 내려간 뒤 다시 매수함으로써 중간 차익을 실현시키는 것을 말합니다.

주가가 떨어질 것을 대비하여 평균 매입단가를 낮춰 안정성을 높이거나, 큰 상승을 예상하여 더 높은 수익을 거두기 위해 사용합니다.

정규 거래시간과 달리 시장 개장 전과 후의 매매 방식은 정해진 시간 동안 하나의 가격으로 평균치를 모아 체결시키는데요. 이것을 단일가매매라 부릅니다. 의미가 비슷하여 동시호가도 같은 뜻으로 많이 사용하기도 합니다. 본래 주식 용어모음 총정리 동시호가는 시간의 선후가 분명하지 않은 호가주문이라고 정의합니다.

거래량이 높은 주식에서 종종 발견할 수 있으며, 이땐 2분 동안 단일가 매매가 진행됩니다.

주가-상승-그래프

주가-상승-그래프

주린이를 위한 주식 용어 정리, 주식 용어 사전 3편 [재무제표편]

주린이를 위한 주식 용어 정리, 주식 용어 사전 3편 [재무제표 편] [EBITDA 뜻, 자산 뜻, 자본 뜻, 부채 뜻, 당기순이익 뜻, eps 뜻, per 뜻, pbr 뜻, bps 뜻, roe 뜻, roa 뜻, 부채비율 뜻, 유동비율 뜻]

주식 투자를 위한 기본 용어들 3탄

주식을 처음 시작하려면 참 어렵습니다. 재무제표를 보기 시작하면 더 머리가 아파옵니다. 하지만 주식 투자에 있어서 재무제표는 기본 중에 기본입니다. 회사의 상황이 어떤지 경영 상태는 주식 용어모음 총정리 어떤지 숫자로 확인할 수 있는 길이기 때문이죠. 따라서 오늘은 재무제표에서 볼 수 있는 용어를 쉽게 설명하는 시간을 가져보겠습니다.

오늘 알아볼 용어는 재무제표, 자산, 자본, 부채, 시가총액, 매출, 영업이익, 당기순이익, 주당순이익(EPS), PER(주가수익비율), PBR(주가순자산비율), BPS(주당순자산가치), ROE(자기자본이익률), ROA(총자산이익률), 영업이익률, 부채비율, 유동비율, EBITDA입니다.

궁금하신 단어는 Ctrl + F로 검색하시면 빠르게 찾으실 수 있습니다.

- 재무제표는 기업의 재무 활동을 측정하여 이를 요약해 작성하는 회계보고서입니다. 기업의 매출, 수익, 영업 상황 등을 숫자로 파악할 수 있는 객관적인 자료입니다.

- 자산은 자본과 부채를 더한 값입니다. 자산 = 자본 + 부채.

- 자본은 오직 순수히 가지고 있는 재산을 말합니다. 쉽게 말해 '나의 재산'입니다. 자본 = 자산 - 부채.

- 부채는 말그대로 빚입니다. 남에게 빌린 돈이죠. 부채 = 자본- 자산.

- 시가총액은 주식 수 x 주가입니다. 기업이 어느정도 가치를 가지고 있는 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시가총액 = 주식수 x 주가.

- 매출이란 기업이 제품이나 상품을 판매하고 돈을 받음으로써 실현되는 수익을 말합니다.

- 영업이익 이란 기업의 주된 영업 활동에 의해 발생된 이익 으로 매출총액에서 매출원가와 판매비 및 일반관리비를 뺀 것을 말합니다. 쉽게 말해 순수하게 영업을 통해 벌어들인 이익을 말합니다.

- 당기순이익 이란 일정기간 동안 기업의 순이익 을 의미합니다. 순이익 이란 매출액에서 매출원가, 판매비, 관리비 등을 빼고 여기에 영업외 수익과 비용, 특별 이익과 손실을 가감한 후 법인세를 뺀 것입니다. 쉽게 말해서 모든 수익에서 지출한 모든 비용을 제하고 순수하게 이익으로 남은 것을 말합니다.

주당 순이익(EPS) 뜻

- 주당순이익(EPS)은 기업이 벌어들인 순이익(당기순이익)을 그 기업이 발행한 총 주식수로 나눈 값으로, 1주당 이익을 얼마나 창출하였느냐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EPS가 높을수록 주식의 투자가치는 높은 것으로 여겨집니다. EPS = 당기순이익/주식수.

PER(주가 수익비율) 뜻

- PER(주가수익비율) 는 주가를 주당순이익(EPS)으로 나눈 수치로 PER가 높을수록 순이익 대비 주식 가격이 비싼 것으로 고평가 됐다고 볼 수 있으며, PER가 낮은 경우 순이익 대비 주식 가격이 저렴한 것으로 저평가됐다는 볼 수 있습니다.

- 따라서 저 PER주에 투자하는 전략도 있지만 PER은 기업의 성장성을 반영하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어 PER가 낮다고 해서 반드시 투자가치가 있는 좋은 주식은 아닙니다. PER = 현재 주가/EPS. 대표적인 고 PER주의 예) 테슬라, LG화학 등

PBR(주가순자산비율) 뜻

- PBR(주가순자산비율)은 주가를 주당순자산가치(BPS)로 나눈 비율로 주가와 1주당 순자산을 비교한 수치입니다. 주가가 순자산에 비해 1주당 몇 배로 거래되고 있는지를 측정하는 지표입니다.

- PER처럼 낮을수록 좋은 지표라고 볼 수 있지만 마찬가지로 낮다고 무조건 좋은 것은 아닙니다. PBR=주가/주당순자산

BPS(주당 순자산가치) 뜻

- BPS(주당 순자산가치)는 순자산을 발행주식수로 나눈 수치입니다. 주식회사가 모든 활동을 중단하고 자산을 주주들에게 나눠줄 경우, 한 주당 얼마씩 배분되는지를 나타냅니다. BPS = 장부가치/주식수

ROE(자기자본이익률) 뜻

- ROE(자기자본이익률)은 투입한 자기 자본이 얼마만큼의 이익을 냈는지 나타내는 지표로 자기 자본의 운영이 얼마나 효율적으로 이루어졌는지를 반영합니다. (당기순이익 ÷ 자기 자본) × 100

- ROE = 당기순이익/자본총액 = EPS/BPS = PBR/PER, ROE가 10%이면 100억 원의 자본을 투자했을 때 10억 원의 이익을 낸 것이며, ROE가 20%이면 100억 원의 자본을 투자했을 때 20억 원의 이익을 낸 주식 용어모음 총정리 주식 용어모음 총정리 것입니다.

ROA(총자산순이익률) 뜻

- ROA(총자산순이익률)은 기업의 총 자산 대비 순이익을 얼마나 올렸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기업의 일정기간 순이익을 자산총액으로 나누어 계산한 수치로, 특정 기업이 자산을 얼마나 효율적으로 운용했느냐를 보여줍니다. ROA = 당기순이익/자산총액.

영업이익률 뜻

- 영업이익률은 말 그대로 매출액에 대한 영업이익의 비율을 나타낸 것입니다. 매출액 - 매출원가 = 매출총이익, 매출총이익 - 판매비 관리비 = 영업이익, 영업이익률(%) = (영업이익/매출액) x100

부채비율 뜻

- 부채비율은 말 그대로 기업이 가지고 있는 자산 중 부채가 어느 정도 차지하고 있는가를 나타낸 비율입니다. 부채비율은 기업의 건전성을 평가하는 중요한 지표입니다. 하지만 부채비율이 무조건 낮다고 좋은 것은 아닙니다. 적절한 부채를 활용해서 더욱 큰 이익을 낼 수 있기 때문입니다.

- 부채비율(%) = 부채총계(타인자본)/자본총계(자기자본) x 100. 기업의 부채비율이 200%라면 빚이 기업이 보유한 자본보다 두 배 많다는 것을 뜻합니다.

유동비율 뜻

- 유동비율은 유동자산의 유동부채에 대한 비율입니다. 유동비율 = (유동자산÷유동부채)×100(%).

- 1년 이내에 현금으로 바꿀 수 있는 자산을 유동자산이라고 합니다. 1년 이상 걸리는 자산을 비유동자산이라 합니다.
- 1년 안에 갚아야 하는 부채(빚)는 유동부채라 주식 용어모음 총정리 합니다. 만기가 1년 이상 남은 부채는 비유동부채라 합니다.
- 보통 유동비율은 200% 이상으로 유지되는 것이 이상적이며 100%가 이하로 떨어질 경우 유동성이 위험하다고 판단합니다.

EBITDA 뜻

- EBITDA란 이자비용, 세금 등을 빼기 전 순수익을 뜻합니다. EBITDA는 수익성을 나타내는 지표로 자기 자본과 타인자본에 대한 기업의 실질 이익창출 금액과 기업이 영업활동을 통해 벌어들이는 현금창출 능력을 보여줍니다.

- EBITDA = 법인세, 이자, 감가상각비 빼기 전 이익 = 당기순이익 + 주식 용어모음 총정리 이자 + 법인세 + 감가상각비

지금까지 주식 용어 재무제표, 자산, 자본, 부채, 시가총액, 매출, 영업이익, 당기순이익, 주당순이익(EPS), PER(주가수익비율), PBR(주가순자산비율), BPS(주당순자산가치), ROE(자기자본이익률), ROA(총자산이익률), 영업이익률, 부채비율, 유동비율, EBITDA 뜻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 댓글 부탁드리고 추가적으로 궁금하신 점이나 수정이 필요한 부분, 추가할만한 내용이 있다면 댓글 남겨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주식 용어모음 총정리

주식 기초용어 총정리

요즘 주식에 대한 열풍이 뜨겁습니다. 전기차와 관련된 테슬라(티커 : TSLA), 매번 혁신을 거듭하고 있는 애플(티커 : AAPL), 세계 최대의 쇼핑몰 그 이상을 추구하는 아마존(티커 : AMZN) 등 사고 싶은 주식들이 너무나도 많기 때문일까요?

하지만 주식을 하기 위해서는 먼저 알아둬야할 기초적인 용어들이 있습니다. 훌륭한 투자자가 되기 위해 기본적인 지식, 단어들을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매매 : 주식을 매수, 매도하는 행위를 매매라고 합니다.

매수와 매도 : 매수는 주식을 '사는 것'을 뜻하며 매도는 주식을 '파는 것'을 뜻합니다.

익절 : 주식을 매수한 가격보다 높은 가격에서 '이익을 보고' 전량 매도하는 것을 뜻합니다.

손절매 : 주가가 당분간 상승할 가능성이 없거나 현재보다 더욱 하락할 것으로 예상되어 손해를 보더라도 가지고 있는 주식을 매수했던 가격보다 싸게 파는 것을 말합니다.

순환매 : 어떤 주식의 주가가 상승할 때 관련된 종목의 주가 역시 함께 상승하여 순환적으로 매수하려는 분위기를 뜻합니다.

분할 매수 : 같은 주식을 일정 기간, 혹은 시간을 두고 매수하는 것을 뜻합니다. 주로 이미 매수한 주식의 평균 매입 단가를 낮춰 안정성을 높이거나, 주식의 큰 상승이 예상될 때 수익을 더하기 위하여 사용합니다. 주식을 보다 안전하게 운용하고 싶다면 항상 분할 매수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시간 외 매매 : 정규 장(국내)이 열리는 시간인 오전 9시부터 오후 3시 30분 이전과 이후 일정 시간 동안 매매가 가능하도록 만든 '제도' 입니다.

뇌동 매매 : 주식을 매수, 매도할 때 본인의 분석, 판단으로 하는 것이 아니라 근거 없는 정보 혹은 느낌, 다른 사람의 의견을 반영하여 매매하는 것을 뜻합니다.

자사주 매입 : 회사가 자기 자금으로 자회사의 주식을 매수하는 것을 뜻합니다. 보편적으로 자기 회사 주식이 저평가받거나 경영권 보호 및 주가의 안정성 유지를 위한 행위입니다.

예수금 : 현재 본인의 계좌에 있는 현금(자산)을 뜻합니다.

거래량 : 장중에 주식이 거래되고 있는 양을 말합니다.

시가총액 : 각 종목(주식)마다 상장주식수에서 시가를 곱해 이를 합계한 것을 뜻합니다.

공매도 : 주식이나 채권을 가지고 있지 않아도 매도 주문을 하는 것입니다. 즉 '가지고 있지 않은 물건을 팔아 나중에 갚는 것'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공매도는 주식시장에 유동성을 공급하는 장점이 있지만 시장 질서에 혼란을 주거나 불공정한 거래 수단으로 악용되는 단점이 있습니다.

배당금 : 회사에서 발생한 이익 일부를 주식을 소유한 주주에게 분배해 주는 것입니다. 국내 주식에서는 보통 1년에 한 번 정도 주며 해외주식 중 미국은 보통 분기별로 배당을 지급합니다. 또한 배당은 지급해야 되는 의무가 아닌 선택사항입니다.

홈 트레이딩 시스템(HTS : Home Trading System) : 개인 투자자가 컴퓨터나 모바일로 주식을 거래할 수 있는 프로그램, 시스템을 말합니다.

사모 주식 투자 펀드(PEF : Private Equity Fund) : 소수의 투자자들로부터 자금을 끌어모아 주식 혹은 채권 등에 투자하여 운용하는 펀드입니다.

펀드매니저 : 투자회사 등에서 자산 운영을 업으로 하는 사람을 뜻합니다.

하한가 : 주식 시장의 장 중 하루에 내릴 수 있는 가격의 하한선까지 내린 주가를 뜻합니다. 미국, 뉴질랜드, 독일, 영국, 홍콩 등의 국가에서는 하한선이 없습니다.(국내 주식의 하루 최대 하락폭은 30%입니다.)

상한가 : 하한가와 반대되는 말입니다. 주식 시장의 장 중 하루에 오를 수 있는 가격의 상한선까지 오른 주가를 뜻합니다. 마찬가지로 미국, 뉴질랜드, 독일, 영국, 홍콩 등의 국가에서는 상한선이 없습니다.(국내 주식의 하루 최대 상승폭은 30%입니다.)

장 마감 : 오전 9시에 시작한 주식시장이 오후 3시 30분에 종료되는 것을 장 마감이라고 합니다.(미국 주식의 거래시간은 우리나라 시간으로 오후 11시 30분부터 다음날 새벽 6시까지 입니다.)

동시호가 : 주식을 파는 사람과 사는 사람이 동시에 부르는 가격을 뜻합니다. 대표적으로 개장 5분 전의 가격을 말합니다.

호가 : 팔거나 사는 사람이 원하는 가격을 뜻합니다.

종가 : 장이 끝나면서 정해진 주식의 가격을 뜻합니다. 즉 장이 마감 종을 쳤을 때가 바로 종가가 되는 것입니다.

시가 : 주식시장이 열릴 때 형성되는 가격을 뜻합니다. 즉 장이 시작할 때 정해지는 가격을 말합니다.

주도주 : 시장의 전반적인 주가를 견인하고 전망이 있는 '인기주'를 뜻합니다.

가치주 : 기업의 실적이나 자산에 비해서 시장에서 저평가되고 낮은 가격에 거래되는 주식을 말합니다.

성장주 : 주식의 시장 가격이 장기적으로 상승할 가능성이 있는 우량 주식으로, 매출액과 이익 성장률이 일반 경제 동향이나 동일 업계에 비해 급속하게 성장하는 기업의 주식을 뜻합니다.

보통주 : 투자자가 일반적으로 거래하는 주식을 말합니다.

우선주 : 주식의 재산 배분이나 배당에 있어서 보통주보다 우선적 지위가 인정되는 주식을 말합니다. 우선주에는 의결권이 없는 대신 보통주보다 이익배당 우선순위가 높습니다.

테마주 : 시장에서 새로운 현상이나 사건이 발생하여 주목을 받게 되는 종목(주식)을 말합니다.

세력주 : 시장에서 주가에 큰 영향을 줄 수 있는 세력이 장을 주도하는 주식을 뜻합니다.

작전주 : 자금력을 이용해 주가를 인위적으로 끌어올려 투자자들을 현혹한다거나, 거짓 정보를 흘려 타인을 속이는 등의 불공정 거래를 유도하는 주식을 뜻합니다.

경기방어주 : 주가가 경제상황과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지 않는 튼튼한 종목을 뜻합니다.

대형주 : 자본금 혹은 자산이 많은 회사의 주식 용어모음 총정리 주식을 뜻합니다.

중형주 : 자본금 혹은 자산이 중간 정도인 회사의 주식을 뜻합니다.

소형주 : 자본금 혹은 자산이 작은 회사의 주식을 뜻합니다.

동전주 : 동전으로도 살 수 있는 값싼 주식을 뜻합니다. 천 원 미만의 주식들을 보통 동전주라고 부릅니다.

턴어라운드주 : 기업이 적자 상태에 있다가 실적이 개선되어 흑자전환이 예상되는 기업을 뜻합니다. 기업, 구조조정, 적자사업 매각, 기업 분할 등을 통한 실적 호전도 포함됩니다. 흑자 폭이 클수록 주가상승률도 높습니다.

상장폐지 : 상장 주식이 유가 증권 매매 거래 대상으로서 적정성이 결여되었을 때, 증권거래소에서 기준에 따라 자격을 빼앗는 것을 뜻합니다. 거래소가 정한 일정 기준에 미달하거나 계약을 위반하였을 때 또는 공익을 위하여 상장을 폐지시키는 것을 뜻합니다.

주당순이익(EPS) : 기업의 당기순이익을 그 기업의 발행 주식수로 나눈 값을 말합니다. EPS가 높다는 것은 기업의 경영실적이 양호하다는 것을 의미하며, 투자 가치가 높다고 볼 수 있습니다.

주가 수익비율(PER) : 주가를 EPS로 나눈 수치입니다. 주가가 주당순이익과 비교해 몇 배 수준의 가격을 형성하고 있는지를 판단함으로써 다소 비싼 가격인지 아니면 저평가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주당순자산가치(BPS) : 기업의 총자산에서 부채를 빼면 기업의 순자산이 남습니다. 이 순자산을 발행주식수로 나눈 수치를 말합니다.

주가순자산비율(PBR) : 주가를 BPS로 나눈 비율을 말합니다. PBR의 배수가 낮을수록 기업의 성장력과 수익성이 좋다고 볼 수도 있습니다. PBR이 기업의 수익성과 주가를 평가하는 지표라면 PBR은 기업의 재무 상태면에서 주가를 판단하는 지표입니다.

자기 자본 이익률(ROE) : 기업이 자본을 이용하여 어느 정도의 이익을 냈는지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즉 투입한 자기 자본이 얼마만큼의 이익을 냈는지 확인할 수 있는 지표입니다.

코스피(KOSPI : Korea Composite Stock Price Index) : 한국거래소의 유가증권시장에 상장된 회사들의 주식에 대한 총합인 시가총액을 기준시점과 비교시점을 비교하여 나타낸 지표입니다.

코스닥 : 벤처 기업 혹은 중소기업에 안정적인 자금을 공급하기 위해 설립된 우리나라의 주식 장외 시장을 뜻합니다. 1996년에 처음 개장되었습니다.

[해외주식] 미국 주식 / 유용한 사이트, 용어 정리

오늘은 해외주식, 특히 미국 주식에 관심이 많으신 분들이 참고할 만한 사이트와 해외 종목들의 기본적인 내용을 분석하는데 도움이 될 용어들을 정리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 사이트

SEC.gov | Filings & Forms

Filings & Forms All companies, foreign and domestic, are required to file registration statements, periodic reports, and other forms electronically through EDGAR. Anyone can access and download this information for free. Here you'll find links to a complet

3) 8-K / 1.01 : 주요 계약 체결

4) 8-K / 2.01 : 자산인수/매각

5) 8-K / 2.02 : 영업실적

* 그외 SC 13G, SC 13F 등이 있습니다.

실적 및 증권사 투자의견 제시 '마켓비트' - marketbeat.com

MarketBeat: Stock Market News and Research Tools

49 minutes ago | June 19th, 1:11 PM Zacks: Analysts Anticipate The Travelers Companies, Inc. (NYSE:TRV) Will Announce Earnings of $2.40 Per Share Equities analysts predict that The Travelers Companies, Inc. (NYSE:TRV) will report earnings of $2.40 per shar

* 최근 12개월 동안 주요 증권사의 투자의견과 TP(목표주가) 확인 가능

* 실적(Earnings) 항목에서 발표된 분기 실적과 컨센 확인 가능

유명 투자기관의 투자 포트폴리오 참고 '웨일위즈덤닷컴' - http://whalewisdom.com

Track Hedge Funds Using 13F Filings

Free Email Alerts Receive email alerts whenever funds or stocks you are interested in submit new filings to the SEC. For certain filings like 13F, 13D/G, 8-K, Form D, and insider forms 3,4 and 5, the WhaleWisdom email alert will contain specific details ab

* 유명 투자기관에서 분기별로 매매를 많이 한 종목들에 대한 확인(투자기관 검색)

* 'SC 13F' 보고서 종합 사이트로 이해하면 쉬움

미국 증시 상황을 한 눈에 파악 가능한 '핀비즈닷컴' - http://finviz.com

FINVIZ.com - Stock Screener

× Ever heard of Finviz*Elite? Our premium service offers you real-time quotes, advanced visualizations, technical studies, and much more. Become Elite and make informed financial decisions. Find out more --> Upgrade your FINVIZ experience Join thousands o

배당주 관련 정보 파악이 용이한 '디비던드닷컴' - http://dividend.com

Knowing your investable assets will help us build and prioritize features that will suit your investment needs. Knowing your AUM will help us build and prioritize features that will suit your management needs. Knowing your AUM will help us build and priori


0 개 댓글

답장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