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거래 플랫폼
두나무가 14일 자체 메타버스 플랫폼 세컨블록에서 기자간담회를 개최했다. 사진=두나무 온라인 기자간담회
[매일일보 이채원 기자] 이석우 두나무 대표가 글로벌 거래 플랫폼을 선언했다. 현실세계와 디지털 세계를 블록체인으로 연결하고 기존 자산의 새로운 가치를 발굴하며 글로벌에서도 주목받는 두나무로 성장해 나가겠다는 방침이다.
두나무는 14일 자사 메타버스 플랫폼 ‘세컨블록(2ndblock)’에서 진행한 기자간담회에서 신성장 비전인 ‘Connect & Unlock Value’와 혁신 성장을 위한 로드맵을 공개했다. 이석우 대표는 “과거 30년동안 우리는 인터넷과 모바일의 혁명을 경험했고 지금 블록체인 혁신의 시대를 지나고 있다”며 “두나무는 우리의 이전 성공 방식을 한번 더 적용해보고자 한다. 블록체인 세계와 현실세계를 연결하고 거래 대상을 확장하는 글로벌 플랫폼이 되고자 한다”고 말했다.
이 대표는 새로운 도약을 위해 가치 극대화, 다변화, 글로벌화, 지속가능성이라는 4가지 핵심가치를 제시했다. 이를 통해 두나무는 디지털 자산의 거래 판로를 구축하고 메타버스, NFT 등 새로운 기회를 발굴한다는 계획이다.
그는 “기존의 자산뿐만 아니라 앞으로 탄생할 모든 디지털 자산이 편리하고 안전하게 거래될 수 있도록 가치를 극대화할 것이다”며 “내년에는 하이브와 미국에 합작법인(JV)를 설립하는데 이외에도 여러 엔터 회사와 협력해서 사업을 확장해 나갈 예정이다”고 포부를 드러냈다.
이어 글로벌 아티스트 방탄소년단(BTS)이 소속돼 있는 하이브와 함께 미국 JV를 설립할 계획에 관해서는 향후 사업 확장 계획을 고려한 선택이라고 밝혔다. 임지훈 전략담당이사(CSO)는 “이 대표의 말처럼 이제 두나무는 국내를 넘어 해외로 확대해 나가려는 계획이 있고 그렇기에 가장 시장이 큰 미국 시장에서 시작하는 것을 당연한 수순으로 생각했다”며 “앞으로의 사업 확장 계획을 고려했을 때 미국이 가장 최적이라고 판단했다”고 설명했다
두나무는 상장 계획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확정된 내용이 아무 것도 없다는 입장을 취했다. 그는 “연초에 쿠팡과 미국 거래소인 코인베이스가 나스닥 상장을 하면서 두나무도 나스닥에 가면 좋겠다는 이야기가 나왔다”면서 “사실 여러 투자은행이나 법인에서 미팅하자고 찾아오기도 했지만 아직 언제, 어디에 상장을 할지에 대한 구체적인 계획은 없다”고 언급했다.
이날 간담회에서는 두나무의 2021년 매출도 공개됐다. 두나무는 올해 3분기까지 2조8209억원의 매출과 2조5939억원의 영업이익을 달성하고 당기순이익은 1조9900억원이라고 발표했다. 올해 매출이 급성장한 만큼 납부 세액이 약 1조원에 가까울 것으로 보인다.
‘업비트’, ‘증권플러스’, ‘증권플러스 비상장’ 등 두나무의 주요 서비스 지표도 공개됐다. 업비트는 10월 기준 890만 회원을 보유하고 있으며, 증권플러스는 누적 다운로드 600만, 누적 거래금액 187조5500억원을 달성했다. 금융위원회 혁신금융서비스인 증권플러스 비상장 또한 11월 기준 월간활성이용자수(MAU)가 43만명, 누적 가입자 수 90만명에 달한다.
또 이날 두나무는 ESG(환경·사회·지배구조)경영을 통해 사회적 책임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두나무는 블록체인 기술의 가치인 분산, 분배, 합의, 규칙이라는 키워드를 담아서 두나무만의 ESG 가치를 실현할 예정이다.
글로벌 B2B 중고 명품 거래 플랫폼 ’엔드앤드코리아’, 시드 투자유치
글로벌 B2B 중고 명품 거래 플랫폼 ‘엔드앤드코리아’가 더벤처스와 디캠프(은행권청년창업재단)로부터 시드 라운드 투자유치를 했다. 금액은 비공개이다.
중고 명품 시장 규모는 2조 원 이상을 기록하고 있으며 매년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글로벌 중고 명품 시장은 국내보다 먼저 급격한 성장을 경험했다. 맥킨지 보고서에 따르면 럭셔리 및 프리미엄 재판매 시장은 2020년 250억~300억 달러(한화 약 30~37조 원)에 육박했으며 2030년까지 650억 달러에서 1000억 달러(한화 80조에서 123조 원) 사이의 가치가 될 것으로 예측했다.
특히 미국 중고 명품 업체들은 품질 대비 평균 시세보다 30%가량 저렴한 국내 중고 명품 시장을 주목하고 있다. 그러나 매력적인 국내 시장 가격에도 불구하고 가품에 대한 우려와 언어에 대한 한계로 인해 실질적으로 활발한 거래는 이뤄지지 못하는 상황이다.
엔드앤드코리아는 중고 명품 거래 플랫폼의 신뢰도에 대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전 세계 감정 전문가의 집단지성을 활용한 ‘집단 감정 시스템’을 도입했다. 현행 B2B 중고명품 거래 방식은 판매자가 대형 도매업체에 제품을 배송하고 감정을 진행한 뒤 업체 구매자에게 감정이 완료된 제품을 배송하기 때문에 거래 시간이 오래 걸리고 배송비와 감정료, 수수료 등 중간 비용이 많이 발생했다.
엔드앤드코리아는 감정사 레벨 시스템을 도입해 레벨에 따른 차별적 리워드를 제공하는 방식으로 전문 감정사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는 한편, 구매자들이 온라인 플랫폼을 통해 전 세계 전문 감정사들에게 무료로 감정을 받고 감정 결과를 바탕으로 거래를 진행할 수 있도록 해 저렴한 수수료를 실현하고 거래 시간을 단축했다. 이러한 강점을 기반으로 해외 중고명품 도매 업체에 긍정적인 반응을 얻어, 엔드앤드코리아는 20년 대비 21년 월 평균 거래액이 5배 이상 증가하는 등 가파른 성장을 보이고 있다.
김동현 엔드앤드코리아 대표는 “한국 중고명품 거래 시장의 성장률은 매년 30% 이상으로 매우 높으며, MZ 세대가 중고 명품 시장의 주요 거래자로 급부상하면서 명품이 재테크의 새로운 수단으로 인식되어 활발하게 거래되는 상황”이라며 “이번 투자유치를 통해 한국뿐 아니라 일본, 홍콩 등 아시아 중고 명품 제품 확보에 주력하고, 서비스 중인 모바일 앱을 고도화하여 미국 및 유럽 등 글로벌 시장에서 가장 신뢰할 수 있는 대표적인 B2B 중고 명품 거래 플랫폼으로 성장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번 투자를 주도한 더벤처스 김철우 대표는 “엔드앤드코리아는 집단지성 활용한 전문 감정사 커뮤니티를 형성함과 동시에 무료로 감정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수수료 경쟁력을 갖춘 글로벌 거래 플랫폼 똑똑한 비즈니스 모델을 구축”했다며 “국내외 중고명품 시장 성장성이 높을 뿐만 아니라, 커뮤니티 주도로 가치를 창출하는 플랫폼이라는 점에서 더벤처스의 지향점과 맞닿아 투자를 결정”했다고 밝혔다.
글로벌 거래 플랫폼
[파이낸셜뉴스] 가상자산 거래 고객 예치금이 53조원에 이르며, 올해 납부세액이 1조원에 달할 것으로 예상하는 두나무가 내년부터 대체불가능한토큰(Non-Fungible Tokens, NFT)·메타버스 플랫폼을 내세워 글로벌 자산 플랫폼으로 도약하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우선 방탄소년단 소속사인 하이브와 함께 미국에 설립할 NFT 조인트벤처(JV)를 통해 미국시장 부터 공략하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두나무 임지훈 전략담당이사, 남승현 최고재무책임자(CTO), 김형년 공동창업자 겸 수석부사장, 이석우 글로벌 거래 플랫폼 대표(왼쪽부터)가 14일 두나무 메타버스 플랫폼 세컨블록에서 기자간담회를 하고 있다. /사진=두나무
가상자산 거래소 업비트를 운영하는 두나무는 14일 자체 메타버스 플랫폼인 세컨블록에서 기자간담회를 열어 글로벌 자산거래 플랫폼으로 도약을 선언했다. 간담회에는 글로벌 거래 플랫폼 이석우 두나무 대표, 김형년 공동창업자 겸 수석부사장, 남승현 최고재무책임자(CFO), 임지훈 전략담당이사가 참석했다.
두나무는 메타버스, NFT 등 분야에서 새로운 기회를 발굴해 성장 모멘텀을 확보하겠다고 강조했다. 이석우 대표는 "두나무 글로벌 거래 플랫폼 플랫폼에서 거래할 수 있는 자산을 NFT 등 다양한 디지털자산, 실물자산으로 확대해 향후 3년내 글로벌 종합 자산거래 플랫폼으로 성장할 것"이라며 "고객 기반도 기존 투자자 중심에서 수집가, 팬커뮤니티, 오프라인 소비자까지로 확대하겠다"고 말했다.
두나무는 가상자산 거래소 업비트, 증권 거래 플랫폼 증권플러스 및 증권플러스 비상장을 통해 시장을 주도했다. 업비트는 2021년 11월 25일 기준 고객 예치금이 약 53조원이고 2021년 5월 7일 기준 24시간 거래액은 최대 45조원을 기록했다. 2021년 10월 현재 누적 가입자수는 890만명에 이른다. 이에 힘입어 올해 두나무의 납부세액만 약 9902억원으로 1조원에 이를 것으로 추정된다.
증권플러스는 2021년 11월 현재 누적다운로드 600만건, 월간활성이용자수는 71만명이며, 2021년 10월까지 누적 거래대금은 187조5500억원에 달한다. 증권플러스 비상장은 2021년 11월 기준 누적 가입자수가 90만명 이상이며, 월간활성이용자수는 43만명이다.
여기에 더해 두나무는 최근 업비트 내에 NFT 마켓플레이스인 '업비트 NFT 베타'와 메타버스 플랫폼인 '세컨블록'을 내놨다. 특히 내년에는 방탄소년단 소속사인 하이브와 손을 잡고 미국에 조인트벤처(JV)를 설립해 K팝 기반 디지털 콘텐츠 사업을 전개한다.
임지훈 이사는 "단기적으로는 업비트 NFT에서 NFT를 구매한 고객들이 세컨블록에서 자신의 NFT를 전시할 수 있도록 하고, 비슷한 관심사를 가진 고객들과 소통할 수 있는 기능 등으로 특화할 것"이라며 "글로벌 거래 플랫폼 NFT 시장이 큰 미국에서 하이브와 조인트벤처를 설립하는게 당연한 수순이었고, K팝 또한 글로벌 시장이 더 크기 때문에 양사의 강점 등을 고려해서 미국이 최적의 장소라고 생각했다"고 말했다.
두나무 이석우 대표는 14일 메타버스 플랫폼 세컨블록에서 진행한 기자간담회에서 국내 블록체인 및 가상자산 산업 발전을 위해 업계의 목소리가 반영될 수 있도록 법이 마련되기를 바란다고 전했다. /사진=두나무
두나무는 이날 국내 블록체인 및 가상자산 산업의 발전을 위해 지속적으로 서비스를 개선하고, 투자자 보호책을 강화하겠다는 계획도 밝혔다. 국내 가상자산 산업의 발전을 위한 제도화 필요성에 대해서도 강조했다.
앞서 두나무는 환경·사회·지배구조(ESG) 경영을 위해 2024년까지 1000억원을 투자한다고 발표했다. 또 100억원을 투입해 연내 투자자보호센터를 열 계획이다.
김형년 수석부사장은 "기술이 발전하면서 범죄의 형태도 새롭게 바뀌고 있어 고객들에게 조심해야 한다는 것을 알려주기 위해 투자자보호센터 설립을 구상했다"며 "두나무의 위치를 고려해 사회적 책임을 다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국내 블록체인 및 가상자산 관련 시장의 성장을 가로막고, 산업의 해외 진출을 가로막는 각종 규제에 대해서는 아쉬움을 토로하기도 했다.
이석우 대표는 "3~4년 전과 비교하면 정부 당국과 국회가 가상자산 산업을 바로는 시각이 많이 바뀌었고, 국회에서 산업 진흥을 위한 업권법 초안들이 발의돼 긍정적으로 평가한다"며 "다만 가상자산의 종류에 따라 진흥책과 규제채이 나와야 하는데 일괄적으로 대응하고 있다는 아쉬움이 있고, 업권법이 아닌 규제법이 돼 버리면 산업이 망가질 수 있어, 업계의 목소리가 반영되도록 법안이 수정됐으면 하는 바람이 있다"고 말했다.
특히 규제로 인해 해외 사업이 쉽지 않다는 점도 강조했다. 이미 국민들은 해외 거래소를 이용해 가상자산에 투자하고, 메타버스나 NFT 플랫폼 또한 국경없이 이용할 수 있지만 국내 기업이 해외에서 사업하기가 쉽지 않다는 것이다.
이석우 대표는 "싱가포르에 진출했지만 해외에 사업자금 송금이 안되다보니 사업 확장에 어려움이 있다"며 "가상자산 담보대출 상품도 해외에서는 가능한데 국내에서는 하기 어렵다는 것이 사업 확장의 장애로 작용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자본시장연구원
요약 □ 플랫폼 기업들의 비약적 성장으로 시장지배력 남용, 불공정거래, 독점 등의 문제가 발생되고, 이에 따라 플랫폼 기업들에 대한 제재 필요성이 제기
□ 미국 및 중국에서는 플랫폼 기업의 독점 행위 제재를 위한 법률 제정 및 지침 발표 등 규제가 구체화되고, 한국 또한 플랫폼 산업 규제를 위한 다수의 법안이 발의되는 등 세계적으로 규제 기조가 강화되는 추세
□ 플랫폼 기업들에 대한 규제 강화로 건전한 플랫폼 경제 발전 촉진 등 긍정적 효과가 기대되나 단기적으로 기업 가치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은 불가피할 것으로 판단
□ 디지털 전환의 가속화, 코로나19로 인한 비대면 거래의 급증 등으로 플랫폼 기업들이 급속하게 성장
─ 플랫폼에 대한 일치된 정의는 없으나 통상 상호의존성을 지닌 생산자와 소비자 그룹을 효율적으로 연결시킴으로써 가치를 창출하는 사업 모델(business structure)을 의미
• 현 시점에서 플랫폼은 크게 1) 광고 수익 기반 플랫폼(Google, Facebook, Twitter, Snapchat, 네이버 등), 2) 거래 및 매치메이킹 플랫폼(Uber, Airbnb 등 공유 플랫폼 및 Amazon, 네이버 등 온라인 거래 플랫폼), 3) OS 및 앱 스토어 플랫폼(iOS Appstore, Android PlayStore 등)으로 구분이 가능 1)
─ 네트워크 및 모바일 기술이 급격하게 발전함에 따라 플랫폼 기반 사업을 전개 및 확장하는 기업들이 증가
• 글로벌 시가총액 상위 10대 기업 중 플랫폼 기업의 수는 2010년말 애플, 마이크로소프트 등 2개에 불과했으나, 2021년 10월 애플, 마이크로소프트, 알파벳, 아마존, 페이스북, 텐센트 등 6개로 증가하였으며, 이들의 시가총액 합산액은 8.3조달러에 달하는 규모
• 스타트업에서도 플랫폼 기업의 약진이 돋보이는데, 2020년 전체 유니콘 스타트업 중 57.9%가 플랫폼 기업이며 특히 아시아에서는 86.1%의 유니콘이 플랫폼 기업인 것으로 조사 2)
□ 플랫폼 기업들의 비약적 성장으로 시장지배력 남용, 불공정거래, 독점 등 다양한 문제가 발생되고, 이에 따라 플랫폼 기업들에 대한 제재 필요성이 제기
─ 플랫폼 기업은 자사 플랫폼에 대한 거래의존도를 남용하여 불공정한 거래 조건을 부과하고 과도한 경제적 이익을 취할 유인을 가짐
• 실제 플랫폼 이용 사업자에게 과도한 수수료를 부과하거나, 제품 가격 결정 간섭, 자사 거래 우선 배송 강요 등과 같은 행위가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 3)
─ 또한 대형 플랫폼 기업의 서비스와 경쟁관계에 있는 중소업체들의 경우, 공정한 경쟁을 통해 소비자의 선택을 받을 기회가 제한되면서 특정 플랫폼 기업과 그 자회사들이 생태계 전반을 독식하게 될 위험도 존재 4)
□ 미국은 구글, 애플, 페이스북, 아마존 등 대형 플랫폼 기업의 독점 행위를 제재하기 위한 법률을 제정하고, 플랫폼 기업들에 비판적 입장을 보유한 인사들을 중용하는 등 적극적인 플랫폼 규제를 시행 중
─ 2020년 10월 미국 하원 사법위원회 산하 반독점 소위원회가 발표한 ‘디지털 시장의 경쟁 조사’ 보고서 5) 를 통해 4대 플랫폼 기업 GAFA(Google, Apple, Facebook, Amazon)가 시장 내 독점적 지위를 남용하고 있다고 밝히며, 이러한 행위 제재를 위한 입법 추진을 권고
─ 보고서의 후속 조치로 2021년 6월 11일 민주당과 공화당 공동으로 플랫폼 기업을 규제하기 위한 패키지 법안(A Stronger Online Economy: Opportunity, Innovation, Choice)을 발의하였고, 동 법안은 6월 25일 법제사법위원회를 통과 6)
• 해당 법안은 총 5개의 개별 법안이 묶인 형태로, 플랫폼 기업의 독점 행위를 직접적으로 규제하는 4개의 법안과 미국 경쟁당국의 예산 확충을 목적으로 하는 1개의 법안(기업인수합병 신청비용 현대화에 관한 법률)으로 구성
• 이용자 수와 시가총액 등을 기준으로 미국 연방거래위원회(Federal Trade Commission: FTC) 및 법무부(Department 글로벌 거래 플랫폼 of Justice: DOJ)가 규제 대상을 지정하며, 해당 기준에 따르면 규제 대상은 사실상 구글, 애플, 페이스북, 아마존 등 대형 플랫폼 기업으로 한정
─ 바이든 정부는 최근 플랫폼 기업들에 비판적인 입장을 가진 인사들을 기용함으로써 강력한 규제 의지를 피력
• 2021년 3월 플랫폼 기업의 독과점화를 우려하는 팀 우(Tim Wu) 교수를 국가경제위원회(National Economic Council) 특별 고문으로 합류시키고, 2021년 6월 대형 플랫폼 기업의 독과점 관행에 지속적으로 문제 제기를 해 온 리나 칸(Lina Khan)을 FTC 위원장으로 지명
• 또한, 2021년 7월 반독점 관련 소송을 주로 담당해온 변호사 조너선 캔터(Jonathan Kanter)를 DOJ 반독점국장으로 임명
□ 중국은 플랫폼 기업의 반독점 규제에 관한 지침을 발표하고, 알리바바 등 대형 플랫폼 기업의 시장지배력 남용 행위에 대해 과징금을 부과하는 등 규제를 본격화
─ 중국 정부는 플랫폼 기업의 불공정행위에 대한 규제의 필요성을 여러 차례 강조했으며, 2021년의 중점업무 중 하나로 ‘반독점 규제 강화 및 자본의 무질서한 확장 방지’를 제시 7)
• 이와 같은 정부의 규제 강화 의지를 반영하여 경쟁당국은 2020년말부터 대형 플랫폼 기업의 불공정행위에 대한 규제를 착수
─ 2021년 2월 중국 국무원 반독점위원회가 ‘플랫폼 경제 분야에 관한 반독점 지침(关于平台经济领域的反垄断指南)’ 8) 을 발표하고, 발표 당일부로 즉시 시행
• 해당 지침은 총 6장, 24조로 구성되어 있으며 ‘시장 지배적 지위’와 ‘남용 행위’에 대한 판단 기준을 확정하고 플랫폼의 가격 담합, 독점 거래, 시장 지배적 지위를 남용한 강제 매매, 빅데이터와 알고리즘 기술을 활용한 경쟁 저해행위 금지 등을 명시
─ 2021년 4월 중국시장감독관리총국(State Administration for Market Regulation: SAMR)은 ‘플랫폼 내 기업에 독점 판매 강요’ 등 시장지배적 지위 남용 행위로 알리바바에 182억위안(약 3조원)의 과징금을 부과
• 2019년 알리바바 매출액의 4%에 해당하는 금액이며, 중국 내 반독점 규제 위반 행위로 부과된 과징금 중 최대 규모 10)
• 알리바바에 이어 텐센트(2020년 매출 대비 2~4%), 메이투안(4%) 등에도 상당 수준의 과징금이 부과될 글로벌 거래 플랫폼 전망 11)
─ 또한, 알리바바와 텐센트 등 34개 플랫폼 기업의 주요 경영진을 소환해 독점적 행위 위반 사항 등에 대해 자체 조사하고 시정 조치를 취하라고 지시 12)
□ 한국 글로벌 거래 플랫폼 또한 대형 플랫폼 기업의 과도한 사업 확장에 대한 비판이 제기됨에 따라 규제 방안을 논의 중이며, 최근 금융당국이 금융플랫폼의 일부 서비스를 ‘금융소비자보호법’ 위반 행위로 판단하는 등 규제가 강화되는 모습
─ 국내 대표 플랫폼 기업인 카카오는 2021년 상반기 기준 158개의 계열회사를 보유하고 있으며, 이는 2014년말(36개) 보다 4배 넘게 늘어난 수치
• 카카오는 대리운전, 스크린골프 등 다양한 영역으로 사업을 확장하고 있는 가운데, 산업 생태계를 구성하는 기존 중소업체들이 많은 사용자를 보유한 대형 플랫폼 기업과의 경쟁에서 우위를 점하기가 쉽지 않아 골목상권을 침해한다는 비판이 제기
─ 2021년 10월말 기준 국회에서는 플랫폼 산업을 규제하려는 법안이 9건 발의된 상태이며, 본격적인 입법 논의가 진행 중
─ 금융위원회는 2021년 9월 7일 일부 금융플랫폼의 서비스가 단순 광고대행이 아닌 금융소비자보호법 상 중개행위에 해당한다고 판단하고, 위법 소지에 대해 시정할 것을 요구 13)
• 이에 따라 9월 25일부터 카카오페이, 네이버파이낸셜 등 주요 금융플랫폼은 펀드, 연금 등 금융상품 비교, 추천 등의 서비스를 중단
□ 플랫폼 글로벌 거래 플랫폼 기업들에 대한 규제 강화로 건전한 플랫폼 경제 발전 촉진 등 긍정적 효과가 기대되나 단기적으로 기업 가치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은 불가피할 것으로 판단
─ 대형 플랫폼 기업의 독점 견제 조치, 규제 강화 등의 여파로 애플, 카카오, 네이버 등 각국 대표 플랫폼 기업의 주가가 큰 폭으로 하락한 바 있음
• 9월 7일 금융위원회의 금융플랫폼에 대한 금융소비자보호법 적용 결과 발표 이후 카카오와 네이버의 주가는 2거래일 연속 하락(9월 7일 대비 9일 기준 카카오 -16.6% 및 네이버 -10.2%)
• 9월 10일 미 캘리포니아주 오클랜드연방법원이 애플의 앱스토어 운영 관행에 대한 소송에 자사 앱스토어가 아닌 다른 경로를 통해 외부 결제를 할 수 없도록 막는 애플의 조치가 반경쟁적인 행위라고 판결함에 따라 애플의 주가가 전일대비 3.3% 급락
1) 정보통신정책연구원, 2021. 9. 30, 메타버스 시대의 디지털 플랫폼 규제.
2) 정보통신정책연구원, 2021. 5. 10, 온라인 플랫폼의 부상과 정책적 시사점.
3) 한국법제연구원, 2019. 9. 25, 2019년 전자상거래 불공정거래행위 현황과 판매자인식 실태조사.
4) 한국행정연구원, 2021. 4. 23, 온라인플랫폼 거래에서의 공정경제 생태계 구축을 위한 입법 방향과 쟁점.
5) House Committee on the Judiciary, 2020. 10. 2, Investigation of 글로벌 거래 플랫폼 competition in digital market.
6) Congressman David Cicilline, 2021. 6. 11, House Lawmakers Release Anti-Monopoly Agenda for “A Stronger Online Economy: Opportunity, Innovation, Choice”.
7)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21. 2. 26, 중국, 온라인 플랫폼에 대한 반독점 규제 가이드라인 발표.
8) 중국시장감독관리총국(SAMR), 2021. 2. 7, 国务院反垄断委员会关于平台经济领域的反垄断指南.
9) KOTRA, 2021. 2. 23, 中 2월 7일부 ‘플랫폼 경제 반독점 가이드라인’ 시행.
10) KOTRA, 2021. 9. 23, 중국, 인터넷산업 규제 강화 동향.
11) 한국은행, 2021. 6. 4, 중국 빅테크 기업 반독점 규제 강화.
12) Global Times, 2021. 4. 13, Chinese regulators summon 34 platforms to meeting, ordering them to self-scrutinize irregularities.
13) 금융위원회, 2021. 9. 7, 온라인 금융플랫폼의 건전한 시장질서 확립을 위해 관련 금융소비자보호법 적용사례를 전파했습니다, 보도자료.
치열한 글로벌 선물 거래 플랫폼 경쟁, CoinEX “편리성이 장점”
거래소들은 각각의 장단점 및 이슈들을 가지고 있다. 글로벌 거래소 CoinEX는 자사의 시스템이 “선물 거래 초보자들은 진입 장벽이 낮고, 간단한 조작을 특징으로 한다”고 강조했다.
# CoinEx “편리한 조작 지원한다”
CoinEx는 “바이낸스, 바이비트 등 전문적 선물 거래 플랫폼 대비 간편하고 사용이 쉬운 거래 서비스를 제공한다”며 “일반 투자자들도 선물 거래를 투자 옵션으로 선택할 수 있는 투자 시장을 만드는 것이 CoinEx의 목표”라고 말했다.
쉬운 조작법, 편리한 거래 주문, 명확한 포지션 정보 등 이용자들이 원활하게 자신의 포지션과 투자 이력을 알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한다는 것.
CoinEx는 “TP&SL, 원클릭 청산, 선물 계산기 등을 활용해 투자자는 자신의 포지션을 보다 쉽고 명확하게 관리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덧붙였다.
세부 기능 개선 외에도, CoinEx는 선물 투자자를 위한 선물 투자 메뉴얼을 통해 일반적인 선물 투자에서 발생할 수 있는 실수를 사전 예방하고 있다.
# 보안 무사고 기록 보유
과거 바이낸스 해킹 이슈 및 2020년 쿠코인의 2억 7500만 달러 규모 해킹과는 대조적으로, CoinEx는 출범 이후 5년 보안 관련 이슈가 단 한 건도 발생하지 않았다.
CoinEx는 “암호화폐 거래소와 사용자 사이 신뢰 관계 확보를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준비금도 100%를 보유 중”이라고 밝혔다.
정기적인 보안 시스템 업데이트 및 개선은 물론, 자체 침투 테스트 등을 진행해 보안 허점 및 비정상적인 시스템 변경을 지속 모니터링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 가상자산 선반 서비스
CoinEx는 선물 거래 외에도 마진 거래, AMM, 마이닝, 재테크, CoinEx Dock 등 다양한 상품과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500개 이상의 암호화폐 및 1000개 이상의 거래쌍을 지원하며, ViaBTC 그룹의 기술 지원으로 다양한 투자자 지원이 가능한 생태계를 만들어가고 있다.
CoinEx는 시스템, 운영, 지갑 보안 등 다양한 분야로 구성된 서비스 팀도 보유하고 있다. 창업자 양 하이포(Yang Haipo)는 ViaBTC Pool의 초기 코딩을 직접 작성했다.
CoinEx는 “세계 최초로 초당 1만 건의 거래 처리가 가능한 10000-TPS 거래 엔진을 구축해 대규모 거래 글로벌 거래 플랫폼 글로벌 거래 플랫폼 및 입출금 지원을 하고 있다”고 말했다.
# 16개 언어로 서비스 제공
CoinEx는 서비스 및 사용자 경험 개선을 기반으로 글로벌 입지를 지속 확대해가고 있다. 현재 전 세계 시장에서 16개 언어로 연중무휴 서비스를 제공 중이다.
CoinEx는 “암호화폐, 선물 거래 플랫폼을 고려하는 기준에는 보안 외에도 플랫폼 서비스의 직관성, 지속적인 개선 여부 및 지원되는 제품과 서비스 고려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0 개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