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화 반입

마지막 업데이트: 2022년 5월 15일 | 0개 댓글
  •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 신격호 롯데그룹 회장.

신격호 롯데그룹 회장과 OCI 이수영 회장 등 재벌총수를 포함한 자산가 20여명이 5천만달러(한화 약 522억원) 규모의 증여성 자금을 외화 반입 국내에 들여와 금융당국이 정밀검사에 착수했다.

당국은 국내 반입자금의 조성경위 등을 파악중이며 비자금, 세금탈루 외화 반입 등 위법사실이 확인되면 검찰에 고발할 방침이다.

22일 은행권에 따르면 금융감독원은 당국에 신고하지 않고 해외에서 100만달러 이상 증여성 자금을 들여온 국내 입금자들의 서류를 최근 외국환은행으로부터 건네받아 정밀 외화 반입 검사를 진행중이다.

명단에는 신격호 회장, 이수영 회장, 대아그룹 황인찬 회장, 빙그레 김호연 회장의 자녀, 경신 이승관 사장, 카지노업자 등이 들어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금감원은 이들을 대상으로 자금조성 경위와 신고절차 이행 등 외국환거래법규 준수여부를 검사하고 있다.

증여성자금은 수출입 등 정당한 거래의 대가가 아닌 이전거래를 말하며 거주자가 해외에서 5만달러 이상 금액을 들여올 때에는 반입 목적 등 영수확인서를 은행에 제출해야 한다.

이들은 반입자금이 투자수익금, 임금, 부동산매각대금 등이라고 밝혔지만 사전에 해외투자 신고가 이뤄지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외환거래법은 거주자가 국외 직접투자나 해외 부동산 취득, 금전 대차거래 등 자본거래를 하면 거래은행 등에 사전신고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이들중 일부는 은행측이 의심거래라며 돈 지급을 거부하자 뒤늦게 국세청에 해외계좌신고를 하고 돈을 찾아갔다"고 전했다.

OCI 이수영 회장 (사진제공=연합)

금감원은 이에 따라 반입자금 일부가 돈 비자금이나 탈루소득과 연관됐을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금감원은 검사결과 불법 외화유출, 신고절차 미이행 등 외국환 거래법규 위반 혐의가 확인되면 과태료를 부과하고 검찰에 고발조치하는 등 엄중 제재할 방침이다.

이들 의심거래는 2011~2014년 국내 반입된 거액의 자금중 일부를 표본조사하는 과정에서 발견됐다. 금감원은 검사가 끝나는대로 조사대상을 확대하는 방안도 검토할 것으로 알려졌다.

신 회장의 경우 900만달러 가량을 송금받은 게 문제가 됐다. 신 회장은 영수확인서에서 이 자금을 과거 비거주자 신분으로 투자한 외국회사 수익금이라고 설명했다.

황인찬 회장과 이수영 회장, 김호연 회장의 자녀, 이승관 사장 등도 100만~150만 달러를 각각 국내로 들여왔다.

황 회장은 중국 지인에게 사업상 도움을 주고 무상으로 증여받았고 이수영 회장은 외국 현지법인 이사회 의장 재직시 받은 임금이라고 밝혔다는 후문이다.

이 회장은 작년에도 조세피난처인 버진아일랜드에 페이퍼컴퍼니를 설립하면서 외환거래법을 위반한 혐의로 당국의 조사를 받은 바 있다.

김호연 회장의 자녀는 부동산 매각대금 회수, 이승관 사장은 해외예금계좌 인출액이라고 각각 소명했다.

적발된 한 카지노업자의 경우 100만달러 가량을 들여왔지만 검사대상 기간을 확대하자 반입액이 수천만달러에 이르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 업자는 중국인 여행객으로부터 국내 카지노 도박자금을 수령했다고 해명해 불법 중개자금일 가능성이 높다는 얘기가 흘러나온다.

금감원 관계자는 "일부 자산가들의 불법의심 거래를 검사하는 것은 맞지만 검사가 진행중인 상황이어서 자세한 내용을 알려줄 수 없다"고 밝혔다. /연합

LAKIS

닫기

(상파울루=연합뉴스) 김재순 특파원 = 아르헨티나에서 대통령 선거 때만 되면 외화가 빠져나가는 관행이 올해도 반복되고 있다. 올해 상반기에 반출된 외화가 지난해 연간 액수와 맞먹는 것으로 알려졌다.

6일 브라질 일간지 에스타도 데 상파울루에 따르면 아르헨티나 중앙은행은 전날 발표한 자료를 통해 올해 1분기 중 반출된 외화가 36억7천만 달러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2분기 통계는 아직 나오지 않았으나 민간 컨설팅 업체들은 최소한 60억~65억 달러가 빠져나갔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이에 따라 올해 상반기 중 반출된 외화는 거의 100억 달러에 달해 지난해 연간 반출액 114억 달러에 근접할 것으로 보인다.

2분기 중에서도 크리스티나 페르난데스 대통령이 오는 10월 대선 출마를 공식 선언하고, 여론조사 결과 재선이 유력하다는 보도가 나오면서 외환 반출 속도가 더 빨라졌다.

경제 전문가들은 하반기에도 60억 달러 정도가 추가로 반출돼 올해 전체적으로 160억 달러 이상 빠져나갈 것으로 보고 있다. 그러나 일부 컨설팅 업체들은 올해 220억 달러 가까이 반출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예상했다.

아르헨티나에서는 카를로스 메넴 전 대통령이 재선에 성공한 1995년과 페르난도 데 라 루아 전 대통령이 취임한 1999년, 네스토르 키르치네르 전 대통령과 페르난데스 대통령이 집권한 2003년과 2007년에도 외화 반출이 대규모로 이루어진 바 있다. 대선을 전후해 정치적 불확실성이 고조되고 경제·사회적 변화가 예상된다 싶으면 어김없이 외화가 빠져나간 셈이다.

한편, 아르헨티나에서는 금융기관에 대한 불신으로 현금을 집안이나 국내외 사금고에 보관하는 이른바 '침대 밑 달러'가 1천474억9천만 달러에 달하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이는 아르헨티나의 총외채 1천300억 달러를 갚을 수 있으며, 외환보유액 516억 달러의 거의 3배에 해당하는 규모다.

아르헨티나의 '침대 밑 달러'는 사상 최악의 경제위기를 겪은 2001년 810억 달러에서 지난 10년간 꾸준히 증가해 왔으며, 특히 페르난데스 대통령이 농업 부문과의 마찰로 정치적 위기에 빠진 2008년 이후 3년 동안에만 265억 달러 늘었다.

아르헨티나 정부 산하 국립통계센서스연구소(Indec)의 조사 결과 전체 국민의 53%가 국내 은행에 계좌를 갖고 있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외화 반입

금융당국, 자금조성경위 등 파악 나서

신격호 롯데그룹 회장과 OCI 이수영 회장 등 재벌총수를 포함한 자산가 20여명이 5천만달러(한화 약 522억원) 규모의 증여성 자금을 국내에 들여와 금융당국이 정밀검사에 착수했다.

당국은 국내 외화 반입 반입자금의 조성경위 등을 파악중이며 비자금, 세금탈루 등 위법사실이 확인되면 검찰에 고발할 방침이다.

22일 은행권에 따르면 금융감독원은 당국에 신고하지 않고 해외에서 100만달러 이상 증여성 자금을 들여온 국내 입금자들의 서류를 최근 외국환은행으로부터 건네받아 정밀 검사를 진행중이다.

명단에는 신격호 회장, 이수영 회장, 대아그룹 황인찬 회장, 빙그레 김호연 회장의 자녀, 경신 이승관 사장, 카지노업자 등이 들어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금감원은 이들을 대상으로 자금조성 경위와 신고절차 이행 등 외국환거래법규 준수여부를 외화 반입 검사하고 있다.

증여성자금은 수출입 등 정당한 거래의 대가가 아닌 이전거래를 말하며 거주자가 해외에서 5만달러 이상 금액을 들여올 때에는 반입 목적 등 영수확인서를 은행에 제출해야 한다.

이들은 반입자금이 투자수익금, 임금, 부동산매각대금 등이라고 밝혔지만 사전에 해외투자 신고가 이뤄지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외환거래법은 거주자가 국외 직접투자나 해외 부동산 취득, 금전 대차거래 등 자본거래를 하면 거래은행 등에 사전신고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이들중 일부는 은행측이 의심거래라며 돈 지급을 거부하자 뒤늦게 국세청에 해외계좌신고를 하고 돈을 찾아갔다"고 전했다.

금감원은 이에 따라 반입자금 일부가 돈 비자금이나 탈루소득과 연관됐을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금감원은 검사결과 불법 외화유출, 신고절차 미이행 등 외국환 거래법규 위반 혐의가 확인되면 과태료를 부과하고 검찰에 고발조치하는 등 엄중 제재할 방침이다.

이들 의심거래는 2011~2014년 국내 반입된 거액의 자금중 일부를 표본조사하는 외화 반입 과정에서 발견됐다. 금감원은 검사가 끝나는대로 조사대상을 확대하는 방안도 검토할 것으로 알려졌다.

신 회장의 경우 900만달러 가량을 송금받은 게 문제가 됐다. 신 회장은 영수확인서에서 이 자금을 과거 비거주자 신분으로 투자한 외국회사 수익금이라고 설명했다.

황인찬 회장과 이수영 회장, 김호연 회장의 자녀, 이승관 사장 등도 100만~150만 달러를 각각 국내로 들여왔다.

황 회장은 중국 지인에게 사업상 도움을 주고 무상으로 증여받았고 이수영 회장은 외국 현지법인 이사회 의장 재직시 받은 임금이라고 밝혔다는 후문이다.

이 회장은 작년에도 조세피난처인 버진아일랜드에 페이퍼컴퍼니를 설립하면서 외환거래법을 위반한 혐의로 당국의 조사를 받은 바 있다.

김호연 회장의 자녀는 부동산 매각대금 회수, 이승관 사장은 해외예금계좌 인출액이라고 각각 소명했다.

적발된 한 카지노업자의 경우 100만달러 가량을 들여왔지만 검사대상 기간을 확대하자 반입액이 수천만달러에 이르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 업자는 중국인 여행객으로부터 국내 카지노 도박자금을 수령했다고 해명해 불법 중개자금일 가능성이 높다는 얘기가 흘러나온다.

금감원 관계자는 "일부 자산가들의 불법의심 외화 반입 거래를 검사하는 것은 맞지만 검사가 진행중인 상황이어서 자세한 내용을 알려줄 수 없다"고 밝혔다.

▲ 신격호 롯데그룹 회장.

[위클리오늘=양준호 기자] 신격호 롯데그룹 회장과 이수영 OCI 회장 등 20여명이 5천만달러 규모의 외화를 국내에 반입해 금융당국이 정밀검사에 들어갔다.

22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감독원은 금융당국에 신고하지 않고 해외에서 100만달러 이상 증여성 자금을 들여온 국내 입금자들의 서류를 정밀 검사하고 있다.

금감원에 검사에 착수한 대상에는 신격호 롯데그룹 회장과 이수영 OCI 회장, 황인찬 대아그룹 회장, 김호연 빙그레 회장 자녀, 이승관 경신 사장, 카지노업자 등이 포함됐다.

이들은 반입자금이 투자수익금과 입금, 부동산매각대금이라고 밝혔지만 사전에 해외투자신고가 이뤄지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신격호 롯데그룹 회장의 경우 900만달러 가량을 송금받은 게 문제가 된 것으로 알려졌다. 신격호 회장은 영수확인서에서 이 자금을 과거 비거주자 신분으로 투자한 외국회사 수익금이라고 설명했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수영 OCI회장은 지난해에도 조세피난처인 버진아일랜드에 페이퍼컴퍼니를 설립하면서 외환거래법을 위반한 혐의로 당국의 외화 반입 조사를 받은 바 있다.

금감원은 이들을 대상으로 자금조성 경위와 신고절차 이행 등 외국환거래법규 준수여부를 검사한데 이어 불법 외화유출과 신고절차 미이행 등 외국환 거래법규 위반혐의가 확인되면 과태료를 부과하고 검찰에 고발할 방침이다.

외화 반입

승인 2014-09-22 11:37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카카오톡 네이버밴드 네이버블로그 핀터레스트 http URL복사

[천지일보=김일녀 기자] 금융당국이 신격호 롯데그룹 회장 등 고액 자산가 20여 명이 5000만 달러(약 520억 원) 상당의 증여성 자금을 국내에 반입한 정황을 포착하고 정밀 검사에 착수했다.

22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감독원은 당국에 신고하지 않고 해외에서 100만 외화 반입 달러 이상 증여성 자금을 들여온 국내 입금자들의 서류를 최근 외국환은행으로부터 받아 검사를 진행 중이다.

이번 조사 대상은 신격호 회장을 비롯해 이수영 OCI 회장, 황인찬 대아그룹 회장, 김호연 빙그레 전 회장의 자녀, 이승관 경신 사장 등이다. 금감원은 이들을 대상으로 자금조성 경위와 신고절차 이행 등 외국환거래법규 준수 여부를 조사하고 있다.

증여성 자금은 수출입 등 정당한 거래의 대가가 아닌 이전 거래를 뜻한다. 국내 거주자가 해외에서 2만 달러 이상을 들여올 때에는 반입 목적 등이 담긴 영수확인서를 은행에 제출해야 한다.

이들은 반입자금이 임금, 투자수익금, 부동산매각대금 등이라고 밝혔지만 사전에 해외투자 신고가 이뤄지지 않은 것으로 전해진다.

금감원은 이들을 외화 반입 대상으로 국내 반입자금의 조성경위 등을 파악하고 있으며 비자금, 세금탈루 등과 연관됐을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조사 결과 위법사실이 확인되면 검찰에 고발 조치하는 등 엄중히제재한다는 방침이다.


0 개 댓글

답장을 남겨주세요